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진동문)-청주 상당산성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주 상당산성 진동문 淸州 上黨山城 鎭東門
Jindongmun Gate of Sangdangsanseong Fortress, Cheongju
청주 상당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Goto.png 종합안내판: 청주 상당산성



해설문

국문

청주 상당산성의 성문은 3개소로, 북쪽을 제외한 남문(공남문(椌南門))・동문(진동문)・서문(미호문(弭虎門))이 있다. 이와 별도로 아군이 비밀통로로 사용하였던 암문(暗門)이 동북쪽과 서남쪽에 있다.

성의 동쪽 출입구인 진동문은 동남쪽 해발 350m 내외의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1977~1978년까지 보수공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때 문루도 함께 복원되었다.

진동문은 통로 양쪽에 벽을 쌓고 그 위에 길고 평평한 돌을 올려 마치 통로가 ‘ㅁ’자로 보이는 형태(평거형(平据形) 성문)로 축조되었다. 이런 형태의 성문은 평상시 통행이 많이 없는 성문에 주로 사용되었다.

영문

Jindongmun Gate of Sangdangsanseong Fortress, Cheongju

Jindongmun Gate is the eastern gate of Sangdangsanseong Fortress. The fortress has two other gates in the south and west, as well as secret entrances in the east and west. The name Jindongmun means “Gate of Suppressing the East.”

The stone gate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fortress wall at an altitude of 350 m above sea level. The passageway is rectangular in shape, rather than arched, which is a design that was mainly used in gates that had little traffic. Between 1977 and 1978, the gate underwent a renovation, and the wooden pavilion atop it was built anew based on archaeological evidence.

영문 해설 내용

진동문은 상당산성의 동문이다. 이밖에 남문과 서문이 있고, 아군이 비밀통로로 사용하던 암문이 동쪽과 서쪽에 있다. 진동문이라는 이름은 ‘동쪽을 진압하는 문’이라는 뜻이다.

이 문은 성의 동남쪽 해발 35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통로는 아치형이 아닌 사각형으로, 이러한 형태의 성문은 평상시 통행이 많지 않은 성문에 주로 사용되었다. 1977년부터 1978년까지 보수공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때 문루도 고증을 통해 다시 지었다.

참고자료

  • 늦여름 정취 가득한 힐링 로드, 청주 상당산성 둘레길 한 바퀴, 충청북도 공식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cbkb21/222478115367 -> 그동안 허물어져 있던 것을 1978년에 고증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보수 복원한 진동문 바로 아래쪽으로 논과 저수지, 40여 채의 민가 마을이 형성되었습니다.
  • 청주의 영원한 지킴이 청주 상당산성과 것대봉수, 디지털청주문화대전 http://cheongju.grandculture.net/cheongju/toc/GC00202410 -> 동쪽 성벽에는 진동문과 동암문, 보화정 등이 있다. 동암문은 청주 상당산성의 동문인 진동문 위쪽에 있다. 이 역시 남암문과 더불어 비밀통로 역할을 하였는데, 암문 내벽에는 ‘양덕부 패장 한량(梁德溥 牌將 閑良)’이라는 명문이 쓰여 있다. 양덕부는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청주읍성의 성문을 열어준 장본인이다. 보화정은 동장대이다. 장대란 일종의 지휘소다. 청주 상당산성에는 동장대와 서장대가 있는데, 지난 92년 동장대가 복원되었다. 또 동쪽벽에는 눈썹돌이라 부르는 미석이 간헐적으로 남아 있다. 미석은 여장의 초석 역할을 하였으며 성벽 끄트머리서 약간 돌출된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