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외암마을 참판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아산 외암마을 참판댁
Champandaek House in Oeam Village, Asan
아산 외암마을 참판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아산 외암마을 참판댁
영문명칭 Champandaek House in Oeam Village, Asan
한자 牙山 外岩마을 參判宅
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 42-15 (외암리)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195호
지정일 1984년 12월 2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8필지/7,171㎡
웹사이트 아산 외암마을 참판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아산 외암리 참판댁은 구한말 규장각 직학사(直學士)와 궁내부 특진관, 시종원 부경 등을 지낸 퇴호(退湖) 이정렬(李貞烈, 1868~1950)이 고종에게 받은 집이다. 이정렬의 양부 이상규가 참판에 해당하는 내부협판에 추증*되어 참판댁으로 불린다.

참판댁은 외암마을 동쪽에 남서향으로 자리를 잡은 목조 기와집 두 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 따로 지어진 집이다. 큰 집은 10칸의 ‘ㄱ’자 모양 안채와 5칸의 ‘ㅡ’자 모양 사랑채, 8칸의 ‘ㅡ’자 모양 문간채로 되어 있고, 작은 집은 6칸의 ‘ㄱ’자 모양 안채와 7칸의 ‘ㄱ’자 모양 사랑채로 되어 있다.

큰 집은 돌담장으로 집안의 공간을 구분하는 한편, 대문 앞에 돌담을 쌓아 아늑함을 주고, 작은 집은 사랑방 앞 대청 양쪽에 분합문(分閤門)**이 있는 고방(庫房)을 두어 과방(果房)***이나 툇마루 등 여러 용도로 이용하였다.

평면 구성은 대청이 안방 구들에서 꺾어진 중부 양식이지만 작은 집 사랑채는 대청이 한쪽으로 배치된 남부 양식을 따르고 있다.


  • 추증: 나라에 공이 있는 벼슬아치나 그의 선조에게 죽은 뒤에 품계를 높여 주던 일
  • 분합문(分閤門): 대청 앞에 다는 네 쪽 문. 여름에는 둘씩 접어들어 올려 기둥만 남고 모두 트인 공간이 된다.
  • 과방(果房): 큰일을 치를 때 음식을 차려 놓고 내가는 곳

영문

Champandaek House in Oeam Village, Asan

Champandaek House was built in the late 19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 was a gift bestowed by King Gojong (r. 1863-1907) to Yi Jeong-ryeol (1868-1950), who served as an official at the ministry of the royal household and the royal library. It is said that Yi Jeong-ryeol enjoyed King Gojong’s affection because his adoptive father Yi Sang-gyu was a maternal cousin of the queen consort Lady Min (1851-1895, posthumously known as Empress Myeongseong). The name Champandaek means “House of the Vice Minister,” referring to how Yi Sang-gyu was posthumously bestowed with a post equivalent to that of vice minister.

The estate consists of a large house in the back and a small house in the front left. Each house consists of a gate quarters, a men’s quarters, a women’s quarters, a storehouse, and an ancestral shrine. To the right of the large house is a thatched-roof house where servants lived. The large house was subdivided into smaller areas using stone walls. Stone walls were also used to form a path to the main gate, creating a cozy atmosphere. In the men’s quarters of the small house, there is a small heated room in front of the main heated room, between which are liftable doors that allow the spaces to be joined as needed. This unusual feature allowed the small room to be used as a place to prepare food for large gatherings or as a veranda in the summer.


영문 해설 내용

참판댁은 조선시대인 19세기 후반에 지어졌다. 조선 왕실의 업무를 총괄하던 궁내부와 왕실 도서관인 규장각 등에서 관직을 지낸 이정렬(1868-1950)이 고종(재위 1863-1907)으로부터 하사받은 집이다. 이정렬의 양부인 이상규가 고종의 왕비인 명성황후(1851-1895)와 이종사촌이었기 때문에, 고종은 이정렬을 매우 아꼈다고 한다. 참판댁이라는 이름은 이상규가 추증 받은 관직*에서 비롯되었다.

참판댁은 뒤쪽의 큰집과 앞쪽 왼편의 작은집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집은 각각 문간채, 사랑채, 안채, 곳간채,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고, 큰집의 오른쪽에는 하인들이 살던 초가집이 있다. 큰집은 모두 돌담으로 집안의 공간을 구분하였고, 대문 앞에 돌담을 쌓아 아늑함을 주었다. 작은집 사랑채의 사랑방 앞에는 작은 방을 하나 두고 접어들어 올릴 수 있는 문을 달았다.* 이는 필요에 따라 공간을 넓게 쓰기 위한 독특한 장치로, 큰 행사가 있을 때 이곳에서 음식을 만들거나 여름에 툇마루로 이용하였다.


  • 이상규가 실제로 추증 받은 관직은 내부 협판임. 갑오개혁으로 관제가 개편되기 전에는 참판에 해당하기 때문에, 참판댁이라고 부름. 따라서 '이상규가 참판에 추증되었다'고 할 수 없음.
  • 작은집 배치도에서 사랑채 가운데 방 앞 하얀색 작은 공간.

갤러리

주석

  1. "아산 외암리 참판댁(큰댁)", 『우리 옛 집 - 강원, 경기, 서울, 전라, 제주, 충청』, 도서출판 집, 2016, 341쪽.
  2. "아산 외암리 참판댁(작은댁)", 『우리 옛 집 - 강원, 경기, 서울, 전라, 제주, 충청』, 도서출판 집, 2016, 34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