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암정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낙암정
Nagamjeong Pavilion
낙암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낙암정
영문명칭 Nagamjeong Pavilion
한자 洛巖亭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풍산단호로 895 (단호리)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94호
지정(등록)일 1987년 12월 29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낙암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낙암정은 조선 시대의 문신 배환(裵桓)을 기리기 위해 문종 1년(1451) 흥해 배씨 후손들이 지은 정자이다. 선조 8년(1575)과 순조 13년(1813)에 다시 지었고, 고종 18년(1881)과 1955년에 고쳐 지었다.

배환은 흥해 배씨 중 안동 지역에 처음으로 정착한 배상지의 둘째 아들이다. 지금의 안동 서후면 금계리 지역에서 태어났으며, 태종 1년(1401)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황해·충청·전라도 관찰사를 지냈다.

낙암정은 낙동강 옆 절벽에 세워져, 낙동강과 강 건너 넓은 계평 들판의 아름다운 경관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왼쪽에 마루가 있고 오른쪽에 온돌방이 있으며, 앞면에는 난간을 두른 툇마루가 있다. 일반적인 정자에 비해서 누마루 아래 기둥이 짧다.

낙암정의 자리는 도깨비가 정해 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루는 배환이 선비들과 술을 마시다가 거나하게 취해 낙동강 옆 백사장에서 잠이 들어 버렸다. 마침 지나가던 도깨비들이 배환이 죽은 줄로 알고 좋은 묫자리를 찾아 묻어 주기로 하였다. 도깨비들은 배환을 메고 강가의 가파른 절벽을 오르다가, 지금의 낙암정 자리에 배환을 묻어 주고자 하였다. 배환은 그제야 잠에서 깼으나 계속 죽은 체하면서 듣고 있었다. 그때 한 도깨비가 이곳은 묫자리보다는 정자를 지을 터라고 하며 다른 곳을 찾자고 하였다. 도깨비들이 한눈을 파는 사이, 배환이 “네 이놈들! 내가 죽긴 왜 죽느냐!” 하고 크게 호통을 치며 일어났다. 놀란 도깨비들은 사라지고, 그 소동에 절벽 위에 있던 큰 바위가 굴러떨어져 정자를 짓기 좋은 터가 만들어졌다. ‘낙암정’이라는 이름은 이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영문

Nagamjeong Pavilion

Nagamjeong Pavilion was first established in 1451 by the descendants of the Heunghae Bae Clan to honor Bae Hwan (1378-1448),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Born in present-day Geumgye-ri, Andong, Bae Hwan was the second son of Bae Sang-ji (1351-1413), the first person of the Heunghae Bae Clan to settle in Andong.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401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including as governor of Hwanghae-do, Chungcheong-do, and Jeolla-do Provinces.

The pavilion was rebuilt in 1575 and 1813 and renovated in 1881 and 1955. Standing atop a cliff, it commands a panoramic view of the beautiful landscape, including the wide Nakdonggang River and the vast Gyepyeong Field. The building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on the left, an underfloor-heated room on the right, and a wooden veranda with balustrades along the front. The wooden pillars supporting the veranda are relatively short.

The name Nagamjeong means “Pavilion of the Falling Rock” and comes from a story about Bae Hwan. One day, Bae was enjoying some alcohol with his literati friends and became so drunk that he fell asleep on the sandy beach of the Nakdonggang River. Some goblins passed by, and, thinking that Bae was dead, decided to find a place to bury him. They carried Bae up the steep riverside cliff to their chosen burial site. It was at this time that Bae Hwan awoke, but he continued to play dead and listened to the goblins’ conversation. One goblin remarked that the site was more appropriate for a pavilion than a tomb and suggested that they look for a different place to bury Bae. While the goblins were distracted, Bae Hwan stood up and loudly yelled, “Yeah, you rascals! As if I am dead!” The surprised goblins ran away hastily, causing a large boulder atop the cliff to fall, which created a flat area atop which to build a pavilion.

영문 해설 내용

낙암정은 조선시대의 문신 배환(1378-1448)을 기리기 위해 1451년 흥해배씨 후손들이 지었다. 배환은 흥해배씨 중 안동 지역에 처음으로 정착한 배상지(1351-1413)의 둘째 아들로, 지금의 안동 금계리 지역에서 태어났다. 1401년 문과에 급제한 후 황해도, 충청도, 전라도 관찰사 등 여러 관직을 지냈다.

