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석탄정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석탄정 - (2004년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승격됨.)

고창 석탄정
Seoktanjeong Pavilion, Gochang
고창 석탄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창 석탄정
영문명칭 Seoktanjeong Pavilion, Gochang
한자 高敞 石灘亭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지정일 2021년 4월 9일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시대 조선후기
수량/면적 1필지 674㎡
웹사이트 고창 석탄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석탄정은 석탄 유운(石灘 柳澐)이 선조 14년(1581)에 건립한 정자이다.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이곳으로 옮겨와서 석탄정에서 고을 선비들과 함께 학문을 토론하며 풍류를 즐겼다. 그는 청암 찰방*에 임명되었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이곳에서 자유로운 삶을 살았다. 후손들이 사라진 석탄정을 순조 30년(1830)에 새로 지었으며, 이후로도 여러 차례 고쳐가면서 학문을 익히는 공간으로 사용했다.

이 정자는 규모가 앞면 3칸, 옆면 3칸이고 지붕이 옆면에서 보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중앙에 구들이 설치된 방을 제외하고 바닥은 모두 마루이며, 방 뒤쪽 가운데 마루는 높은 누마루로 만들어 아래에 아궁이를 두었다. 처음 석탄정의 동쪽과 서쪽에 상풍란(爽風欄)과 영월헌(迎月軒)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 있었으나 석탄정 북쪽에 상풍루를 지으면서 옮겨 걸었다. 또 고종 때 관료문인인 판서 서헌순, 연재 송병선이 석탄정을 다시 세운 유래를 쓴 글과 대한제국기 유학자인 심석 송병순, 간재 전우 등의 시를 새긴 현판도 있다.

석탄정은 전라북도 누각과 정자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다. 평면은 호남지방 정자의 일반적 형태이지만, 방 위에 만든 다락은 다른 정자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이다.


  • 청암 찰방 : 청암은 지금의 전남 장성에 있던 조선시대 역참이고, 찰방은 역참을 관리하던 종6품의 지방 관직.


  • 현장 사진에는 ‘상풍루(爽風樓)’라고 쓰여 있음.
  • 원래의 정자가 없어지고 1830년에 다시 지었는데, 그래도 ‘전라북도 누각과 정자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다’는 내용에 문제 없는지 확인 필요.

영문

Seoktanjeong Pavilion, Gochang

Seoktanjeong Pavilion was first built in 1581 by the scholar Yu Un (1547-?)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original structure fell into disrepair over time, and the current structure was built in 1830 by Yu’s descendants. Since then, it has undergone several renovations.

Born in the capital (today’s Seoul), Yu Un eventually moved to Gochang where he built this pavilion. After he settled in Gochang, Yu Un declined any official posts offered to him and engaged in academic debates with other scholars at this pavilion. It is said that Yu planted a multi-stem pine tree in front of the pavilion and set up a fishing spot at the nearby stream to enjoy his leisure time while pursuing his studies. At the time, the pavilion was widely known for the scenic beauty of its surrounding nature, which made a desirable destination for many literati.

The pavilion features a hip-and-gable roof and consists of an underfloor-heated room in the center surrounded on all sides by a wooden porch. This layout is typical of pavilions in the Jeolla-do region. The section of the porch behind the room is elevated to accommodate a firebox for underfloor heating. The room features an attic, which is an unusual feature for a pavilion. The wooden plaques hung inside the pavilion are calligraphed with written works composed by the literati who visited this place.

Behind Seoktanjeong Pavilion is another pavilion named Sangpungnu, which was built by Yu’s descendants in 1981.

영문 해설 내용

석탄정은 조선시대의 학자 유운(1547-?)이 1581년에 세운 정자이다. 원래의 정자는 세월이 흘러 허물어졌다. 1830년 후손들이 지금의 정자를 새로 지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보수가 이루어졌다.

서울 출신인 유운은 고창으로 이주한 후 석탄정을 지었다. 이후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이곳에서 선비들과 함께 학문을 토론하였다. 유운은 정자 앞뜰에는 반송을 심고 냇가에는 낚시터를 만들어 강학을 하면서도 풍류를 즐겼다고 한다. 석탄정은 당시의 문장가들이 한번 와보는 것이 소원일 정도로 아름다운 경관이 유명한 정자였다.

이 정자는 팔작지붕을 얹었고, 가운데 온돌방을 두고 사방에 마루를 둘렀다. 이러한 평면 구조는 전라도 지방 정자의 일반적 특징이다. 방 뒤쪽에는 한 단 높게 만든 누마루를 두고 그 아래에 아궁이를 설치하였다. 온돌방 위에는 다락을 만들었는데 이는 다른 정자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이다. 정자 내부에는 이곳을 방문한 문장가들의 글을 기록한 편액들이 많이 걸려 있다.

석탄정 뒤에는 1981년 후손들이 세운 상풍루라는 누각이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