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퇴로리 근대 한옥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밀양 퇴로리 근대 한옥
Modern Korean-style House in Toero-ri, Miryang
밀양 퇴로리 근대 한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밀양 퇴로리 근대 한옥
영문명칭 Modern Korean-style House in Toero-ri, Miryang
한자 密陽 退老里 近代 韓屋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2길 18-7
지정(등록) 종목 국가등록문화재 제152호
지정(등록)일 2005년 4월 15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주거숙박시설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4동, 1층, 연면적 217.52㎡
웹사이트 밀양 퇴로리 근대 한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집은 근대 신교육 기관 화산의숙을 설립한 이익구의 차남 이병수(李炳壽)의 살림집으로 지어졌다. 안채와 사랑채는 1910년대에 들어섰다.

안마당을 중심으로 북쪽에 ‘ㅡ’ 자형 안채, 서쪽에 ‘ㄱ’ 자형 사랑채, 안채 정면에 ‘ㅡ’ 자형 곳간채가 자리한다. 사랑채 뒤에는 사당이 있다. 이익구가 짓고 장남 이병희가 살던 ‘퇴로리 이씨 고가’와는 중문(中門)을 통해 앞뒤로 연결돼 눈길을 끈다.

조선 후기 양반집의 건축 형식과 배치를 따르면서도 전후퇴*의 확장, 내부 수납공간* 확대 등에서 근대 한옥의 특징을 보인다. 기존 외관과 공간 구조를 보존하면서 부엌과 화장실을 개조함으로써 공간의 전환을 꾀하던 20세기 초 한옥의 변천 과정을 잘 보여 준다.


  • 전후퇴(前後退): 집채의 앞뒤로 다른 기둥을 세워 만든 조그마한 칸살
  • 수납공간(受納空間): 물건을 넣어 두는 공간

영문

Modern Korean-style House in Toero-ri, Miryang

This house was built by Yi Ik-gu (1838-1912) for his second son Yi Byeong-su (1861-1930) when he started his own family. The women’s quarters and men’s quarters are said to have been built in the 1910s, but the exact year of construction is unknown.

It is said that there were originally seven buildings in the complex. Today, only the women’s quarters, the men’s quarters, a storehouse, a shrine, and a gate quarters remain. The architectural changes that traditional Korean houses underw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are exemplified in this house’s expanded interior storage space, its modernized kitchen and bathroom, and its sliding doors which feature modern materials such as glass panes and aluminum frames.

The gate at the back of women’s quarters connects this house to the Historic House of the Yi Family in Toero-ri. It is the head house of the Jayuheongong Branch of the Yeoju Yi Clan, where Yi Ik-gu and his eldest son Yi Byeong-hui (1859-1938) lived.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이익구(1838-1912)가 둘째 아들 이병수(1861-1930)를 분가시키면서 지어주었다. 정확한 건립연도는 알 수 없으나, 안채와 사랑채는 1910년대에 지어졌다고 한다.

원래 총 7동의 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안채, 사랑채, 곳간채, 사당, 대문채가 남아 있다. 건물 내부의 수납공간을 확대하고, 부엌과 화장실을 개조하였으며, 미닫이 유리창문과 알루미늄 새시와 같은 근대 재료를 활용하는 등 20세기 초 한옥의 변천 과정을 잘 보여준다.

안채 뒤편에 있는 문을 통해 퇴로리 이씨 고가와 서로 연결된다. 이씨 고가는 이익구와 장남 이병희(1859-1938)가 살던 여주이씨 자유헌공파의 종택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