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구산동 마애여래좌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구산동 마애여래좌상
Rock-carved Seated Buddha in Gusan-dong, Gimhae
김해 구산동 마애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구산동 마애여래좌상
영문명칭 Rock-carved Seated Buddha in Gusan-dong, Gimhae
한자 金海 龜山洞 磨崖如來坐像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 산 2
지정(등록)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6호
지정(등록)일 1979년 12월 29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수량/면적 1좌
웹사이트 김해 구산동 마애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마애여래좌상은 부처의 앉은 모습을 절벽의 바위 면이나 거대한 바위 면에 선으로 새기거나 돋을새김한 것이다. 김해 구산동 마애여래좌상은 고려 시대에 제작되었으며 김해 운동장 뒤편, 속칭 물망골 미륵당이라는 산등성이에 자리한다.

이 마애여래좌상은 자연석에 선으로 새긴 불상이다. 불보살이 앉는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하여 앉아 있고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어 올리고 왼손은 왼쪽 무릎에 대고 있다. 얼굴에는 눈, 코, 입 등이 얕게 새겨져 있고, 머리에는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상아 상투 모양이 된 것을 이르는 육계가 솟아 있다. 등 뒤로는 부처의 신성한 후광을 표현한 광배를 갖추고 있다.

구산동 마애여래좌상에는 다음의 설화가 얽혀 전해지고 있다. 고려 시대 매정 마을에서 태어난 무득이란 아이는 열세 살에 어머니를 잃었는데, 사치스럽고 성격 고약한 새어머니를 위해 힘들게 일해야만 했다. 장대 스님이 무득을 물망골로 데려가 바위에 불상을 새기게 했으며, 무득이 새긴 불상을 보고 새어머니는 지난 과거를 뉘우치고 무득에게 용서를 빌었다. 이후 무득은 스님이 되어 장대 스님이 하던 일을 이어갔다고 한다.

김해 구산동 마애여래좌상은 김해의 우수한 불상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 결가부좌: 오른쪽 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왼쪽 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얹어 놓고 허리를 쭉 펴고 바르게 앉아 있는 자세.

영문

Rock-carved Seated Buddha in Gusan-dong, Gimhae

This rock carving, incised on a rock face in Gusan-dong, depicts an image of a seated buddha and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 buddha is seated on a lotus pedestal. His right hand is raised near his chest, and his left hand rests on his lap. He has a protuberance on his head, which symbolizes his wisdom. His eyes, nose, and mouth are carved faintly. Halos are depicted behind him, which represent the auspicious light radiating from his body.

According to a folk tale, there was once a child named Mudeuk who lived during the Goryeo period. He lost his mother at the age of 13, so he had to work hard for his cruel stepmother. A Buddhist monk saw that he was having a hard time and brought him here, where he made him carve a buddha. When the stepmother saw the finished statue, she realized her wrongdoings and asked Mudeuk for his forgiveness. Mudeuk later became a monk.

영문 해설 내용

구산동 암벽에 새겨진 이 마애불은 부처가 앉아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부처는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다. 오른손은 가슴 근처로 들어 올렸고, 왼손은 왼쪽 무릎에 올렸다. 머리에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있고, 얼굴에는 눈, 코, 입이 얕게 새겨져 있다. 등 뒤에는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신성한 빛을 표현한 광배가 새겨져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 무득이라는 아이가 있었는데, 열세 살에 어머니를 잃고, 못된 새어머니를 만나 힘들게 일을 해야만 했다. 한 스님이 힘들어하던 무득을 이곳으로 데려와 바위에 불상을 새기게 했다. 완성된 불상을 본 새어머니는 과거의 잘못을 뉘우치며 무득에게 용서를 빌었고, 이후 무득은 스님이 되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