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곡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금곡재
Geumgokjae Ritual House
금곡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금곡재
영문명칭 Geumgokjae Ritual House
한자 金谷齋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4길 25 (금소리)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72호
지정(등록)일 1993년 2월 25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금곡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금곡재는 금소리에 처음 정착한 예천 임씨인 임억숙(林億淑)의 묘소를 지키고 제사를 지내는 재사이다. 임억숙이 정착한 후 금소리는 예천 임씨 후손들이 대대로 사는 집성촌이 되었다.

이 건물은 원래 순조 10년(1810)에 금수서당(錦水書堂)으로 지어졌으며 헌종 15년(1849)에 증축되었다. 1928년부터 재사로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제사를 지낸다.

금곡재에는 마루를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이 있으며, 앞쪽에는 난간을 두른 툇마루가 있다. 재사 뒤에는 예천 임씨 선조들의 문집 목판을 보관하는 장판각이 있다. 재사 왼쪽 담장 바깥에는 관리인이 거주하던 주사(廚舍)가 있다.

영문

Geumgokjae Ritual House

Geumgokjae Ritual House is used for the preparation of veneration rituals and the maintenance of the tomb of Im Eok-suk (1546-1605), who was the first person of the Yecheon Im Clan to settle in Geumso-ri Village, Andong. Since his settlement, the village has served as the clan village of his descendants for generations.

This building, which originally served as the clan’s study hall, was constructed in 1810 and expanded in 1849. The building has been used as a ritual house since 1928, with veneration rituals performed in the tenth lunar month each year.

The ritual house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in the center, an under-floor heated room on either side, and a narrow wooden veranda with a balustrade along the front. Behind the ritual house, there is a repository that stores the printing woodblocks of the collected works of the clan’s ancestors. There is also a custodian’s residence, located outside the enclosure hall to the the left of the ritual house.

영문 해설 내용

금곡재는 예천임씨 중 안동 금소리에 처음 정착한 임억숙(1546-1605)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준비하는 재사이다. 임억숙이 정착한 후 금소리는 예천임씨 후손들이 대대로 사는 집성촌이 되었다.

이 건물은 1810년 서당으로 처음 지어졌으며 1849년에 증축되었다. 1928년부터 재사로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제사를 지낸다.

금곡재에는 마루를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이 있으며, 앞쪽에는 난간을 두른 툇마루가 있다. 재사 뒤에는 예천임씨 선조들의 문집 목판을 보관하는 장판각이 있다. 재사 왼쪽 담장 바깥에는 관리인이 거주하던 주사가 있다.

참고자료

  • 금곡재,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764 -> 금곡재는 정면 4칸, 측면 3칸의 기와집이다. 중당협실형으로 가운데의 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두었다. 앞쪽에 툇마루를 두고 계자 난간을 둘렀다. 좌측과 우측의 온돌방은 2칸으로 잡고, 정면 창호는 하부에 머름을 둔 쌍여닫이 교살문을 설치하였다. 마루 쪽으로는 궁판을 끼고 교살문과 쌍여닫이 맹장지문을 달아 마루와 연결시켰다. 마루 뒤쪽에는 하부에 머름을 두고 쌍여닫이 골판문을 달았다. 뒤편에 ‘세복당(世馥堂)’이라는 현판이 걸린 장판각(藏板閣)이 있다. 장판각에는 임만휘(林萬彙), 임응성(林應聲)의 문집 및 『계서예집(溪書禮輯)』의 목판이 소장되어 있다. 좌측 담장 밖에는 주사(廚舍)를 두었다. 주사는 금곡재의 관리자가 거주하던 곳으로 안동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ㄷ’자형 평면 구성을 하고 있다.
  • 금소리 예천임씨 집성촌,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