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영훈정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주 영훈정
Yeonghunjeong Pavilion, Yeongju
영주 영훈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영주 영훈정
영문명칭 Yeonghunjeong Pavilion, Yeongju
한자 榮州 迎薰亭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광복로 65 (영주동)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14호
지정일 2002년 2월 1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棟)
웹사이트 영주 영훈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누정(樓亭)은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마룻바닥을 지면에서 한층 높게 지은 다락 형식의 집을 말하며, 자연 경관과 어우러져 휴식과 학문 등을 행하던 공간이다. 누각과 정자를 함께 일컫는 명칭으로 정루(亭樓)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름 뒤에 누(樓) · 정(亭) · 재(齋) · 암(庵) · 대(臺) 등의 명칭이 붙는다.

영훈정은 세조 14년(1468) 군수 정종소(鄭從韶)가 사신을 마중하고 배웅하기 위할 목적으로 세웠으며, 처음에는 남정자(南亭子)로 불렸다. 이후 중간에 폐지되었다가 인조 22년(1644)에 신속(申洬)이 다시 세우고 퇴계 이황이 쓴 「영훈정」 이라는 현판을 새겨서 걸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 일제강점기에 현재 위치로 옮겼는데 시의회 서쪽 영주초등학교와 인접한 곳에 남향을 하고 있다.

건물의 형태는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중층으로 겹처마에 지붕은 옆면에서 보면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사방이 개방되어 있고 마루 가장자리에는 난간(欄干)*을 설치하였으며, 오른쪽 면 뒤 칸에 중층에 오를 수 있는 가파른 사다리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천장은 서까래를 노출시키고 연등천장*으로 꾸몄으며 비교적 건실한 목재를 사용하여 당시의 투박한 치목수법이 돋보인다.

조선 후기 보편화되었던 각 가문의 정자와는 달리 관청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지방관이 세운 점이 특이하다.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조선 중기의 건축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난간 : 층계, 다리, 마라 따위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워 놓은 구조물
  • 연등천장(椽燈天障) : 별도로 천장을 만들지 않고 서까래를 그대로 노출시켜 만든 천장

영문

Yeonghunjeong Pavilion, Yeongju

This pavilion was first built in 1468 by Jeong Jong-so, the local magistrate of Yeongcheon (today’s Yeongju area), for receiving and sending off envoys. It was originally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of Yeongcheon and was called Namjeongja, meaning “South Pavilion.” Over time, it fell into disrepair and so, in 1644, it was rebuilt by the local magistrate Sin Sok (1600-1661) and renamed Yeonghunjeong, which can be interpreted to mean “a pavilion for welcoming guests in a place with a beautiful landscape.” In 1910, it was relocated to its current site in front of Yeongju Elementary School.

Historical records left by Kim Eung-jo (1587-1667), a civil official born in Yeongju, state that “there is no place as beautiful as Yeonghunjeong Pavilion among the pavilions in Yeongcheon,” suggesting that at the time, Yeonghunjeong Pavilion and its surrounding scenery were renowned.

Due to the reconstructions and relocations, the pavilion has partially lost its original appearance, but the timber is solid and has been preserved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The pavilion is elevated off the ground with pillars and can be accessed via wooden stairs. The wooden floor is laid in a traditional Korean pattern and is surrounded along the edges by balustrades. The hip-and-gable tile roof features two-tier eaves, and the underside of the roof and the crossbeams are exposed without a coffered ceiling. The pavilion has no walls or windows, exposing it completely to the surrounding nature.

영문 해설 내용

이 정자는 영천(지금의 영주 지역) 군수였던 정종소가 사신을 맞이하고 배웅하기 위해 1468년에 세웠다. 원래 영천군의 남쪽에 위치하여 '남정자'라고 불렸다. 이후 세월이 흘러 허물어졌다가, 영천군수로 부임한 신속(1600-1661)이 1644년에 다시 세우면서, '경치 좋은 곳에서 손님을 반갑게 맞이하는 정자'라는 뜻의 '영훈정'이라고 이름 붙였다. 1910년에 지금의 위치인 영주초등학교 옆으로 옮겼다.

영주 출신의 문신 김응조(1587-1667)가 남긴 중수기에 ‘영천의 누정 가운데 그 아름다움이 영훈정을 따를 데가 없다’라는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영훈정과 주변 경관이 매우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정자는 중건, 이전 등을 거치는 동안 원형이 다소 변경됐지만, 전체적으로 건실한 목재를 사용하였고 보존 상태도 비교적 양호하다. 지면에서 한층 높게 지었고 계단으로 오르내릴 수 있게 하였다.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고, 가장자리에는 난간을 설치하였다. 겹처마에 지붕은 팔작지붕을 얹었으며, 천장을 만들지 않고 지붕의 구조와 서까래를 그대로 노출시켰다. 벽이나 창문이 없이 사방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