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흑석사
영주 흑석사 Heukseoksa Temple, Yeongju |
|
대표명칭 | 영주 흑석사 |
---|---|
영문명칭 | Heukseoksa Temple, Yeongju |
한자 | 榮州 黑石寺 |
해설문
국문
영주 흑석사는 신라 승려인 의상이 통일 신라 시대에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흑석’이란 이름은 사찰 주변에 검은 빛깔의 바위가 있어서 흑석으로 부르는 마을 이름에서 따왔다고 한다. 임진왜란 이전의 사찰 내력은 전하지 않으나 임진왜란 이후에 사찰 세력이 급격히 기울었다고 알려져 있다. 조선 정조 23년(1799)에 전국 사찰을 조사하여 기록한 『범우고(梵宇攷)』란 책에는 흑석사가 버려져 승려가 없는 절이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순흥 초암사에 있던 성호 스님이 1945년에 초암사의 부재를 옮겨와 다시 흑석사를 창건하였다.
흑석사에는 국보 제282호인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 제681호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인 흑석사 마애삼존불상이 있다.
국보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부처의 앉아 있는 모습을 나무로 만든 조선 시대 불상이다. 본디 정암산 법천사에 있었으나 6・25전쟁을 피해 초암사로 옮겼다가 다시 흑석사로 모셨다고 한다. 그런데 법천사란 사찰 이름이 여러 지역에서 확인되어 정암산 법천사가 정확하게 어디를 말하는지는 알 수 없다. 1992년에는 불상을 만들 때 몸속에 넣은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복장유물*은 7종 14점의 책과 38종의 다양한 직물 등으로, 불상을 만든 시기와 과정을 알려줄 뿐 아니라 각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아 불상과 함께 국보로 지정되었다.
보물인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은 부처의 앉아 있는 모습을 돌로 만든 불상으로, 대웅전 뒤편에 있는 마애삼존불상 앞에 있다. 석조여래좌상은 흑석사 부근에 묻혀 있던 것을 파내어 모신 것이다. 불상을 올려놓는 대좌(臺座)는 불상 옆에 따로 놓여 있고, 온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는 대웅전 옆에 반쯤 묻혀 있다. 불상과 대좌, 광배 모두 통일신라 후기의 것으로, 같은 시기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문화재자료인 흑석사 마애삼존불상은 자연 암벽에 으뜸 불상인 본존불과 좌우에서 모시는 수행자인 협시보살을 돋을새김한 불상이다. 원래 상반신만 새겼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본존불의 가슴 이하와 좌우 협시보살의 목 이하의 조각은 보이지 않는다. 통일 신라 시대 말에서 고려 시대 초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복장유물: 불상을 만들 때, 몸속에 넣는 유물. 금ㆍ은ㆍ칠보(七寶)와 같은 보화(寶貨)나 서책(書冊) 따위가 있다.
영문
Heukseoksa Temple, Yeongju
Heukseoksa Temple is known to have been founded by Uisang (625-702), a Buddhist monk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The detailed history of the temple is unknown, but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the power of the temple dramatically declined until it eventually closed. The current temple was built on the site of the old temple in 1945. The temple's name means "temple of the black stone," as there is a black stone in the nearby villiage.
Three important cultural heritages kept at this temple are a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and the relics excavated from inside it (National Treasure No. 282), a stone seated buddha statue (Treasure No. 681), and a rock-carved buddha triad (Gyeongsang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355).
The statue of Amitabha, enshrined as the princpal buddha of Daeungjeon Hall, was made in 1458 with the support of royal family member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Originally, it was made as the principal buddha for a temple called Beopcheonsa, but it is said that it was moved to Choamsa Temple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and then again to Heukseoksa Temple. In 1992, various excavated relics were found inside the statue, including records about its creation and a list of names of the people who helped fund the statue. Following an attempted theft in 1999, the statue is now kept in a specially-designed fireproof glass container.
Behind Daeungjeon Hall at the highest point of the temple property, there is a protective pavilion under which the stone seated buddha and rock-carved buddha triad are enshrined.
The stone seated buddha discovered buried in the temple's vicinity. It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damaged parts of the statue were repaired with lime.
The rock-carved buddha triad depicts a buddha in the center with attendant bodhisattvas to either side. The carving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at the turn of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918-1392) periods. Only the head and shoulders of the three figures is carved, which is an unusual depiction. There are traces of red paint on the halos behind the figures.
영문 해설 내용
흑석사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의상(625-702)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절의 자세한 내력은 전해지지 않으며, 임진왜란 이후 사찰의 세력이 급격히 기울어 결국 폐사되었다. 현재의 사찰은 1945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절 인근 마을에 검은 바위가 있어서 '흑석'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현재 흑석사에는 국보 제282호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보물 제681호인 석조여래좌상,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인 마애삼존불상이 있다.
대웅전에 모셔져있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458년 조선 왕실과 종친들의 시주를 받아 만들어졌다. 원래 법천사라는 절의 본존불로 조성되었는데, 한국전쟁 때 초암사로 옮겼다가 다시 흑석사로 모셨다고 한다. 1992년에는 불상 안에서 불상 조성에 대한 기록, 시주자 명단을 비롯한 여러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 1999년 절도 시도 이후 특수 제작한 유리 방화 금고에 불상을 모셔두고 있다.
대웅전 뒤편 흑석사 경내에서 가장 높은 곳에는 석조여래좌상과 마애삼존불상이 한 전각 안에 모셔져 있다. 석조여래좌상은 사찰 인근에 묻혀 있던 것을 파내어 모신 것이다.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발굴 당시 파손되어 있던 부분은 석회로 보완되어 있다. 불상을 올려놓는 대좌가 대웅전 옆 마당에 석탑 형태로 놓여 있고, 온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는 종각 뒤편에 반쯤 묻혀 있다. 대좌와 광배도 불상과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마애삼존불상은 바위 표면에 본존불과 좌우에서 모시는 협시보살을 새겼다. 통일신라시대 말에서 고려 시대 초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본존불의 가슴 이하와 좌우 협시보살의 목 이하는 새기지 않은 특이한 모습이다. 광배에는 붉은 색으로 칠했던 흔적이 남아있다.
참고자료
- "26년째 타향살이 영주 국보, 제자리 돌려놔야", 경북도민일보, 2019.12.04.
- 국보인 복장유물이 현재는 대구박물관에 있지만 영주시 차원에서 유물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내용.
- "오래된 부처님 계신 곳, 영주 흑석사", 레디앙, 2012.07.30.
- "배용호의 문화확대경 51 -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우여곡절", 영주시민신문,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