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Buddhist Painting of Seobongsa Temple, Daegu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영문명칭 Buddhist Painting of Seobongsa Temple, Daegu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한자 大邱 瑞鳳寺 地藏十王圖
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명덕로54길 31 (이천동, 서봉사)
지정(등록) 종목 보물
지정(등록)일 2015년 3월 4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
소유자 서봉사
관리자 서봉사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1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는 18세기에 직지사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우두머리 화승 세관(世冠)이 1741년에 삼옥(三玉), 월륜(月輪), 서징(瑞澄), 순간(舜侃), 존혜(尊惠), 우평(宇平), 응잠(應岑) 등과 함께 조성한 조선 후기의 명부계* 불화이다. 가로로 금이 많이 가서 일부 화면이 손상되고 안료가 떨어져 나가긴 했지만, 불화의 정보를 적은 화기가 완벽하게 남아 있어 조성 당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화기에는 건륭 6년(1741) 5월에 조성하여 남장사 무량수전에 봉안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로써 원래의 봉안처가 경상북도 상주에 있는 남장사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남장사에는 같은 시기, 같은 화승들이 조성한〈아미타회상도〉와〈삼장보살도〉가 남아있어〈지장시왕도〉가 당시 함께 조성된 사실도 알 수 있다. 이 불화는 녹색과 적색이 주조를 이루는 채색은 물론 섬세한 필선, 안정된 신체 표현, 곡선의 가는 눈썹과 작은 눈, 오목한 입 등 세관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작품으로, 세관의 대표작인〈직지사 삼세불도(1744)〉보다 이른 시기에 조성된 작품이며 당시 세관을 용면산인(龍眠山人)이라고 불렀음을 알려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명부계(冥府界): 죽은 영혼들이 가는 세계

2

서봉사 지장시왕도는 18세기에 직지사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우두머리 화승 세관(世冠)이 1741년에 삼옥(三玉), 월륜(月輪), 서징(瑞澄), 순간(舜侃), 존혜(尊惠), 우평(宇平), 응잠(應岑) 등과 함께 조성한 조선 후기의 명부계* 불화이다. 가로로 금이 많이 가서 일부 화면이 손상되고 안료가 떨어져 나가긴 했지만, 불화의 정보를 기록한 화기가 완벽하게 남아 있어 조성 당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불화는 녹색과 적색이 주조를 이루는 채색은 물론 섬세한 필선, 안정된 신체 표현, 곡선의 가는 눈썹과 작은 눈, 오목한 입 등 세관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 명부계(冥府界): 죽은 영혼들이 가는 세계

영문

  • Buddhist Painting of Seobongsa Temple, Daegu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1

This Buddhist painting depicts Ksitigarbha Bodhisattva, the Ten Underworld Kings, and their retinue. It was made in 1741 under the lead of monk artisan Segwan. The primary use of green and red colors, the exquisite brushwork, and the balanced physical features, curved eyebrows, small eyes, and plump mouths of the figures are characteristic of Segwan’s artistic style. Although the painting suffers from horizontal cracking and areas of damaged pigment, the inscription that records the details of the painting’s creation remains perfectly intact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The painting was originally enshrined at Namjangsa Temple in Sangju, where two other paintings made by Segwan during the same period still remain, namely the paintings of Amitabha Buddha and the Three Bodhisattvas. The painting also predates Segwan’s exemplary masterpiece, the Buddha Triad enshrined at Jikjisa Temple in Gimcheon, by three years.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Segwan was considered to be a “sleeping dragon” (yongmyeon), which is a term used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o describe only the most skilled monk artisans.

2

This Buddhist painting depicts Ksitigarbha Bodhisattva, the Ten Underworld Kings, and their retinue. It was made in 1741 under the lead of monk artisan Segwan. The primary use of green and red colors, the exquisite brushwork, and the balanced physical features, curved eyebrows, small eyes, and plump mouths of the figures are characteristic of Segwan’s artistic style. Although the painting suffers from horizontal cracking and areas of damaged pigment, the inscription that records the details of the painting’s creation remains perfectly intact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영문 해설 내용

1

이 불화는 지장보살, 시왕과 권속들을 그린 그림으로 1741년 승려 화가 세관의 주도 아래 만들어졌다. 녹색과 적색이 주조를 이루는 채색, 섬세한 필선, 안정된 신체 표현, 곡선의 가는 눈썹과 작은 눈, 오목한 입 등 세관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가로로 금이 많이 가서 일부 화면이 손상되고 안료가 떨어져 나갔지만, 그림 하단에 화기가 완벽하게 남아 있다.

이 불화는 원래 경상북도 상주 남장사의 무량수전에 모셔졌던 불화이며, 현재 남장사에는 세관이 같은 시기에 조성한 아미타회상도와 삼장보살도가 남아 있다. 이 불화는 세관의 대표작인 김천 직지사의 삼세불도(1744)보다 3년 이른 시기에 조성된 작품이기도 하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승려 화가 중 실력이 뛰어난 사람을 “용면(龍眠)”이라 하였는데, 이 불화의 화기에는 세관을 용면으로 칭하였다.

2

이 불화는 지장보살, 시왕과 권속들을 그린 그림으로 1741년 승려 화가 세관의 주도 아래 만들어졌다. 녹색과 적색이 주조를 이루는 채색, 섬세한 필선, 안정된 신체 표현, 곡선의 가는 눈썹과 작은 눈, 오목한 입 등 세관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가로로 금이 많이 가서 일부 화면이 손상되고 안료가 떨어져 나갔지만, 그림 하단에 화기가 완벽하게 남아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