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강 남성골산성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강 남성골산성
Namseonggolsanseong Fortress, Bugang
대표명칭 부강 남성골산성
영문명칭 Namseonggolsanseong Fortress, Bugang
한자 芙江 南城谷山城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산 24 외 29필지
지정번호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9호
지정일 2012년 12월 31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58,167㎡
웹사이트 부강 남성골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1

부강 남성골산성은 5세기 중·후반에 고구려에서 쌓은 산성이다. 목책(나무 울타리)과 성벽으로 띠를 두르듯 쌓아 올린 퇴뫼식 산성*이며 전체 둘레는 440m 정도이다.

목책은 내곽과 외곽을 이중으로 두른 형태이며 성벽은 흙과 돌로 되어 있다. 외곽에서 내곽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방어하기 위해 4개의 호*가 설치되어 있다. 발굴 과정에서 집터, 창고시설, 토기가마와 토기, 철제 말 재갈, 금귀걸이 등이 출토되었다.

금강을 끼고 있는 부강은 삼국시대부터 수로와 육로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우리나라에서 성터가 가장 밀집해 있는 지역이다. 부강에서 발견된 10곳 정도의 성터 중심에 위치한 남성골산성은 한반도 중부 지역에 영향력을 확장하려던 고구려의 군사 활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 자료로 평가된다.


  • 퇴뫼식 산성: 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성벽을 두른 형식
  • 호(濠) : 성 주위의 방어와 경계용 구덩이

2

부강 남성골산성은 5세기 중·후반에 고구려에서 쌓은 퇴뫼식 산성*이다. 목책(나무 울타리), 흙, 돌을 활용하여 쌓아 올렸으며, 산성의 전체 면적은 5,600㎡이고 둘레는 440m 정도이다. 저장용 구덩이, 집터, 창고시설, 토기가마와 토기, 철제 말 재갈, 금귀걸이 등이 산성의 내부에서 출토되었다.

산성은 정상부의 내곽과 경사면의 외곽이 이중으로 둘러 있는 형태이며, 4개의 호*가 외곽에서 내곽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내곽은 두 겹의 목책으로 되어 있으며, 목책 안쪽에서 원형의 구덩이들과 집터 등이 발견되었다. 내곽의 서쪽과 동쪽에 문터가 위치해 있으며, 치성* 1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동쪽 문터의 돌로 쌓은 성벽은 기존 목책 성벽이 불타고 난 후 조성한 것이다. 성을 쌓는 기법이 목책에서 돌로 변화하였다는 점에서, 동쪽 문터의 성벽은 성벽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이다. 가장자리의 외곽도 두 겹의 목책으로 설치되었으며, 구들이 있는 집과 창고 자리, 치성 2개소, 토기 등이 목책 안쪽에서 발굴되었다.

남성골산성의 북쪽에는 성재산성(성재山城)과 복두산성(幞頭山城)이 있고, 남동쪽에는 노고봉산성(老姑峰山城)과 애기바위산성(애기바위山城)이 있으며, 남쪽과 서쪽에는 각각 성산성(城山城)과 테뫼산성(테뫼山城) 등이 있다. 밀집해 있는 산성들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남성골산성은 한반도 중부 지역에 진출한 고구려의 요충지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 퇴뫼식 산성 : 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성벽을 두른 산성
  • 호(濠) : 성 주위의 방어와 경계용 구덩이
  • 치성(雉城) : 성벽의 바깥으로 덧붙여서 쌓은 벽

영문

Namseonggolsanseong Fortress, Bugang

1

Namseonggolsanseong Fortress, located on a hill (105 m above sea level) in Bugang-myeon Township, Sejong, was built between the mid- to late 5th century by the Goguryeo kingdom (37 BCE-668 CE). It is a valuable testament to Goguryeo’s military activities aimed at controlling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Measuring about 440 m in total circumference, the fortress consisted of stone and earthen walls, as well as inner and outer wooden palisades that encircled the hill’s top and slope, respectively. Along the slope between the two palisades, four trenches were installed to increase defenses.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the site revealed residential building sites, storage facilities, earthenware kilns, earthenware, metal horse bits, gold earrings, and other artifacts.