낙암정은 1575년과 1813년에 다시 지었고, 1881년과 1955년에 고쳐 지었다. 높은 절벽에 세워져, 낙동강과 강 건너 넓은 계평들판의 아름다운 경관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왼쪽에 마루가 있고, 오른쪽에 온돌방이 있으며, 앞면에는 난간을 두른 툇마루가 있다. 누마루 아래 기둥은 비교적 짧은 편이다.

낙암정이라는 이름은 ‘떨어진 바위’라는 뜻이고, 이 이름은 배환과 관련된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하루는 배환이 선비들과 술을 마시다가 거나하게 취해 낙동강 옆 백사장에서 잠이 들어버렸다. 마침 지나가던 도깨비들이 배환이 죽은 줄로 알고 좋은 묫자리를 찾아 묻어 주기로 하였다. 도깨비들은 배환을 메고 강가의 가파른 절벽을 오르다가, 지금의 낙암정 자리에 배환을 묻어주기로 하였다. 배환은 그제야 잠에서 깼으나 계속 죽은 체하면서 듣고 있었다. 그때 한 도깨비가 이곳은 묫자리보다는 정자를 지을 터라고 하며 다른 곳을 찾자고 하였다. 도깨비들이 한눈을 파는 사이, 배환이 “네 이놈들! 내가 죽긴 왜 죽느냐!”하고 크게 호통을 치며 일어났다. 놀란 도깨비들은 허둥지둥 달아나고, 그 소동에 절벽 위에 있던 큰 바위가 굴러떨어져 정자를 짓기 좋은 터가 만들어졌다.

