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경덕단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밀양 경덕단
밀양 경덕단,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밀양 경덕단
한자 密陽 景德壇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854번지
지정(등록) 종목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등록)일 2004년 10월 21일
수량/면적 1곽(2,595㎡)
웹사이트 밀양 경덕단,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밀양 경덕단은 밀양 박씨(密陽 朴氏)의 상조(上祖)인 밀성 대군 박언침*과 아들 박욱*, 손자 박란*의 단비*를 모신 제단이다. 홍문관 시독(弘文館 侍讀)을 지낸 창번공 박해철(滄樊公 朴海徹)이 개인 재산을 들여 1927년에 건립하였는데, 세 인물의 무덤 위치가 전해지지 않아 후손인 박해철이 문중의 여러 의견을 수렴한 후 세운 것이다.

단비를 감싸고 있는 벽면에는 당시 중국에서 생산된 것으로 알려진 화려한 모양의 타일 장식이 그대로 남아 있다. 부속 건물인 삼문*의 내벽에는 매화, 소나무와 학, 난초 등의 벽화들이 장식되어 있고, 외벽에는 각종 길상무늬*가 원형으로 남아 있어 건립 당시 화려하고 웅장했던 경덕단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제단에는 시조인 밀성 대군의 비를 중앙에 두고, 박욱의 비를 동쪽에, 박란의 비를 서쪽에 각각 배치하였다. 비문은 독립 선언서에 서명한 민족 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서, 당대 최고의 서예가로 알려진 위창 오세창(葦滄 吳世昌)이 전서체(篆書體)로 적었다. 매년 음력 9월 9일부터 10일까지 양일간에 걸쳐 전국 각지에서 모인 종원(宗員)들이 주축이 되어 단에 제사를 드린다.


  • 박언침(朴彦忱):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8대군 중 장자. 스스로 왕위를 계승하지 않겠다고 하여, 밀성 대군(密城 大君)에 봉해졌다.
  • 박욱(朴郁): 고려의 개국 공신. 태조 왕건을 도운 공으로 진무공신 삼중대광 삼한벽공도 대장군(鎭撫功臣 三重大匡 三韓壁控都 大將軍)이 되어 벽상 공신(壁上 功臣)이 되었다.
  • 박란(朴瀾): 고려의 개국 공신. 아버지인 박욱과 함께 고려를 개국하는데 공훈을 세워 요동독포사(遼東督捕使)가 되었다.
  • 단비(壇碑): 제단에 세운 비석.
  • 삼문(三門): 대궐이나 관청 앞에 세운 세 문. 정문, 동협문, 서협문을 이른다.
  • 길상무늬(吉祥무늬): 장수나 행복 따위의 좋은 일을 상징하는 무늬. 십장생이나 나비 따위의 소재로 구성한다.

영문

Gyeongdeokdan Altar, Miryang

Gyeongdeokdan Altar was built in 1927 to honor the founder of the Miryang Bak clan, Bak Eon-chim (i.e. Prince Milseong), his son Bak Uk, and his grandson Bak Ran.

Bak Eon-chim was the eldest among the eight sons of King Gyeongmyeong (r. 917-924) of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After the king’s early death, Bak Eon-chim abdicated his right of succession, letting his uncle, who became King Gyeongae (r. 924-927), assume the throne. Bak Eon-chim eventually settled in the Miryang area, thus becoming the founder of the Miryang Bak clan. Bak Uk and Bak Ran, as representatives of the local elite, lat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for which they were honored as meritorious subjects. As the tomb sites of these three patriarchs are unknown, the clan’s descendant Bak Hae-cheol (1868-1934) built this altar at his expense with the consent of the clan members as a place to venerate them. Each year, the clan holds a two-day veneration ceremony at this altar on the 9th and 10th days of the 9th lunar month.

The altar enshrines the steles of Bak Eon-chim, Bak Uk, and Bak Ran in the center, right, and left, respectively. The steles’ names, inscribed down the front in seal script, were calligraphed by O Se-chang (1864-1953), a renowned calligrapher and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The altar complex also features a main gate quarters in the front and an enclosure wall around the back and sides. The gate quarters, which features a tile roof and red brick walls, is decorated with paintings of various auspicious motifs, such as plum trees, pines with cranes, and orchids, while the enclosure wall features ornate tile decorations known to have been produced in China. These decorative elements provide a glimpse into the altar’s elegance and grandeur at the time of its completion.

영문 해설 내용

경덕단은 밀양박씨의 시조인 밀성대군 박언침, 아들 박욱, 손자 박란을 기리는 제단으로 1927년에 세워졌다.

박언침은 신라 경명왕(재위 917-924)의 여덟 왕자 중 장자이다. 경명왕이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면서 박언침은 스스로 왕통 계승을 고사하였고 경명왕의 동생인 경애왕(재위 924-927)이 왕위를 이었다. 박언침은 이후 밀양 지역에 정착하여 밀양박씨의 시조가 되었다. 박욱과 박란은 밀양 지역의 대표적인 호족으로, 고려가 세워지는 데 크게 공훈을 세워 고려 왕조의 공신이 되었다. 그러나 이들 3세조의 묘소가 전해지지 않아, 후손인 박해철(1868-1934)이 문중의 뜻을 모은 후 사재를 들여 이 제단을 건립하였다. 이곳에서는 매년 음력 9월 9일부터 10일까지 이틀에 걸쳐 후손들이 제사를 올린다.

제단에는 가운데, 오른쪽, 왼쪽에 각각 박언침, 박욱, 박란의 비석이 세워져 있다. 앞면에 전서로 새겨진 비의 이름은 독립운동가이자 최고의 서예가로 알려진 오세창(1864-1953)의 글씨이다. 제단 구역으로 들어가는 정문과 제단을 중심으로 삼면의 담벽이 둘러 있다. 정문은 붉은 벽돌로 짓고 기와로 지붕을 얹었으며, 각종 길상 문양과 매화, 송학, 난 등의 벽화가 남아 있다. 담벽에는 당시 중국에서 생산된 것으로 알려진 화려한 모양의 타일 장식이 남아 있다. 이러한 장식적인 요소를 통해 건립 당시 화려하고 웅장했던 경덕단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