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Rock-carved Seated Buddha at Dongburam Hermitage Site of Seonunsa Temple, Gochang |
|
대표명칭 |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
---|---|
영문명칭 | Rock-carved Seated Buddha at Dongburam Hermitage Site of Seonunsa Temple, Gochang |
한자 | 高敞 禪雲寺 東佛庵址 磨崖如來坐像 |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618 |
지정(등록) 종목 | 보물 제1200호 |
지정(등록)일 | 1994년 5월 2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
시대 | 고려시대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은 커다란 바위벽에 새긴 불상으로, 신체 높이가 약 15.5m, 무릎 너비는 약 8.5m이며 연꽃무늬를 새긴 받침돌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마애불의 양식으로 보면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조성 시기는 신라 말기, 고려시대, 조선시대 등으로 의견이 다양하고 백제 위덕왕 때 검단 선사가 새겼다는 전설도 있다.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은 명칭이 두 번 바뀌었다. 1973년 ‘선운사 동불암 마애불암’(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0호)으로 지정되었다가 1994년 도지정문화재에서 국가지정문화재로 격상되며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보물 제1200호)로 명칭이 바뀌었다. 그 후 출토지가 분명한 경우에는 문화재의 명칭에 지명만을 넣기로 하였기 때문에 2010년에 ‘고창 선운사 동불암지 마애여래좌상’으로 변경되었다.
마애불 머리 위에는 네모난 구멍들이 뚫려 있는데 그 구멍에 나무가 박혀 있는 것도 많다. 이것들은 마애불 보호누각 안에 동불암(東佛庵)이라는 닫집이 있었던 흔적이다.
가슴 아래 새겨진 복장에는 비밀스러운 기록이 숨겨져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 내용은 복장 안에 보관된 비밀스러운 기록이 알려지는 날 조선은 망한다는 것이다. 18세기 말 전라감사 이서구가 그 기록을 꺼내 보려다 뇌성벽력이 일어나 ‘전라감사 이서구가 열어 본다’라는 대목만 보고 도로 넣었다고 한다. 100여 년 후 동학운동이 움트던 19세기 말에 동학 접주 손화중이 그 기록을 무사히 꺼내 가져갔다고 한다. 당시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하는 농민들의 염원을 엿볼 수 있는 전설이기도 하다.
- 닫집: 법당의 부처를 모신 자리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
- 복장: 불상(佛像)을 만들 때, 그 가슴에 금ㆍ은ㆍ칠보(七寶)와 같은 보화(寶貨)나 서책(書冊) 따위를 넣음.
영문
This rock-carved Buddha is said to have been made by Buddhist monk Geomdan, the founder of Seonunsa Temple, on the request of King Wideok (r. 554-598) of the Baekje kingdom. However, the sculptural features of this Buddha are more representative of rock-carved Buddhas made during later periods.
This Buddha is sitting on a pedestal carved with a lotus petal design. The carving measures 15.5 m in height and 8.5 m in width between the knees.
There was once a wooden canopy above the Buddha’s head, built as a protective structure for the Buddha. Holes remain where the wooden canopy was once installed. The square carving at the center of the Buddha’s chest is believed to be a chamber for enshrining sacred objects. An old local legend says the chamber once contained a mythical divination about the country’s fortune.
영문 해설 내용
이 마애여래상은 백제 위덕왕(재위 554-598)이 선운사를 창건한 검단선사에게 부탁해서 짓게 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불상의 양식으로 보아 고려 또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은 연꽃무늬를 새긴 받침돌에 앉아 있는 모습이며, 높이는 약 15.5m, 무릎 너비는 약 8.5m이다.
마애불을 보호하기 위해 머리 위에 목조 닫집이 설치되었었고, 닫집이 설치되었던 곳에 구멍이 남아있다. 가슴에 새겨진 네모난 모양은 복장물을 넣기 위한 감실을 나타낸다. 이 마애불의 감실에 나라의 운명에 관한 비기(祕記)가 들어있었다는 전설이 오랫동안 전해져왔다.
참고자료
- 마애불에 설치된 목조 전실의 사례 - 하주성, “땀 흘리며 만나본 마애불의 미소, 더 값지다 – 삼막사 마애삼존불”, 『오마이뉴스』, 2012.07.03.
- “선운사 마애불 비기탈취 사건”, 『디지털고창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