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법주사 괘불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군위 법주사 괘불도
Hanging Painting of Beopjusa Temple, Gunwi
군위 법주사 괘불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군위 법주사 괘불도
영문명칭 Hanging Painting of Beopjusa Temple, Gunwi
한자 軍威 法住寺 掛佛圖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 773
지정(등록) 종목 보물 제2005호
지정(등록)일 2018년 11월 27일
분류 유물/불교회화/괘불화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괘불 1폭, 괘불함 1점
웹사이트 군위 법주사 괘불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괘불은 그림으로 그려서 걸어 놓은 부처의 모습이다. 괘불도는 야외에서 열리는 각종 불교 의식에 사용되며 크기가 큰 대형 불화이다.

법주사 괘불도에는 숙종 40년(1714) 5월 15일에 불화를 완성해 경상북도 군위군 청화산 법주사에 받들어 모신다는 정확한 기록이 있다. 또 제작의 책임을 맡은 두초를 비롯한 변철, 치겸, 심안 등 불교 그림을 전문으로 그리는 9명의 승려들이 완성하였다고 하였다.

괘불도는 총 16폭의 비단을 이어 만든 10m의 크기로, 머리에 보석으로 꾸민 관을 쓰고, 두 손을 양쪽으로 벌려 연꽃을 들고 서 있는 보살*형 여래**가 화면에 큼직하게 그려졌다. 보살상의 몸에서 나오는 성스러운 빛을 표현한 광배(光背)*** 양쪽에는 불상과 보살상을 마주 보게 그렸다. 또 발아래 양쪽에도 보좌 보살인 용왕과 용녀를 마주 보게 그렸다. 이런 구도와 구성은 다른 괘불에서는 볼 수 없다.

보석으로 꾸민 관을 쓰고 연꽃을 들고 서 있는 보살형 여래, 세밀하고 화려한 문양 및 색감은 조선 후기 불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보살(菩薩): 부처가 전생에서 수행하던 시절, 수기(부처로부터 내생에 부처가 되리라고 하는 예언을 받음)를 받은 이후의 몸.
  • 여래(如來): ‘여실히 오는 자’, ‘진여(眞如: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에서 오는 자’라는 의미로, 부처와 같은 뜻을 가진 낱말이다.
  • 광배(光背):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하여 머리나 등의 뒤로부터 내비치는 빛.

영문

Hanging Painting of Beopjusa Temple, Gunwi

Hanging banner paintings were displayed outdoors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the Buddha’s birthday, outdoor rites, and the funerals of eminent monks.

The hanging painting of Beopjusa Temple was created in 1714 by nine painter-monks led by the monk Ducho. It measures about 6 m in width and 10 m in height and consists of a total of 16 pieces of silk canvas.

The large main Buddha at the center of the painting is depicted as a bodhisattva, wearing a jeweled headdress and holding lotus stems in his upturned hands. In the area above his hands,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Mahasthamaprapta (Bodhisattva of Wisdom and Strength), and two buddhas are depicted in a symmetrical design. In the area of the halo around his head, there are depictions of six buddhas.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to either side, are the dragon king and dragon queen.

The depiction of the main Buddha as a bodhisattva and the inclusion of the dragon king and dragon queen as attendants to the Buddha are unique elements not found in other banner paintings.

영문 해설 내용

괘불은 사찰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할 때 야외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데 쓰였다.

법주사의 괘불은 1714년 수화승 두초를 비롯한 9명의 화승에 의해 제작되었다. 총 16폭의 비단을 이어 만들었으며, 크기는 가로 약 6m 세로 약 10m이다.

그림 가운데에는 머리에 보석으로 꾸민 관을 쓰고 두 손을 양쪽으로 벌린 채 연꽃을 들고 있는 서 있는 여래상을 크게 그렸다. 여래의 양손 위쪽에는 관음보살, 대세지보살, 여래상 2위를 대칭으로 그렸다. 머리 광배 주변에도 6구의 불상들을 그려 넣었으며, 화면 아래쪽에는 용왕과 용녀를 양 옆에 1위씩 배치하였다.

주존불을 보관을 쓰고 연꽃을 들고 있는 보살의 모습으로 구현한 것과 용왕과 용녀를 협시처럼 배치한 구도 등은 다른 괘불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다.

참고자료

  • 2018년도 동산문화재분과위원회 제9차 회의록, 문화재청 -> 지정 이유 및 연혁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