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청곡서원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산청 청곡서원
Cheonggokseowon Confucian Academy, Sancheong
산청청곡서원.jpg
대표명칭 산청 청곡서원
영문명칭 Cheonggokseowon Confucian Academy, Sancheong
한자 山淸 淸谷書院
주소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청현로99번길 36
지정(등록) 종목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등록)일 2024년 6월 27일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소유자 합천이씨 청현파 문중
관리자 합천이씨 청현파 문중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동
웹사이트 산청 수선사 대반야바라밀다경,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조선 시대 서원은 지방 교육의 상징적인 장소로 학문을 연구하고 선현(先賢)들의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또한 각 지방의 인재들이 수시로 출입하며 교류하던 장소이다.

산청 청곡서원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일신당 이천경을 기리기 위해 세운 곳이다. 조선 숙종 28년(1702) 이천경이 살았던 일신당이 있던 곳에 그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사림*들이 뜻을 모아 사당을 건립하였다. 이후 정조 20년(1796)에 효자인 양촌 유지원을 같이 모셨으며, 18세기 말 ~ 19세기 초에 서원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고종 5년(1868)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고, 이후 후손들이 1896년에 강당, 1924년에 사당을 새롭게 지어 현재는 이천경의 위패**만을 모시고 있다.

서원은 앞쪽에 교육 공간을 두고 뒤쪽으로 사당을 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식을 이룬다. 출입문인 경덕문(景德門)을 지나면 교육 공간인 강당이 있으며, 그 뒤로 내삼문과 사당인 백원사(百源祠)가 있다. 서원의 오른쪽에는 서원철폐령 때 함께 철거되었던 일신재(日新齋)가 복원되었다. 강당과 사당은 전체적으로 조선 시대 서원 건축의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세부 기법에서는 근대적 특성과 지역성이 확인된다.


  • 사림(士林): 유학을 신봉하는 무리
  • 위패(位牌): 단(壇), 묘(廟), 원(院), 절 따위에 모시는 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

영문

Cheonggokseowon Confucian Academy, Sancheong

A Confucian academy, called seowon in Korean, is a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at usually combined the functions of a Confucian shrine and a lecture hall.

Cheonggokseowon Confucian Academy commemorates Yi Cheon-gyeong (1538-1610), a scholar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It is located at the site of Ilsindang Hall, established by Yi in his later years as a venue for teaching his students. In 1702, the Confucian community built a shrine next to the lecture hall to commemorate Yi’s Confucian scholarship. The complex was elevated to the status of a Confucian academy at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but was demolished in 1868 when most shrines and Confucian academies were shut down by a nationwide decree. Yi’s descendants rebuilt the lecture hall and the shrine in 1896 and 1924, respectively. In addition to Yi, the scholar Yu Ji-won (1634-1710), known for his filial devotion, was also venerated at the shrine from 1796 to 1868.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a lecture hall, an inner gate, and a shrine, which follows the customary arrangement of the lecture area in the front and the ritual area in the back. The overall architectural style is typical of Confucian academies from the Joseon period, yet moder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the details of the craftsmanship. To the right of the Confucian academy is the recently reconstructed Ilsindang Hall.

영문 해설 내용

서원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으로, 선현 제향과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청곡서원은 조선시대의 학자인 이천경(1538-1610)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서원이 있는 자리는 이천경이 만년에 일신당을 건립하여 강학하던 곳이며, 1702년 사림들이 뜻을 모아 일신당 옆에 사당을 짓고 그의 학덕을 기렸다. 18세기 말-19세기 초에 서원으로 승격되었으나,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 이후 이천경의 후손들이 1896년에 강당, 1924년에 사당을 새롭게 지었다. 효행으로 알려진 유지원(1634-1710)도 1796년부터 1868년까지 잠시 이곳에 모셨다.

청곡서원은 정문, 강당, 내삼문,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육공간을 앞에 두고 제향공간을 뒤쪽에 둔 전형적인 형식이다. 전체적으로 조선시대 서원 건축의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세부 기법에서는 근대적 특성과 지역성이 확인된다. 서원의 오른쪽에는 새로 지은 일신당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