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로사 진공대사 보법 탑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 탑비
Stele of Buddhist Monk Jingong at Birosa Temple
비로사 진공대사보법탑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비로사 진공대사 보법 탑비
영문명칭 Stele of Buddhist Monk Jingong at Birosa Temple
한자 毘盧寺 眞空大師 普法 塔碑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삼가로 661-19, 비로사경내 (삼가리)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호
지정일 1972년 12월 29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비로사 진공대사보법탑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진공대사보법탑비의 ‘진공’은 죽은 뒤 공덕을 칭송하려고 왕이 하사한 이름인 시호(諡號) 이며, ‘대사’는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이다. ‘보법’은 승려의 다른 이름이면서 죽은 뒤 업적을 기리려고 세워지는 탑의 이름인 탑호(塔號), ‘탑비’는 승려의 생애를 기록한 비석을 의미한다.

진공(855-937) 대사는 남북국 시대와 고려 시대에 걸쳐 활약한 승려이다. 일찍이 부모가 죽자 가야산으로 출가하여 선융(善融)의 제자가 되었다. 소백산에서 수도할 때 고려 태조가 찾아와서 법문*을 청하였고 진공 대사의 설법*에 태조는 크게 감화를 받았다. 진공 대사가 입적하자 태조는 939년에 시호와 탑호를 내리고 보법탑 옆에 진공대사보법탑비를 세우게 하였다. 비에 새긴 글은 문신이자 서예가인 최언위(崔彦撝)가 지었고 글씨는 당시 명필가인 이환추(李桓樞)가 썼다. 보법탑(普法塔)은 원래 비로사 인근의 부도골이라는 골짜기에 있었다. 어느 시점에 비로사 안으로 옮겨왔지만, 1960년대 무렵에 없어졌다고 한다.

비는 높이 173㎝, 너비 102㎝, 두께 22㎝의 크기이다. 거북받침돌 위에 비신(碑身)을 세우고 산(山)자 모양의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비신은 여러 개로 파손된 것을 복원하였지만, 일부는 없어졌다. 거북받침돌은 얕게 조각하여 입체감이 약하고 머릿돌에는 구름과 용무늬를 새겼다. 비의 글자는 세련되지만 힘차고 정돈된 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楷書)*로 썼다. 뒷면에는 진공대사가 입적할 때 남긴 교훈인 유계(遺誡)를 새겼다.

진공대사보법탑비는 진공대사라는 인물, 나말여초의 승려 활동, 신라 친족 집단의 성격 규명 등 여러 분야 연구에 귀중한 금석문 자료이다.


  • 법문 : 보통 스승이 제자를 깨우치기 위해 설하는 말씀, 불교에서는 불법에 관해 묻고 대답하는 일
  • 설법 : 불교의 교의를 풀어 밝힘
  • 구양순체의 해서 : 구양순체는 중국 당나라 서예가 구양순의 서체, 해서는 한자 서체의 한 종류

영문

Stele of Buddhist Monk Jingong at Birosa Temple

This stele was erected to honor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Jingong (855-937), an eminent Buddhist monk at the turn of the Unified Silla (668-935) and Goryeo (918-1392) periods. After a monk’s death, a stupa, which contains his remains, and a stele were erected in his honor.

Jingong was born in today’s Gyeongju area. After his parents died, he went to Gayasan Mountain and became a Buddhist monk. While he was practicing at Sobaeksan Mountain, he was visited by King Taejo (r. 918-943) of the Goryeo dynasty who listened to his teachings. He died at Birosa Temple. In 939, King Taejo bestowed upon him the posthumous name Jingong, meaning “True Emptiness,” and had a stupa built named Bopeoptap, meaning “Stupa of Universal Teachings.”

The stele consists of a tortoise-shaped pedestal, a body stone with an inscription, and a capstone engraved with cloud and dragon designs. The stele had been found in a collapsed state and was repaired in 1972, with some damaged parts being replaced with new stone. During excavations in 2008 when one of Birosa Temple’s worship halls was being expanded, the lower part of the body stone was discovered which contained a missing part of the inscription.

The stele’s inscription was composed by the civil official Choe Eon-wi (868-944), calligraphed by the renowned calligrapher Yi Hwan-chu, and inscribed by Choe Hwan-gyu. The inscription on the front of the body stone includes the meeting with King Taejo and poetry commemorating Monk Jingong, while the inscription on the back includes the dying injunctions he left to his disciples.

The stupa which accompanied the stele is said to have gone missing sometime in the 1960s.

영문 해설 내용

이 비는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걸쳐 활약한 승려 진공대사 (855-937)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한 탑비이다. 이러한 탑비는 스님의 사후에 사리나 유골을 모신 승탑과 함께 조성된다.

진공대사는 오늘날의 경주 출신이며, 부모가 죽은 후 가야산에서 출가했다. 그가 소백산에서 수도할 때 고려 태조가 찾아와 설법을 청했다. 비로사에서 입적하였으며, 939년 태조가 ‘진공’이라는 시호와 ‘보법’이라는 탑호를 내렸다.

비석은 거북 모양의 받침돌, 비문이 새겨진 몸돌, 구름과 용으로 장식된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무너져 있었던 것을 1972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하면서 파손된 부분은 새로운 석재로 바꾸었다. 2008년 비로사의 전각 중창을 위한 발굴조사에서 사라졌던 비문 하단의 파편이 발견되었다.

비문은 문신 최언위(868-944)가 짓고 글씨는 명필로 이름난 이환추가 썼으며, 최환규가 글씨를 새겼다. 비문에는 태조를 만났던 이야기와 대사를 추모하는 시구 등의 내용이 있으며, 비석 뒷면에 그가 입적 당시 제자들에게 남긴 유훈이 새겨져 있다.

탑비와 함께 세워졌던 승탑은 1960년대 무렵에 없어졌다고 한다.

참고자료

  • 영주 소백산 비로사, 해 뜨는 동해에서,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ewanblue/222189411510 -> 비로사 ; 비로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로 신라 문무왕 20년(680)에 의상조사가 창건하였다. 통일신라 말엽에 진공(鎭空)대사가 주석하였는데, 고려 태조가 대사를 친견하고 귀의하였다. 고려 인종 4년(1126)에는 석가모니불의 치아(齒牙)를 봉안하였다. 조선 선조 25년(1609)에 왜병과의 전쟁으로 전소되었다가 광해군 1년(1609)에 왕명으로 중창되었다.
  • 비로사 진공대사보법탑비, 디지털영주문화대전 http://yeongju.grandculture.net/yeongju/toc/GC07400475
  • 진공대사 보법탑비 碑身 파편 영주서 발견, 영남일보, 2008.7.12.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080712.01007072026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