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산사지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노산사지
Nosansa Shrine
노산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노산사지
영문명칭 Nosansa Shrine
한자 蘆山祠址
주소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 산69-7번지
지정(등록) 종목 경기도 기념물 제43호
지정(등록)일 1977년 10월 13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시대 기타
수량/면적 일원
웹사이트 노산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노산사지는 한국전쟁으로 불타 없어진 노산사가 있던 자리로 1954년에 새롭게 지었다. 노산사는 이항로가 중국 송나라의 주희(朱熹)와 조선 중기 성리학자인 송시열을 존경하며 그들의 사상을 잇고자 초상화와 이름을 적은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인간이 가져야 할 도리 등을 밝힌 학문을 성리학이라 한다. 중국 송나라의 주희는 성리학을 학문으로 세운 인물이며, 송시열은 조선 성리학의 대가이다. 이항로는 조선 말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로, 이항로의 사상은 19세기 일본과 서양이 조선을 침략하던 시기에 이를 막고자 한 의병 운동으로 이어진다.

이항로가 죽은 후 후손들이 이항로의 초상화와 이름을 적은 위패를 함께 모셨다. 매년 9월 15일에 이항로의 높은 덕과 학식을 기리기 위한 제사를 지낸다.

영문

Nosansa Shrine

This shrine is dedicated to Zhu Xi (1130-1200), a Confucian sage from Song China, and Song Si-yeol (1607-1689) and Yi Hang-ro (1792-1868), two prominent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original building was constructed during Yi Hang-ro’s life. He revered Zhu Xi and Song Si-yeol and wished to pass on their philosophy, so he built Nosansa in their honor and enshrined their portraits and spirit tablets here. After Yi Hang-ro’s death, his descendants enshrined Yi’s portrait and spirit tablet in the very same shrine.

The original building was destroyed in a fire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and the current building dates to 1954. A yearly ritual is held on the 15th day of the 9th lunar month to commemorate the Confucian scholars honored here.

In front of the shrine is the birthplace of Yi Hang-ro (Gyeonggi-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05), a memorial hall, and other buildings.

영문 해설 내용

노산사는 중국 송나라의 주희(1130-1200)와 조선시대의 학자 송시열(1607-1689)과 이항로(1792-1868)를 기리는 사당이다.

원래 이곳에는 이항로가 생전에 세운 사당이 있던 자리이다. 이항로는 주희와 송시열을 존경하여 그들의 사상을 잇고자 하였으며, 두 사람을 기리기 위해 노산사를 세우고 초상화와 위패를 모셨다. 이항로 사후에는 후손들이 노산사에 이항로의 초상화와 위패도 함께 모셨다.

원래의 노산사는 한국전쟁으로 불타 없어졌고, 지금의 사당 건물은 1954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매년 음력 9월 15일에는 사당에 모셔진 유학자들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다.

노산사 앞쪽에는 이항로가 태어나 자란 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5호)과 기념관 등이 있다.

참고자료

-> 이항로가 태어난 집이 있었던 자리(경기도문화재총람 ; 도지정편 2, 경기도, 2010. 동일)라고 하는데, 해당 내용을 쓰면 근처에 있는 ‘생가’라는 명칭과 혼동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