참고자료

  • 낙암정,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769 -> 낙암정은 1451년(문종 1) 배환이 처음 건립하였다. 낙암정이 오래되어 무너지자 7세손 성균진사 배득인(裵得仁, 1566~1623)이 선조의 뜻을 이어 초정(草亭)을 세웠으나 역시 허물어졌다. 지금의 낙암정은 1813년(순조 13)에 중건한 것이며, 1881년(고종 18)과 1955년에 다시 중수하였다. / 낙암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건물로 홑처마 팔작지붕집이다. 반 누각식 정자로 정면은 시멘트 기단을 45㎝ 높이로 쌓고 그 위에 자연석 주초(柱礎)를 놓고 원기둥을 세웠다. 기단은 원래 자연석이었으나 나중에 시멘트를 바른 것으로 보인다. / 온돌방은 1.5칸이고 마루가 4.5칸이다. 온돌방은 마루보다 바닥이 27㎝가량 낮다. 방에는 정면에 쌍띠살문이 있고 우측에도 띠살문이 2개 있으며 좌측에는 사분합문(四分閤門)이 있다. 마루는 우물마루이고 상부는 오량가(五樑架)로 판대공(板臺工)을 사용하였으며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마루에는 측면과 후면에 쌍판문(雙板門)이 4개 있고 머름중방이 설치되어 있으며 벽은 판벽(板壁)이다.
  • 배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1957
  • [수필]톳재비가 터잡은 배감사 정자, 학산거사 안동문화 사랑, 네이버 카페, 2021.07.31. https://cafe.naver.com/hakga/1213 -> ‘톳재비’는 순수 안동말이며, 표준어는 도깨비다. / 배상지의 둘째 아들 배환은 태종 1년 문과에 급제해 여러 벼슬을 지내 사람들이 ‘배감사’라고 불렀다. 배감사는 관직에서 물러난 뒤 나루터 개평마을에 자리 잡고 여생을 보내고 있었다. 은모래밭이 있는 강 맞은편에는 건시산 자락에 있는 상락대가 있었다. 어느날 배감사가 술자리를 마치고 상락대의 노을을 감상하다가 잠에 빠졌다. 해가 진 후 도깨비 무리가 나타나더니 배감사가 죽은 줄 알고 그의 몸을 둘러멘 채 강을 건너 건지비알이라는 가파른 절벽을 기어 올랐다. 절벽 가운데쯤 좁지만 판판한 곳에 이르렀을 때 모두 쉬어가기로 하고 배감사의 몸을 내려놓았다. 배감사는 그때 정신이 들었지만 무서워 눈을 뜨지 못했는데, 그때 도깨비들이 이곳은 정자 자리이지 무덤 자리가 아니라고 이야기를 나누는 소리를 들었다. 배감사가 각오를 단단히 하고 벌떡 일어나 크게 호통을 치자, 도깨비들이 깜짝 놀라 달아나버렸다고 한다. 배감사의 목청이 너무 커서 산 위에 있던 큰 바위 하나가 굴러 떨어져 지금의 정자 자리를 한번 찍은 후 낭떠러지 아래로 사라졌고, 날이 밝은 후 산길을 더듬어 돌아온 배감사는 이곳에 제비집같은 정자를 지었다고 한다.
  • 도깨비가 정해준 정자터,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온, 지역의 설화, 지역N문화 https://ncms.nculture.org/traditional-stories/story/6649 -> 옛날 풍산 고을 개평리에 글 읽기를 좋아하고 놀기를 좋아하는 마음씨 좋은 배환裵桓이라는 감사 한 분이 살았다. 배감사는 여러 선비들과 술을 마시고 놀다가 술에 취해 백사장에서 잠들어버렸다. 산책을 나온 도깨비들이 배감사를 보고 죽은줄 알고 묘자리를 찾고 있었다. 그러다 한 도깨비가 이 곳은 묘자리보단 정자지리로 좋다고 다른 곳을 찾아보자고 한다. 그 말을 들은 배감사는 도깨비들이 한 눈 판 사이에 도망을 갔다. 그리고 도깨비가 말한 자리에 정지를 세웠다고 한다. 도깨비들에게 좋은 정자터를 얻은 배감사는 여기에 정자를 짓고 풍월을 읊으며 일생을 보냈다고 한다. / 그러는 소동에 절벽 위에서 집채 같은 커다란 바위가 굴러 떨어져 정자를 짓기에 알맞은 터를 닦아 놓았다. 지금도 안동시 남후면 단호리, 굽이치는 낙동강가 꺾다지른 듯한 단애 아래 낙항정이 자리하고 있다. 바위가 떨어진 자리에 지은 정자라 하여 ‘낙암정落巖亭’이라 부른다고 한다.
  • 계평들판과 낙동강 줄기가 한눈에 보이는 낙암정, 안동 노닐기, 네이버 블로그, 2020.09.22. https://blog.naver.com/aftf/222096409285 -> 산불 피해 지역 항공사진 확인 가능
  • (참고) 화마에 갇혀서도 문화재 지켜낸 안동시설관리공단 직원 3인방, 영남일보, 2020.4.27.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00427010004196 -> 2020년 화재 당시 낙암정 피해 막은 사람들 인터뷰
  • (참고) 배상지,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407 -> 백죽당은 1351년(충정왕 3) 현재의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났으며 일찍이 고려 말 성리학의 중심에 있었던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문하에 나아가 수학하였다(『목은집(牧隱集)』 중의 시 「유증선생형직학공(有贈先生兄直學公)」에 배상지의 학문 연원이 잘 나타나 있음). 음사(蔭仕)로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를 지냈다. 조선이 건국될 즈음인 어느 날, 중서랑(中書郞)이 고사를 이용하여 뜰에서 배상지의 무릎을 꿇리고자 하니 배상지는 즉시 관모(冠帽)를 벗고 집으로 돌아왔다. 정국이 혼란하여 머지않아 변혁이 있을 것을 깨닫고 사직한 뒤 안동부(安東府) 일직현(一直縣)에 머물던 외조부 손홍량을 생각하며 안동 금계촌(金溪村, 현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으로 옮겨가 집을 짓고 살았다. 그 뒤 고려의 운이 다하게 되자 배상지는 집 주위에 추운 겨울에도 시들지 않고 꿋꿋한 절개를 보여주는 잣나무와 대나무를 심어 자신의 뜻을 나타내고 그 집을 백죽당(栢竹堂)이라고 했다. 조선이 건국된 후, 여러 차례 출사의 명이 내려졌으나 자신의 뜻을 그대로 지켜 나갔다. 은거 중 금오산(金烏山)에 숨어 살던 야은(冶隱) 길재(吉再)와 교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