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연원 신도비
심연원 신도비 Stele of Sim Yeon-won |
|
대표명칭 | 심연원 신도비 |
---|---|
영문명칭 | Stele of Sim Yeon-won |
한자 | 沈連源 神道碑 |
주소 |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옹정리 58-12 |
지정(등록) 종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46호 |
지정(등록)일 | 1992년 12월 31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심연원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조선시대 문신으로 명종 때 영의정을 지냈던 심연원(沈連源, 1491~1558)의 신도비이다.
신도비는 종2품 이상의 벼슬이나 훌륭한 학자에게 허용되었던 비석으로 1560년에 세워졌다.
심연원 신도비는 귀부이수양식(거북이받침과 용머리 장식돌)으로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차지하려고 서로 다투는 모습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심연원이 탐라(제주)목사로 있을 때 그곳 산천을 세밀하게 지도로 그려 두었는데 1555년 왜구가 침입했을 때 그 지도로 대응책을 세워 막을 수 있었다.
관직에 올라 진휼경차관(賑恤敬差官)으로 굶주린 백성을 구제하였고 진향사(進香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로 『인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551년 조선 명종 때 영의정이 되었으며 세상을 떠난 후 청성부원군에 진봉(進封)되었다.
영문
Stele of Sim Yeon-won
This stele was erected in 1560 to commemorate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Sim Yeon-won (1491-1558),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Nearby is Sim Yeon-won’s tomb, along with the tomb and stele of his son Sim Gang (1514-1567).
After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in 1522, Sim Yeon-won served in several official posts. In 1533, he was dispatched to the Gyeongsang-do region to aid the starving people and then served as magistrate of Tamna (today’s Jeju) from 1534 to 1537. When the Empress of Ming China died in 1539, he was dispatched as a royal envoy to pay condolences on behalf of the king. In 1546, he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the Annals of King Injong (r. 1544-1545), and in 1551, he rose to the office of chief state councilor, the highest government position. Notably, when Japanese pirates invaded Jejudo Island in 1555, a map drawn by Sim was used to devise defensive countermeasures.
The stele consists of a two-tier base, a tortoise-shaped pedestal, a body stone, and a capstone. The capstone is decoratively carved to realistically depict a pair of intertwined dragons capturing a wish-fulfilling jewel.
영문 해설 내용
이 비는 조선시대의 문신인 심연원(1491-1558)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1560년에 세워졌다. 인근에는 심연원의 묘와 아들인 심강의 묘와 신도비가 있다.
심연원은 1522년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지냈다. 1533년 경상도 지역에 파견되어 굶주린 백성을 구제하였고, 1534년부터 1537년까지 탐라(지금의 제주)의 목사를 지냈다. 1539년 명나라 황후가 세상을 떠났을 때 조선의 왕을 대신해 조의를 표하기 위해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1546년에는 『인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 1551년에는 최고위 관직인 영의정에 이르렀다. 1555년 제주에 왜구가 침입했을 때 심연원이 그린 지도로 대응책을 세워 막을 수 있었다.
신도비는 2단의 기단, 거북 모양의 받침돌, 몸돌,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머릿돌에는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차지하려고 서로 다투는 모습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