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송재 고택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반송재 고택
Bansongjae House
반송재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반송재 고택
영문명칭 Bansongjae House
한자 伴松齋 故宅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462번지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62호
지정일 1992년 7월 18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일곽
웹사이트 반송재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반송재 고택은 조선 시대 문신 갈천(葛川) 김빈(金賓, 1621~1694)이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향으로 돌아와 조선 숙종 6년(1680) 경에 처음 세웠다.

210여년 뒤 구한말의 대신 이유인이 99칸 대저택을 지으려고 2,000여 평의 부지를 매입할 때 그 땅에 있던 갈천 고택도 함께 사들였다. 갈천 고택은 고종 36년(1899)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지었고, 이유인의 동생인 이유직(李裕直)이 살았다. 그 후 1940년 김빈의 아우인 반송헌 김정(伴松軒 金貞)의 10대 주손 김환명(金煥明)이 이를 되찾아 반송헌의 종가로 삼으면서 ‘반송재’라 이름 붙였다.

고택의 전체적인 구조는 튼‘ㅁ’자형으로, ‘ㄷ’자형 안채와 ‘ㅡ’자형 사랑채를 남쪽으로 두고 곳간채는 동쪽으로 두었다.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3칸 반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고, 사랑채는 정면 5칸 반,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사랑채 가운데 있는 2칸의 대청은 앞에 장지문* 네 짝을 달아 마루방으로 꾸몄다. 각 방의 여러 종류의 창호 형식, 창문틀의 구조 수법 등이 섬세하고 우아하다.

반송재 고택은 영남 북부 지방의 전형적인 사대부 가옥 배치와 평면 구성법을 지니고 있어 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이 돋보인다.


  • 장지문(障紙門): 연이어 있는 방 또는 방과 마루 사이에 있는 미세기 문

영문

Bansongjae House

Bansongjae House was established circa 1680 by the civil official Kim Bin (1621-1694) after he had retired and returned to his hometown.

In 1898, the newly appointed Minister of Justice, Yi Yu-in (?-1907), purchased a large amount of land in Geumdangsil Village, including this house, to build a large estate. In 1899, the house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from elsewhere in the property and used as the residence of Yi Yu-in’s younger brother Yi Yu-jik. In 1940, once again came into the possession of the Kim family when Kim Hwan-myeong, a 10th-generation descendant of Kim Bin’s younger brother Kim Jeong (pen name: Bansongheon), acquired it to use as the head house of his family, at which point it got its current name.

The house consists of a gate quarters, a men’s quarters, a women’s quarters, and a storehouse. The gate quarters and the storehouse have thatched roofs. The men’s quarters has a large wooden floored hall in the center with liftable doors that allow the space to be opened up as needed. The men’s quarters and women’s quarters are strictly separated, which was a typical feature of the upper-class houses of the Gyeongsangbuk-do area.

영문 해설 내용

반송재는 문신 김빈(1621-1694)이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향으로 돌아와 1680년 무렵에 세웠다.

1898년 법부대신을 역임한 이유인(?-1907)이 금당실 마을에 저택을 짓기 위해 땅을 사들이면서, 그 땅에 있던 이 집을 함께 샀다. 1899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지었으며, 이유인의 동생인 이유직이 살았다. 1940년 김빈의 동생인 김정(호 반송헌)의 10대손 김환명이 이 집을 되찾았고, 가문의 종가로 삼으면서 ‘반송재’라 이름 붙였다.

반송재는 대문채, 사랑채, 안채, 곳간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문채와 곳간채는 초가지붕을 올렸다. 사랑채는 가운데 넓은 대청 앞면에 문을 달아 마루방처럼 사용하였다. 안채와 사랑채 영역을 철저하게 구분하는 등 경상북도 지역 사대부 가옥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참고자료

  • 예천의 고택, 반송재 고택(伴松齋 故宅), 겨울섬, 개인 블로그, https://gotn.tistory.com/1134 -> 내부 사진 상세 / 반송재는 조선 숙종때 도승지·예조참판 등을 지낸 갈천 김빈의 동생 김정이 1670~1690년경에 지은 집이며, 김빈은 벼슬을 그만 두고 낙향하여 말년을 이 곳에서 보냈는데, 한말에 가세가 기울어진 그의 자손들이 집을 팔려고 내놓자, 당시 법무대신이었던 이유인(李裕寅)이 매입하여 1899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지었습니다. / 담장 안에 있는 안채와 사랑채는 남향으로 배치하였고 곳간채는 동쪽을 향하고 있는데, 사랑채 앞에 담장과 연결된 대문채가 있는데,영남 북부지방의 전형적인 사대부 가옥 배치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 [예천 여행] 반송재 고택, 어제와 다른 오늘을 꿈꾸며,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daumigi/221173007061 -> 현장 안내판 사진.
  • [박종인의 땅의 歷史] 예천 금당실 솔숲에 숨은 근대사의 비밀 [168] 나라를 가지고 놀았던 법부대신 이유인의 일생, 조선일보, 2019.06.12.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12/2019061200064.html -> 이유인 생애 및 금당실 정착 과정 / 금당실은 임진왜란 전 남사고(南師古)가 십승지 가운데 하나라 부른 곳이다. 금당실은 아름답다. 뒤로 오미산이 한가롭고 사방으로 들판이 기름지다. 금당실에서 이유인은 '양주대감'이라 불린다. 1901년 이유인은 경북관찰사로 임명됐다. 1899년 아들 이소영이 예천군수로 임명돼 있었다. 이소영 고향이 예천이니, 이는 연고지를 피해야 하는 조선 법 '상피제(相避制)'에 어긋난다. 특혜인사를 강행한 데는 특수한 목적이 있었을 것인데 나중에 알고 보니 바로 금당실 아흔아홉 칸 저택 신축이었다.(김봉균, '예천지명 유래', 예천문화원, p360) 품삯 한 푼 안 주고 이유인은 대궐 같은 집을 지었다.
  • 벼락부자의 99칸 집, 왜 흔적도 없이 사라졌을까, 오마이뉴스, 2019.4.8.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24621 -> 반송재고택은 마을 한가운데 있다. 남악 김복일의 증손, 김빈이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17세기 말엽에 지은 집이다. 이후 이유인이 매입하여 1899년에 현 집터로 이건하였다. 사랑채 뒤에 후원이 있는 점이 특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