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무계리 지석묘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무계리 지석묘
Dolmen in Mugye-ri, Gimhae
김해 무계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무계리 지석묘
영문명칭 Dolmen in Mugye-ri, Gimhae
한자 金海 茂溪里 支石墓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무계동 366-3 및 367-2
지정(등록) 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제151호
지정(등록)일 1996년 3월 11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수량/면적 1기(324)
웹사이트 김해 무계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김해 무계리지석묘는 청동기 시대 무덤으로, 덮개돌의 크기가 길이 6.1m, 너비 2.9m, 두께 1.3m이다. 지석묘가 있는 마을 이름을 ‘넓을 광[廣]’에 ‘돌 석[石]’ 자를 써 ‘광석’이라고 하는데, 큰 덮개돌을 가진 이 지석묘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무계리지석묘는 현재까지 조사된 적이 없으나 1964년 11월에 북쪽으로 20m 지점에 있던 다른 지석묘가 발굴 조사되었다. 다른 지석묘에서 출토된 유물에는 간 돌칼, 돌 화살촉, 청동 화살촉 파편, 대롱옥*, 토기의 파편 등이 있다. 무덤 주인의 머리가 동쪽으로 향해 있고, 그의 오른쪽에서 간 돌칼이 발견되었다. 간 돌칼이 의례 용품으로 쓰였다는 점으로 보아 청동기 시대 후반인 기원전 3~4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대롱옥: 원통 모양의 대롱과 같은 장신구.

영문

Dolmen in Mugye-ri, Gimhae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dolmens in the world.

This dolmen in Mugye-ri has not yet been excavated, so its exact structure remains unconfirmed. The capstone measures 6.1 m in length, 2.9 m in width, and 1.3 m in depth. The village where the dolmen is located, Gwangseok (“Wide Rock”) Village, is named after the dolmen.

In 1964, another dolmen was excavated 20 m to the north of this on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wo dolmens were built around a similar time an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The excavated dolmen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between 4th and 3rd century BCE. Artifacts excavated from it include polished stone daggers, stone arrowheads, shards of bronze arrowheads, tube-shaped jade beads, and shards of earthenware.

영문 해설 내용

지석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구조물이다. 지석묘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는데, 한반도는 세계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이다.

무계리 지석묘는 현재까지 조사된 적이 없어 정확한 구조가 확인되지 않았다.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6.1m, 너비 2.9m, 두께 1.3m이다. 이 지석묘가 위치한 광석마을은 ‘넓은 바위의 마을’이라는 뜻이며, 마을 이름은 이 지석묘에서 비롯되었다.

1964년 이 지석묘에서 북쪽으로 20m 떨어진 곳에 있던 다른 지석묘가 발굴조사 되었다. 두 지석묘는 비슷한 시기에 동일한 구조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발굴된 지석묘는 기원전 3-4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간돌칼, 돌 화살촉, 청동화살촉 조각, 대롱옥, 토기 조각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참고자료

  • 김해 무계리 지석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801510000&pageNo=1_1_1_1 -> 김해시 장유면 무계리 대청천의 북쪽 평지에 위치하고있다. 지석묘와 고목이 있는 부분은 별도의 석축을 쌓아 지석묘와 고목을 보호하고 있으며 아울러 부락민들의 휴게소로도 이용되고 있다. 부락에서는 이 지석묘를 광석이라 불렀다. (현황) 남방식 지석묘로 생각되나 상석하부가 메꾸어져 있어 정확한 구조는 확인할 수 없었다. 지상에는 거대한 상석만 눌려 있는데 북쪽끝 부분만 약간 들려 있고 나머지 부분은 흙과 돌로서 메꾸어져 있다. 상석의 규모는 길이 6.1m, 폭 2.9m, 두께 1.1∼1.3m이며 장축은 남북향이다. 부근에서 1964년 11월에 조사된 무계리 지석묘와 동일한 구조를 가졌을 가능성이 많다. 유물은 전혀 없고 지석묘 하부구조의 파괴 여부도 파악할 수 없었다.
  • 『가야 탄생의 서막 김해의 고인돌 』, 대성동고분박물관, 2012. -> 고인돌의 아래에는 시멘트가 발려 구조를 알기 어렵지만, 옛날 사진으로 보면 받침돌이 있는 바둑판식이다. 1962년에 이 고인돌에서 20m 정도 떨어진 파괴된 고인돌에서 돌칼과 화살촉 8점, 청동화살촉 3점, 관옥 3점이 출토된 바 있다. 그 중에서 돌탈은 손잡이가 매우 강조죈 형태이고, 청동화살촉은 고인돌에서는 거의 출토 예가 없는 희귀한 예이다.
  • 무계리 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924 -> 경상남도 기념물 제151호. 1962년 농부에 의해 냇돌로 벽을 쌓고 3매의 판석으로 뚜껑을 덮은 돌덧널이 우연히 발견되었는데, 덮개돌[上石]은 없어졌으나 원래 남방식 고인돌의 하부구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돌덧널은 동서장축이며, 크기는 2.3×1.2m정도이다. 돌덧널 내부의 동쪽 끝에서 파괴된 붉은간토기 1개체분, 돌화살촉 8개, 돌검 1점, 동촉 3점, 대롱옥[管玉] 3점이 출토되었다.
  • 김해 무계리 지석묘, 김해시 문화관광, https://www.gimhae.go.kr/00954/01200/03795.web?amode=view&comment=Y&idx=637-> 남방식 고인돌로서 청동기시대의 무덤이다. 지상에는 거대한 상석만 남아 있는데 북쪽 끝 부분만 약간 들려있고 나머지 부분은 흙과 돌로써 메워져 있다. 상석규모는 길이 6.1m, 폭 2.9m, 두께 1.1~1.3m이며, 장축은 남북향이다. 1964년 11월에 조사된 광석리 지석묘와 동일한 구조를 가졌을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