Located in the basin of the Geumgang River, Bugang-myeon Township has long been a strategically important hub for water and land routes. As of today, about ten fortress sites have been confirmed in the area, making i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fortresses in Korea.

2

Namseonggolsanseong Fortress, located on a hill (105 m above sea level) in Bugang-myeon Township, Sejong, was built between the mid- to late 5th century by the Goguryeo kingdom (37 BCE-668 CE).

Measuring about 440 m in total circumference and about 5,600 m² in total area, the fortress consisted of stone and earthen walls and an inner and outer wooden palisade. The inner and outer palisade, each comprised of two parallel wooden fences, encircled the hill’s summit and slope, respectively. The inner palisade was equipped with one bastion, an eastern gate, and a western gate, while the outer palisade had two bastions. Along the slope between the two palisades, four trenches were also installed to increase defenses.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the site revealed residential storage pits, building sites, storage facilities, earthenware kilns, earthenware, metal horse bits, gold earrings, and other artifacts. Circular pits and building sites were discovered in the area within the inner palisade, while building sites with underfloor heating, storehouse sites, and earthenware artifacts were discovered in the area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lisades. Notably, a stone wall built after the original wooden palisade burnt down was discovered at the site of the eastern gate, which serves as an important piece of archaeological evidence showing the transition from wood to stone in the construction of fortress walls.

In the vicinity of Namseonggolsanseong Fortress, there are many other fortresses, such as Seongjaesanseong and Bokdusanseong Fortresses to the north, Nogobongsanseong and Aegibawisanseong Fortresses to the southeast, Seongsanseong Fortress to the south, and Temoesanseong Fortress to the west. Judging by its location in the center of a densely clustered fortress network, Namseonggolsanseong Fortress is presumed to have been Goguryeo’s strategic center during its expansion into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영문 해설 내용

1

세종시 부강면 야산(해발 105m)에 위치한 남성골산성은 5세기 중·후반에 고구려가 쌓은 산성이다. 남성골산성은 한반도 중부 지역에 영향력을 확장하려던 고구려의 군사 활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전체 둘레가 440m 정도인 이 산성은 흙과 돌로 만든 성벽, 정상부의 내곽과 경사면의 외곽을 이중으로 두른 목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곽과 외곽 사이에는 능선을 방어하기 위해 4개의 호가 설치되어 있었다. 발굴 과정에서 집터, 창고시설, 토기가마와 토기, 철제 말 재갈, 금귀걸이 등이 출토되었다.

금강을 끼고 있는 부강 지역은 오랫동안 수로와 육로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이 일대에서는 지금까지 10곳 정도의 성터가 발견되었으며, 한국에서 산성이 가장 밀집해 있던 지역이다.

2

세종시 부강면 야산(해발 105m)에 위치한 남성골산성은 5세기 중·후반에 고구려가 쌓은 산성이다.

이 산성은 전체 둘레가 440m 정도이고 전체 면적은 5,600㎡이며, 흙과 돌로 만든 성벽, 내곽과 외곽의 목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곽과 외곽은 각각 야산의 정상부와 경사면을 두 겹의 목책으로 둘렀다. 내곽에는 치성 1개소, 동문과 서문이 있었고, 외곽에는 치성 2개소가 있었다. 내곽과 외곽 사이에는 능선을 방어하기 위해 4개의 호가 설치되어 있었다.

남성골산성의 발굴조사 결과 저장용 구덩이, 집터, 창고시설, 토기가마와 토기, 철제 말 재갈, 금귀걸이 등이 출토되었다. 내곽의 목책 안쪽에서는 원형의 구덩이들과 집터 등이 발견되었으며, 외곽과 내곽의 목책 사이에서는 구들이 있는 집과 창고 자리, 토기 등이 발견되었다. 동쪽 문터의 돌로 쌓은 성벽은 기존 목책 성벽이 불타고 난 후 조성한 것인데, 성을 쌓는 기법이 목책에서 돌로 변화하였다는 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이다.

남성골산성 주변에는 북쪽의 성재산성과 복두산성, 남동쪽의 노고봉산성과 애기바위산성, 남쪽의 성산성, 서쪽의 테뫼산성 등 여러 산성들이 축성되었다. 밀집한 산성들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남성골산성은 한반도 중부 지역에 진출한 고구려의 요충지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 유물 및 유구 단복수 확인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