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팽년 선생 유허비
박팽년 선생 유허비 Stele of Bak Paeng-nyeon |
|
대표명칭 | 박팽년 선생 유허비 |
---|---|
영문명칭 | Stele of Bak Paeng-nyeon |
한자 | 朴彭年 先生 遺墟碑 |
주소 | 대전광역시 동구 우암로326번길 28 (가양동) |
지정(등록) 종목 |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 |
지정(등록)일 | 1989년 3월 18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박팽년 선생 유허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박팽년선생 유허비는 사육신의 한 사람인 박팽년의 절의를 추모하기 위해 그가 살던 집터에 세운 비이다. 유허비에는 박팽년의 집터가 있었던 흥농촌(興農村) 왕대벌(王竹丘: 현 가양동 116-1)과 그 일대의 순천박씨 현황이 적혀 있다.
박팽년은 형조판서를 지낸 박중림의 아들로 태어났다. 세종 16년(1434)에 알성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집현전 학사를 지냈다. 1455년 세조가 즉위하자, 박팽년은 성삼문, 유성원, 유응부, 이개, 하위지 등과 단종 복위를 도모했다. 그러나 세조 2년(1456) 6월 2일 김질의 고발로 발각되어 국문을 받은 후 옥에서 사망했다. 이후 그의 부친과 형제, 조카들까지도 참혹하게 처형되었다.
효종 때 동춘당 송준길이 회덕현에 사당을 짓고 배향하기를 청하여 왕의 재가를 받았으나 조정 내의 이견으로 시행하지 못했다. 이후 현종 9년(1668)에 지역의 유림들이 박팽년의 유허에 비를 세우게 되었고, 비문은 같은 해 4월 22일 송시열이 지었고, 글씨는 송준길이 썼다.
송상기가 지은 ‘정절서원에 평양 박선생을 봉안하는 제문’에 따르면 1668년 박팽년의 유허에 비를 세우고, 1672년에 비각을 지어 장절정(壯節亭)이라 이름을 붙이고 제사를 거행했다고 한다. 숙종 10년(1684)에는 유림들이 현재의 대전광역시 동구 가양동에 정절서원을 창건하고 박팽년의 위패를 봉안했다. 현재의 비각은 한국전쟁 때 파괴되었다가 16대손 박상동이 중건한 것이다.
영문
Stele of Bak Paeng-nyeon
This stele was erected in 1668 to honor the civil official Bak Paeng-nyeon (1417-1456) and commemorate the site of his birth.
Bak Paeng-nyeo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434 and served several government posts. In 1455, when Prince Suyang (i.e. King Sejo, r. 1455-1468) usurped the throne from his nephew King Danjong (r. 1452-1455), Bak together with other loyal subjects of Danjong planned to return the throne to the young king. But when their plan was exposed, Bak was tortured and died in prison. The six officials, including Bak, who were executed or killed by torture by King Sejo are known as the Six Martyred Ministers.
After Bak’s death, the local Confucian community wanted to establish a shrine to venerate him, but due to the protest of the royal court, the shrine was never built. In 1668, local Confucians erected this stele here at the site of Bak’s childhood home. The text of the inscription was composed and calligraphed, respectively, by Song Si-yeol (1607-1689) and Song Jun-gil (1606-1672), two prominent politicians and scholars of the time. The name of the stele was calligraphed by the civil official and calligrapher Min Yu-jung (1630-1687).
After the original pavilion housing the stele was destroyed in the Korean War (1950-1953), a 16th-generation descendant of Bak Paeng-nyeon, Bak Sang-dong, built the current pavilion.
영문 해설 내용
이 비는 조선시대의 충신 박팽년(1417-1456)을 추모하고 그의 옛집 터를 기념하기 위해 1668년에 세운 것이다.
박팽년은 1434년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1455년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재위 1452-1455)을 폐하고 왕위에 오르자, 이에 반대한 이들과 함께 단종을 복위시키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그들의 모의는 발각되었고, 박팽년은 모진 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감옥에서 죽었다. 박팽년을 비롯하여 이때 목숨을 잃은 6명의 충신을 사육신이라고 부른다.
이후 대전 지역 유림이 박팽년을 기리는 사당을 짓고자 하였으나, 조정 내의 이견으로 시행하지 못하였다. 1668년 지역 유림은 박팽년의 생가 터에 유허비를 세웠다. 비문은 당시 조선 정치계와 사상계의 영수였던 송시열(1607-1689)이 지었고, 글씨는 문신 송준길(1606-1672)이 썼으며, 문신이자 서예가인 민유중(1630-1687)이 비 제목의 글씨를 썼다.
비각은 1672년 지역 유림들이 처음 지었으며, 지금의 비각은 한국전쟁 때 파괴되었던 것을 박팽년의 16세손인 박상동이 다시 지었다고 한다.
참고자료
- 불사이군의 절개를 지킨 사육신 박팽년선생유허비, 지역N문화 https://ncms.nculture.org/archival/story/4695 ->
- 박팽년 유허비와 창계 숭절사, 대전이야기, 월간대전이즈유 https://www.daejeon.go.kr/its/ItsdjNormalboardView.do?boardSeq=1289&boardGubun=itsdj04 -> 비문 내 유허비 건립 경위 설명 상세 / 흥룡촌 언급. / 비각 안 현판 설명
- 박팽년선생유허비 [朴彭年先生遺墟碑], 花岩의 世上萬事,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hnguibok -> 비문 전문 확인(원문 및 해석)
- 대전 박팽년선생유허비, 백조,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j488/221293305047 -> 옆면 이미지 글자 확인 가능(송준길, 송시열, 민유중 정보.)
- 박팽년선생유허비, 두산백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5675 -> 비석 네 면 이미지 확인
- 한밭고을 02, 숲샘,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oopsaem/222136952492 -> 동판 정보
- 비석에 새겨진 내용들 : 앞면에는 평양박선생유허비(平陽朴先生遺墟碑)’라고 새겨져 있는데 ‘평양’은 전라도순천의 옛 이름이다. 이것은 박팽년이 순천 박씨라는 뜻이다.
비문의 내용은 왼쪽부터 시작한다. 왼쪽에는 회덕현(현 대전 가양동)에 있는 박팽년과 관련한 인물들의 묘가 있다는 내용과 이곳에 순천박씨 사람들이 많이 살았다는 내용이 있다. 여기에서는 지명을 ‘흥룡촌(興龍村)’이라고 적고 있는데, 이는 역적으로 몰릴 위험이 있어 후에 송시열이 처음에 이곳을 ‘희농촌’이라 했고, 뒤에 다시 ‘흥농촌’이라 했다고 한다.
뒷면에는 유허비가 건립된 과정을 간략하게 밝히고 있다. 효종 재위기에 송준길이 회덕의 사당 건립을 청원하였으나 대신들의 갈등으로 실패하였으며, 시간이 흘러 유지가 황폐해지자 박팽년 선생의 유적이 사라질 것을 염려하여 비를 건립하였다는 내용이다. - 비각 앞 동판은 유허비 내용을 풀어쓴 것으로, 선생 탄생 600주기(2017) 때 문중에서 설치했다.
- 비각 안에는 동쪽 벽면에 비각 현판과 중수기(1771년) 현판이 아래로 나란히 걸려 있고, 중건기(1929년)는 건너편에 걸려 있다.(월간대전이즈유 설명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