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유천리 요지
부안 유천리 요지 Kiln Site in Yucheon-ri, Buan |
|
대표명칭 | 부안 유천리 요지 |
---|---|
영문명칭 | Kiln Site in Yucheon-ri, Buan |
한자 | 扶安 柳川里 窯址 |
주소 |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14번지 |
지정(등록) 종목 | 사적 제69호 |
지정(등록)일 | 1963년 1월 2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산업생산/요업/도자기가마 |
시대 | 고려시대 |
수량/면적 | 214,125㎡ |
웹사이트 | 부안 유천리 요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요지는 자기나 기와, 그릇을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부안 유천리 요지는 일제강점기인 1929년 노모리켄(野守健)이 인근에 있는 우동리 요지를 조사하는 과정에 우연히 발견되어 알려지게 되었다. 이 요지는 고려 시대 11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상감청자를 비롯하여 각종 청자를 만들었던 곳으로 전남 강진과 더불어 대표적인 요지로 손꼽히고 있다.
유천리 요지는 7개 구역으로 구분되는데 전 구역에 걸쳐 약 40여 개의 청자 가마터가 발견되었다. 1, 2구역은 가마터가 있으나, 대부분 밭이나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3구역은 가장 많은 청자 가마가 분포하고 있다. 4구역은 3구역과 인접해 있는데 대부분 논과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5, 6구역은 소나무 숲과 밭으로 경작되고 있다. 7구역에서는 아궁이와 그릇을 두는 곳인 번조실, 굴뚝부로 구성된 반지하식 가마 5기가 조사되었다.
2~5구역에서 조사된 청자는 비색청자와 국화, 연화, 모란 등 꽃과 식물을 소재로 하는 무늬가 주로 새겨졌으며 이외에도 앵무새, 구름 속을 나는 학 등의 동물무늬와 상감기법*이 적용된 무늬의 도자기도 만들어졌다. 접시, 밥그릇, 잔 등의 일상용기뿐만 아니라 의자, 벽에 장식한 타일 등 종류가 다양하다. 특히 3구역에서는 최고품질의 비색청자와 상감청자가 만들어졌다.
유천리 요지는 우수한 재료와 제작기술을 이용하여 고려 왕실과 귀족층이 사용하는 최상급 도자기를 생산한 곳으로써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 상감기법: 소재의 표면에 무늬를 새겨 그 부분에 다른 색깔의 재료를 메워 넣는 기법으로 상감 재료로는 돌, 조개껍데기 등이 있음
영문
Kiln Site in Yucheon-ri, Buan
This is a site of kilns that was active from the 11th to 14th centuries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to produce top quality celadon for the royal family and the aristocratic class. The Byeonsan Peninsula area in Buan was abundant in trees for firewood and, as an important point in marine transportation, this region was optimal for shipping the finished products to the capital.
The kiln site in Yucheon-ri was discovered accidentally in 1929 by the Japanese scholar Nomori Ken (1887-1970) while he was conducting an excavation in the neighboring kiln site in Udong-ri. The kiln site in Yucheon-ri consists of seven zones with 42 remaining kilns in total.
Zone 3 has the most celadon kilns and is where the highest quality inlaid celadon was produced. Many artifacts excavated here point to a connection with the Goryeo royal family, such as shards of high-quality celadon decorated with phoenixes or dragons which were symbols of royal authority, as well as shards of roof tiles with the inscription “royal office (官),” and the remains of four large building sites. In Zone 6, celadon kilns with relatively intact structures were discovered. In Zone 7, five semi-underground kilns were discovered. Two out of the five are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and so a pavilion was built to protect them and allow them to be viewed by the public.
