외암 이간 사당(아산 외암마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외암 이간 사당 巍巖 李柬 祠堂
Shrine of Yi Gan
Goto.png 종합안내판: 아산 외암마을



해설문

국문

외암 이간 사당은 이간(李柬, 1677∼1727)을 모신 사당이다. 이간의 자는 공거(公擧), 호는 외암(巍巖) 또는 추월헌(秋月軒)이며, 본관은 예안(禮安)으로 입향조(入鄕組)*인 이사종(李嗣宗)의 6대손이다.

이간은 일찍이 학문에 뜻을 두었으나 과거를 치르지 않았다. 학식과 덕망이 높은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1716년(숙종 42) 세자시강원 자의, 1726년(영조 2) 경연관, 충청도사 겸 해운판관 등 여러 관직이 내려졌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다만 1725년(영조 1)에 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회덕현감으로 나아갔으나 뜻을 펼칠 수 없자 수개월 만에 사직하였다. 그가 죽은 후 1777년(정조 1)에 이조참판, 성균관좨주, 1811년(순조 1)에 이조판서에 추증(追贈)***되고 문정(文正)의 시호를 받았다. 이를 계기로 불천위(不遷位)****로 정해져 묘를 마을 옆으로 이장하고, 외암정사관선를 이간의 위패를 모신 외암서사(巍巖書社)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간은 율곡(栗谷)을 태두로 하는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이름난 성리학자로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1641~1721) 문하의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 중 으뜸이다.

그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은 융화적 세계관, 이신론적(理神論的) 가치관을 바탕으로 체계화한 보통주의적(普通主義的) 철학 사상이다. 인물성동론은 조선 후기 최대 학술 논쟁인 호락논변(湖洛論辨)의 실마리가 되었다. 인물성동론은 뒤를 이어 인물균론(人物均論), 인물막변론(人物莫辯論)으로 발전하여 북학파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 후기 통치 이념으로 변화되어 소인교화론, 탕평론, 서얼소통론 등 혁파 논리의 기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 입향조(入鄕組): 마을에 들어와 터를 잡은 선조
  • 유일(遺逸): 조선 초기에 초야에 묻힌 재능있는 선비를 천거하여 관직에 임명하던 제도
  • 추증(追贈): 나라에 공이 있는 벼슬아치나 그의 선조에게 죽은 뒤에 품계를 높여 주던 일
  • 불천위(不遷位): 나라에 공이 있거나 도덕성과 학문이 높은 사람의 신주를 땅에 묻지 않고 보관할 수 있도록 허락한 사당


영문

Shrine of Yi Gan (Oeam Village, Asan)

This shrine venerates Yi Gan (1677-1727), a renowned neo-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Yi Gan was the fifth-generation descendant of Yi Sa-jong, the first person from the Yean Yi clan to settle in this village. He was such a representative local figure that the village came to be known by his pen name, Oeam.

In Korean Confucian tradition, ancestral shrines typically hold the spirit tablets of only the past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However, the spirit tablets of exceptional ancestors, such as those who contributed greatly to the country or who were renowned for their morals or scholarly work, were enshrined in perpetuity. This is the case for the Shrine of Yi Gan, which is located at the highest and rearmost point within Oeam Village in accordance with its great importance.

Yi Gan aspired to scholarly studies from an early age. Despite having not taken the state examination to become an official, he was recommended several times to prestigious official posts due to his high academic achievements and virtue. Such posts included as teacher of the crown prince and as royal lecturer for the king. He declined them all apart from an appointment as magistrate of Hoedeok (present-day Daejeon) in 1725, which he resigned from within a few months. He was posthumously promoted to vice minister of personnel in 1777 and minister of personnel in 1811.

Yi Gan is best known for initiating the Horak Debate, an 18th-century debate among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on several topics relating to heart-mind, original nature, and temperament. The debate included questions such as whether humans of different classes and nonhuman animals shared the same heart-mind and nature. Yi Gan argued against orthodox interpretations, asserting that nature of all beings is fundamentally the same and that differences arise from temperament. His theory laid the foundation for other reformative theories in the late Joseon period, leading to policies such as the recruitment of talent equally regardless of one’s political faction and the elimination of the discrimination against illegitimate offspring of noblemen (yangban) in their pursuit of official posts. Later, having been acceptant of the advanced scholarship and technology of Qing China, Yi Gan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Northern School of Practical Learning, which argued for the advancement of agriculture, commerce, and industry.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조선시대의 대학자 이간(1677-1727)의 사당이다. 이간은 예안이씨 중 외암마을에 처음으로 정착한 이사종의 5대손으로 외암마을을 대표하는 인물이며, 마을의 이름은 이간의 호를 따라 지어졌다.

한국의 유교 전통에 따르면 사당에는 4대조까지의 위패를 모실 수 있다. 그러나 나라에 특별한 공훈이 있거나 도덕성과 학문이 높은 사람의 경우는 위패를 영원히 모실 수 있다. 이간의 사당이 바로 이러한 경우이며, 외암마을의 동쪽 끝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위계를 보여준다.

이간은 일찍이 학문에 뜻을 두었다. 과거를 치르지 않았으나 높은 학식과 덕망으로 이름이 알려져 여러 차례 천거를 받았다. 이간이 천거되었던 자리는 왕세자의 교육 또는 왕의 경연을 담당하는 관직이었다. 이간은 모든 관직을 사양하다가, 1725년 회덕(지금의 대전) 현감을 잠시 지냈으며 불과 수개월 만에 사직하였다. 1777년 이조참판, 1811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이간은 18세기 조선 성리학자들 사이에서 발생한 마음, 본성, 기질에 대한 호락논변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논쟁은 인간과 인간을 제외한 만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대한 것이었고, 이간은 모든 존재의 본성이 근본적으로 동일하고, 차이가 있는 것은 기질로 인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간의 이론은 조선 후기 개혁 이론의 토대가 되어, 당파에 상관없이 골고루 인재를 등용하는 정책과 서얼에 대한 차별을 없애고 관직 진출을 허용하는 정책의 기조가 되었다. 또한 이후 청나라의 발달된 학문과 기술을 받아들여 농업과 상공업을 발전시키자고 주장하는 북학파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