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Stele of Buddhist Monk Jinghyo at Heungnyeongsa Temple Site, Yeongwol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of Buddhist Monk Jinghyo at Heungnyeongsa Temple Site, Yeongwol
한자 寧越 興寧寺址 澄曉大師塔碑
주소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법흥로 1352 (법흥리)
지정번호 보물 제612호
지정일 1977년 8월 22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흥녕사를 크게 발전시킨 징효대사를 기리고자 세운 석비로, 거의 완전한 형태로 보존되고 있다.

거북 모양 받침돌 위에 비석 몸돌을 올리고, 그 위에 용 머리가 조각된 머릿돌을 얹었다. 받침돌의 거북 머리는 용 머리에 가깝고,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특히 발가락과 발톱은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어 눈에 띈다. 반구형에 가까운 등은 길쭉한 육각 무늬로 채워져 있으며, 중앙에는 비를 꽂아 두는 네모난 홈이 있다. 머릿돌에는 용 네 마리가 중심을 향해 마주보고 있다. 눈, 코, 입은 사실적이나 몸에 표현된 비늘은 약하게 새겨져 형식적이다.

비문에는 징효대사의 출생부터 입적할 때까지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비문에 따르면 징효대사는 19세에 장곡사에서 승려가 되어 75세 되던 효공왕 5년(901)에 입적하였다. 끝부분에는 대사의 공적을 기리는 내용도 새겨져 있다.

대사가 입적한 지 44년 후인 고려 혜종 원년(944)에 세워진 비로, 글은 최언위가 짓고 최윤이 글씨를 썼으며 최오규가 비에 새겼다.

  • 절중이 입적한 해는 효공왕 4년(900)임.
    • 절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9820
    • 최연식, 「흥녕선원 징효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48쪽.
건녕(乾寧) 7년(900, 효공왕 4) 3월 9일 아침에 이르러 홀연히 문인(門人)들에게 "삼계(三界)는 모두 공(空)이고, 만연(萬緣)은 다 같이 고요하다. 나는 이제 떠나려한다. 너희들은 힘써 정진하여 선문(禪門)을 수호하고, 종지(宗旨)를 무너뜨리지 않아서 나의 은혜에 보답하라"라고 말하고 말이 끝나자 앉은 채로 입멸(入滅)하였다. 세속 나이는 75세이고, 법랍은 56이었다.

영문

Stele of Buddhist Monk Jinghyo at Heungnyeongsa Temple Site, Yeongwol

This stele was erected in 944 to commemorate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the eminent Buddhist monk Jeoljung (a.k.a. Master Jinghyo, 826-900).

Born in the area of today’s Hwanghae-do Province in North Korea, Jeoljung became a Buddhist devotee in 832 and was ordained as a monk in 844 at Janggoksa Temple in Anseong. He traveled to worship across several regions before settling at Heungnyeongseonwon Temple in 882. During his stay here, he greatly contributed to the temple’s prosperity. He left the temple in 886 and died while on Ganghwado Island.

The stele is well preserved in nearly perfect condition. It consists of a tortoise-shaped pedestal, a body stone, and a capstone. The tortoise is depicted with a wish-fulfilling jewel in its mouth, and its toes and claws are particularly realistic. The capstone is carved to depict four dragons looking towards the center. The text of the stele was composed by the renowned writer Choe Eon-wi (868-944), who also composed the stele texts of several other monks.

영문 해설 내용

이 탑비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인 징효대사 절중(826-900)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고려시대인 944년에 세워졌다.

절중은 지금의 북한 황해도 지역에서 태어나 832년에 출가하였고 844년에 안성 장곡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이후 여러 지역을 다니며 수행하다가 882년부터 영월의 흥녕선원에 주석하며 선원을 크게 발전시켰다. 886년 영월을 떠나 수행을 이어가다가 강화도에서 입적하였다.

이 탑비는 거북 모양의 받침돌, 몸돌,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래의 모습이 거의 완전한 형태로 보존되었다. 거북은 입에 여의주를 물고 있고, 발가락과 발톱이 특히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머릿돌에는 용 네 마리가 중심을 향해 마주보고 있다.

비문은 명문장가로 여러 고승들의 탑비 비문을 지었던 최언위(868-944)가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