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Daegwangbojeon Hall of Magoksa Temple, Gongju |
|
대표명칭 |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
---|---|
영문명칭 | Daegwangbojeon Hall of Magoksa Temple, Gongju |
한자 | 公州 麻谷寺 大光寶殿 |
주소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 |
지정(등록) 종목 | 보물 제802호 |
지정(등록)일 | 1984년 11월 30일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
시대 | 백제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마곡사 대광보전은 대웅보전과 함께 마곡사의 중심건물이다. 현재 대광보전 내부에는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이 모셔져 있으며, 현판에 쓰여진‘大光寶殿’글씨는 조선후기 문인화가인 강세황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대광보전의 건립 연대는 17세기 후반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충청우도 공주판지 서령 태화산 마곡사 대광보전 중창기」에 1782년 대화재로 불타 없어진 후 1785년에 다시 만들었다고 전한다.
대광보전은 불상의 위치와 나무를 다듬는 방법이 특이하다. 남향하여 자리한 건물내부의 비로자나 부처님은 건물 서쪽에서 동쪽을 바라보도록 특이하게 모셔져 있다. 불상 뒤로는 석가모니가 제자들에게 설법한 모임을 묘사한 그림인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公州 麻谷寺 靈山會上圖,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와 어려움에 처한 중생을 구제하여 안락함과 기쁨을 준다는 ‘수월백의관음보살도’가 걸려있다.
기둥은 자연목을 다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화려한 조각 장식이 곳곳에 다양하게 설치되어 있다. 나무를 다듬지 않는 방식은 조선 후기의 건축기법이다.
대광보전의 건물 바닥에는 참나무 삿자리가 깔려 있었다. 전설에 따르면 이름을 알 수 없는 앉은뱅이가 비로자나부처님께 100일 동안 정성껏 기도를 드리며 참나무 삿자리를 짰는데, 기도가 끝난 후 부처님의 자비로 자신도 모르게 일어서서 법당 문을 걸어 나갔다고 한다. 현재는 부분이 훼손되어 보존하기 위해 양탄자로 가리워져 있다.
영문
Daegwangbojeon Hall of Magoksa Temple, Gongju
Daegwangbojeon is a Buddhist worship hall that enshrines Vairocana, the Cosmic Buddha, who is the personification of the absolute universal truth. At Magoksa Temple, it is one of the two main worship halls of the temple’s northern section, along with Daeungbojeon Hall where Sakyamuni Buddha is enshrined.
Daegwangbojeon Hall of Magoksa Temple is presumed to have been first built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the temple was rebuilt following various foreign invasions. The building burned down in a fire in 1782 and was rebuilt in 1785. The building’s name plaque was calligraphed by Kang Se-hwang (1713-1791), a civil official and calligrapher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building’s facade faces south, but the Buddhist altar inside faces east so that Vairocana can look to the east. Behind the altar are two paintings: one that depicts the scene of the Buddha’s lecture at Vulture Peak (Chungcheongnam-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91) and one that depicts Avalokitesvara, the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who is the savior of all living beings who suffer in their present lives.
On the floor of the worship hall, there is a mat made of oak wood, that is related to a legend about a man who could not stand up. He thought he was born disabled because of his past life karma, so to improve his karma, he made this mat while praying to Vairocana. When he finished on the 100th day, he suddenly stood up and walked out of the worship hall. To preserve the mat, it is currently covered with a carpet.
영문 해설 내용
대광보전은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곳이다.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보전과 함께 마곡사 북원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이다.
대광보전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소실되었던 사찰을 17세기 후반에 다시 지으면서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1782년 마곡사에 큰불이 났을 때 전소되었다가, 1785년에 다시 만들었다고 한다. 현판의 글씨는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서화가였던 강세황(1713-1791)이 쓴 것이다.
건물은 남향으로 지어졌지만 내부의 불단은 동쪽을 향하고 있으며, 주불인 비로자나불도 동쪽을 바라보도록 모셔져 있다. 불상 뒤에는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그림(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과, 어려움에 처한 중생을 구제하여 안락함과 기쁨을 준다는 관음보살의 그림이 걸려있다.
대광보전 바닥에는 참나무로 만든 돗자리가 깔려 있는데, 여기에는 한 앉은뱅이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자신이 앉은뱅이로 태어난 것이 전생의 업보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비로자나불에게 100일 동안 정성껏 기도를 드리며 돗자리를 짰다. 100일이 지나 돗자리가 완성되던 날, 그는 자신도 모르게 일어서서 법당 문을 걸어 나갔다고 한다. 현재는 돗자리를 보존하기 위해 그 위에 양탄자를 올려 덮어두었다.
참고자료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대광보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상, 문화재청 2012. -> 주불이 동향으로 배치된 것은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하기 위해서로 추측된다. / 많은 판재를 사용해야 하는 ‘주장첨자’라는 부재가 사용된 가장 이른 시기의 건물이다.
- 마곡사 홈페이지 http://www.magoksa.or.kr/bbs/content.php?co_id=1040 -> 관련 전설 언급 / 후불탱화 정보 (대광보전의 후불탱화는 영산회상도로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1788년 조성된 이 영산회상도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중심으로 6대보살, 10대 제자, 용왕과 용녀, 사천왕으로 구성되어 있지요. 비로자나 부처님 뒷벽에는 18세기 후반 조선회화의 특징을 그대로 살린 백의수월관음도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