The majority of Zones 1, 2, 4, and 5 are currently farmland. The artifacts discovered in these zones are mainly carved with a floral design such as chrysanthemum, lotus, or peony or an animal design such as a parrot or crane. The excavated celadon shards had a variety of forms, such as everyday tableware including plates, bowls, vases, and cups, as well as chairs, roof tiles, and wall tiles.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고려시대인 11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왕실과 귀족층이 사용하는 최상급 청자를 제작하던 가마터이다. 부안의 변산 지역은 땔감으로 쓸 나무가 풍부하였고, 조운의 중요한 거점으로서 완성된 제품을 해로를 통해 신속하게 수도로 운송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1929년 일본인 학자 노모리켄(1887-1970)이 인근에 위치한 우동리 요지를 조사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7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42기의 가마터가 남아있다.
가장 많은 청자 가마터가 분포하고 있는 곳은 3구역으로, 최고 품질의 상감청자가 만들어지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대규모의 건물지를 비롯해 봉황이나 용처럼 왕실의 권력을 상징하는 무늬로 장식된 최상급의 청자 조각들, ‘관(官)’ 등의 글자가 새겨진 기와 조각, 건물지 4개소 등 고려 왕실과의 연관성을 짐작하게 하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6구역에서는 전체 구조가 비교적 온전한 상태의 청자 가마가 발견되었다. 7구역에는 반지하식 가마 5기가 발견되었으며, 이중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2기에 보호각을 씌워 관람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1,2,4,5 구역은 현재 대부분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이곳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주로 국화, 연화, 모란 등 꽃과 식물을 소재로 하는 무늬가 새겨졌으며, 앵무새와 학 등의 동물 무늬를 새긴 것도 있다. 접시, 밥그릇, 꽃병, 술잔 등의 일상 용기를 비롯해 의자, 기와, 벽을 장식하기 위한 타일 등 다양한 종류의 청자 조각들이 다량 출토되었다.
참고자료
- 쏠쏠한 일상,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cjkks/221492268131
- 부안 유천. 진서리 청자요지 조사 보고서,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994. -> 기본 정보 확인
- 부안청자박물관 https://www.buan.go.kr/buancela/index.buan?menuCd=DOM_000001201003003000 -> 야외전시장 (가마 보호각)
- 요지의 보존정비 관리방안 연구, 문화재청, 2015 -> 학술조사 현황 제시
- 부안 유천리 3구역 고려청자요지 연구, 이윤정, 고려대 석사논문, 2020. -> 기본 현황 42개로 소개함.
- 부안 도자 자료집 1 - 부안 유천리고려도자, 전라북도 부안군, 2006.(부안청자박물관 제공 자료집-읽기전용) https://www.buan.go.kr/buancela/board/view.buan?boardId=BBS_0000100&menuCd=DOM_000001202001005000&dataSid=52693 -> 확인되는 가마유적 개수 : 다른 자료에 가마터로 추정되지만 민가가 있어 확인이 어렵다는 설명이 있으므로 참고할 필요 있을 듯.
- -> 가마 운용 시기에 대한 언급 : 기존 국문에는 11세기~14세기로 넓게 잡혀있으나, 출토된 유물들을 기준으로 대부분 12세기에서 13세기로 편년하고 있으므로, 원고에서도 12-13세기로 비정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함.
- 발굴현장 설명회 보도자료 - 문화재청, 2018.7.24.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0908§ionId=b_sec_1&pageIndex=1&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 -> 3차에 걸친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자기 가마, 건물지, 고급자기, 도범 조각, ‘관(官)·신동(申棟)’명이 새겨진 기와 등을 미루어 볼 때 유천리 요지 3구역은 왕실에 공납하는 최상급 관용(官用) 자기를 생산하였던 곳으로 판단된다.
- 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서 ‘전체 형태 고려 청자가마’ 첫 확인, 전북일보, 2019.6.17. https://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49244 -> 국내에서 조사된 고려 시대 청자가마에서 초벌 칸을 운용하던 사례는 강진 사당리 43호가 있으나, 초벌 칸과 연결된 유물 퇴적구에서 초벌 청자가 다량으로 조사된 점은 가마구조의 발전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괄목할 만한 성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