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백 오류 리포트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유형 항목명 오류 수정 기타
시간 해린 상단 메타데이터 섹션의 사망일이 1067년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1070년임. 본문에서는 1070년 10월에 입적하였다고 설명함. 1070년 * 출처: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비 비문
시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 탑비 왕사로 추대된 해: 1055년 1056년 * 출처: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비 비문
인물 현화사 1070년에는 왕자 정(竀)을 이 절에 보내어 승려로 만들었다. 왕자의 이름은 탱(竀) * 출처: 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文宗) 24년, 5월 13일 “왕자 탱이 승려가 되다
인물 전주전동성당 1891년(고종 28)에 보드네(Baudenet)신부가 성당의 대지를 매입하고, ..... Baudounet, Francois Xavier(1859-1915) 1) 보두네, 『가톨릭대사전』, 천주교 서울대교구.

2) Xavier Baudounet, France-Asia Research Institute.

시간 경복사 고구려의 고승 보덕(普德)이 659년(보장왕 9) 반룡산(盤龍山) 연복사(延福寺)에서 사찰 전체를 옮겨와 창건하였으며, .... 삼국유사에 기록된 창건연대는 650년임. * 출처: 삼국유사, 제3 흥법(興法第三) 보장봉로 보덕이암(寶藏奉老 普德移庵) 보덕스님이 절을 옮기다
창녕객사 1924년 창녕군수 이장희(李章熙)가 시장 이설계획에 따라 객사로 사용하던 것을 장옥(場屋)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현 위치로 옮겨 세웠다고 전한다. 1924년 현 술정리 상설시장이 개발되면서 그 터의 중심 건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전하였다. (試場이 아니고 市場임) * 출처: 창녕객사 기록화조사보고서, 창녕군 문화체육과, 2014.
해월암 현존하는 당우로는 인법당(因法堂)인 본전을 비롯하여, 산신각·요사채 등이 있다. 칠성각임. * 사진 참고: 임실군 해월암, 다음 블로그, 2012.09.14.
인물 심집 심집 심즙
인천광역시 문화관광체육과 문의 결과, 문중에서는 '즙'으로 읽어왔고 족보에도 그렇게 기록되어 있다고 함.
* 참고: 심즙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연서효교비 9명의 효자란 조선시대 공조참의를 지낸 홍연경(洪延慶)과 그의 아들 ..... 홍연경은 생전에 관직을 지내지 않았다고 함. 사후에 공조참의로 추증되었음. 1) 세종시지정 유형문화재 제2호, 효교비, 세종특별자치시 공식블로그, 2014.02.13. - 효교비 탁본을 보면 '贈 工曹參議'라고 쓰여있음.

2) 임선빈, 『세종시 터전의 뿌리를 찾아서 II』, 세종문화원, 2013, 107-108쪽.

시간 화순향교 건립시기: 1434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과 디지털화순문화대전에서는 1433년에 창건되었다고 함. 1) 화순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 화순향교, 디지털화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시간 여주 보통리 고택 이 집은 1857년(철종 8)에 공조참판을 역임하고 1867년(고종 4)에 이조판서가 된 조석우(曺錫雨)가 1860년대에 지었다고 전한다. 여주시청 문의 결과, 상량문과 문중 기록 등을 통해 볼 때 1813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함. * 경기도문화재총람(2019)에서는 1753년에 건립되었다고 함.
시간 용화사 80년 전 함양 영은사(靈隱寺)에서 옮겨온 것으로 고려 중기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명부전의 지장보살상과 시왕상이 있다. 1903년에 용화사로 옮겨진 것으로 전한다. 80년 전이 언제인지 알 수 없음.
시간 남해충렬사 그가 죽은 지 34년째 되던 1632년(인조 10)에 이 곳 선비들이 유지(遺址)에 작은 초사(草舍)를 지어 제향을 올리고 추모하기 시작하였다. 1633년 1)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1권, 경상도(慶尙道), 남해현(南海縣) – 인조 계유년에 세우고, 현종 계묘년에 사액하였다.

2) 『연려실기술』 별집 제4권, 사전전고(祀典典故), 서원(書院) – “숭정 계유년에 세웠으며, 영조 때 사액하였다.”

위치 의성 월소동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현재의 소장처인 쌍호초등학교로 옮겨 놓은 것이다. 쌍호초등학교가 폐교되면서 현재는 의성 지장사에 모셔져 있음. "의성 용요산 지장사", 내가 사는 그림, 네이버 블로그, 2018.10.14.
지정정보 수선루 메타데이터의 지정정보 수정 필요. 2019년 보물로 승격되었음. 누정(樓亭) 문화재 10건‘보물’신규 지정, 문화재청.
인명, 지정정보 탁청정 및 종가 1541년(중종 36) 김수(金綏)가 건립한 제택(第宅)인데 몸채와 탁청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유(金綏) 관련항목인 안동 탁청정수운잡방에는 모두 김유(金綏)로 표기함.
시도유형문화재. 2012년 국가민속문화재 제272호로 승격되고, '안동 광산김씨 탁청정공파 종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음. 안동 광산김씨 탁청정공파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인명 유태좌 인명에 오류 있음. 유이좌로 읽음. 학서 류이좌, 하회마을 북촌댁.
구미 수다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수다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아미타여래좌상. 대웅전에 있음. 수다사에는 극락전이 없음. "구미 수다사 - 관음의 보호가 가득한 도량., 옛문화답사회, 네이버포스트, 2014.11.10.

선종구산문

민백 ID 항목명 오류 수정 기타
선종구산문 체증은 837년(희강왕 2) 중국에 들어갔다가 840년(문성왕 2)에 귀국하였다. 처음에 그는 무주의 황학사(黃壑寺)에 머물다가, 859년(헌안왕 3)에 왕의 청으로 보림사(寶林寺)에 이주하였다. 체징(體澄)
선종구산문 범일은 831년에 중국에 들어가 마조의 제자인 염관(鹽官, 齊安)의 법을 받아, 846년(문성왕 8)에 귀국하였다. 847년 귀국
성주산파 무염의 뛰어난 제자인 대통은 845년(문성왕 7) 중국으로 건너가 앙산(仰山)의 법을 얻고, 866년(경문왕 6) 귀국하여 제천월광사(月光寺)에서 선법을 폈으며, 여엄 또한 양평보리사(菩提寺)에 머물면서 선법을 선양하였다. 845년 출가, 856년 도당, 866년 귀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