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재 채수 신도비
나재 채수 신도비 Stele of Chae Su |
|
대표명칭 | 나재 채수 신도비 |
---|---|
영문명칭 | Stele of Chae Su |
한자 | 懶齋 蔡壽 神道碑 |
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율곡리 산71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06호 |
지정(등록)일 | 1998년 8월 3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나재 채수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나재 채수 신도비는 조선 전기의 선비 채수(1449~1515)가 세상을 떠난 뒤 그의 업적을 기록하기 위하여 무덤 앞에 세운 비석이다. 채수는 중종반정의 공을 인정받아 인천군 자리에 올랐으나, 곧 벼슬을 버리고 함창에 쾌재정을 지어 독서와 풍류로 여생을 보냈다. 상주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신도비로 역사적·서지학적으로 귀중한 자료이다.
비는 받침돌, 몸체, 머릿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와 머릿돌은 하나의 돌을 깎아 만들었다. 받침돌은 강한 근육을 가지고 웅크린 채 머리를 들어 오른쪽 전면을 향한 해태 모양이며 몸에는 구름을 배경으로 나타나는 용이 새겨져 있다. 몸체는 대리석을 사각 기둥으로 다듬어 앞면과 뒷면에 글자를 새겼으며, 제일 윗면에는 ‘인천채공신도비명병서’라고 새겼다. 머릿돌은 두 마리의 용과 구름무늬를 오목하고 볼록하게 새겼다.
영문
Stele of Chae Su
This stele commemorates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Chae Su (1449-1515), an intellectu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It is presumed to have been erected in 1516 and is the oldest extant stele in the Sangju area.
In 1506, Chae Su made aided King Jungjong (r. 1506-1544) in his ascent to the throne and received an official post for his contributions. However, he soon left his office and went to Sangju, which was where his in-laws lived. Here, he spent his later years building Kwaejaejeong Pavillion and enjoying reading and music.
The stele consists of a pedestal, a body stone, and a capstone. The pedestal is shaped like the mythical creature haetae, depicted in a crouching position with its head looking to the right. The body stone and capstone were made from a single piece of marble, and the capstone is engraved with two dragons and cloud designs. The inscription on the body stone was composed by the civil official and renowned writer Nam Gon (1471-1527). It is difficult to read the inscription due to severe erosion, and the bottom left corner of the body stone has traces of repair from when it was presumably broken.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의 선비 채수(1449-1515)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는 신도비이다. 1516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상주 지역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신도비이다.
채수는 1506년 중종(재위 1506-1544)이 왕위에 오를 때 공을 세워 직위를 받았다. 그러나 곧 벼슬을 버리고 처가가 있던 상주로 와서, 쾌재정을 짓고 독서와 풍류를 즐기며 여생을 보냈다.
비는 받침돌, 몸돌, 머릿돌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돌은 상상의 동물인 해태가 웅크린 채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린 모양이다. 몸돌과 머릿돌은 하나의 대리석을 깎아서 만들었고, 머릿돌에는 두 마리의 용과 구름무늬를 새겼다. 비문은 문신이자 뛰어난 문장가였던 남곤(1471-1527)이 지었다. 몸돌에 새겨진 비문은 마모가 심해 글자를 읽기 어렵고, 몸돌 왼쪽 아래쪽에는 사선으로 절단되었다가 보수된 흔적이 남아 있다.
참고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085 -> 이미지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3060000&pageNo=1_1_1_1 -> 이 비는 조선 전기 중종반정 때의 공신인 나재 채수 선생의 공적을 기리고 있다. 채수(1449∼1515) 선생은 세조 14년(1468) 생원이 되고, 이듬해에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사헌부감찰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일을 맡아보았다. 대사헌으로 있을 때에는 폐비 윤씨를 옹호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성종 16년(1485)에서야 다시 기용되었다. 연산군 12년(1506)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여기에 가담하여 공을 세워 4등 공신이 되어, 인천군에 봉하여졌다. 59세 때에는 벼슬을 버리고 경상도 함창(지금의 상주)으로 내려와 이곳에서 머물며 남은 여생을 보내었다. 비는 약간 엉성하게 표현된 듯한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으로, 조선시대 전기 당시의 양식을 잘 따르고 있다. 상주 지역에 남아 있는 신도비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 2015 금석문 탁본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 채수는 을해년(1515) 11월에 세상을 떠났으며, 이듬해 3월 이이(1536-1584)가 장례를 치루었다. 장례를 지냈지만, 비석을 세우지 못하자 당시 이조참의 김안로(1481-1537)가 채수의 행적을 남곤(1471-1527)에게 가지고 와서 비명을 지어달라고 하였다. / 비문의 찬자는 남곤, 서자는 홍언방(?-?), 각자는 미상이다.
- 문화재?문화재!,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allarmel&logNo=221281772954&parentCategoryNo=&categoryNo=130&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 2018년 사진(비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