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봉문집 목판
고봉문집 목판 Printing Woodblocks of Gobong munjip (Collected Works of Gi Dae-seung) |
|
대표명칭 | 고봉문집 목판 |
---|---|
영문명칭 | Printing Woodblocks of Gobong munjip (Collected Works of Gi Dae-seung) |
한자 | 高峰文集 木板 |
지정(등록) 종목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9호 |
지정(등록)일 | 1992년 3월 16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 |
수량/면적 | 474매 |
웹사이트 | 고봉문집 목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고봉문집 목판은 조선시대 성리학의 대가이며 문신이었던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 1527~1572)의 문집 총 15책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목판이다. 17세기에 만들어졌으며, 총 474매의 박달나무 판 양면에 글자를 새겼다.
기대승은 스승이자 당대의 대학자였던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과 편지로 성리학에 대한 문답을 주고받은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명종 14년(1559)부터 21년(1566)까지 8년에 걸쳐 성리학의 기본 개념인 ‘이기(理氣)’와 ‘사단칠정(四端七情)’에 관해 논쟁한 것은 한국 사상사의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여겨지며, 이는 조선시대 성리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고봉문집에 수록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봉선생문집 원집(高峰先生文集 原集)』 3책은 기대승이 남긴 글들을 모아 편집한 것이고, 『고봉선생문집 속집(高峰先生文集 續集)』 2책은 원집에 빠진 글을 모아 보충한 것이며, 『고봉선생문집 부록(高峰先生文集 附錄)』 1책은 기대승이 교유했던 동료들의 시문을 정리한 책이다.
『논사록(論思錄)』 1책은 선조(1567∼1608 재위)의 명으로 편찬되었으며, 기대승이 임금의 학문적 수양을 위해 열리는 경연 자리에서 강론한 내용을 담고 있다. 『왕복서(往復書)』 3책은 기대승이 이황과 주고받은 편지를 모은 것이고, 이 중에서 ‘이기’와 ‘사단칠정’에 관한 부분만을 따로 모은 것이 『이기왕복서(理氣往復書)』 1책이다. 마지막으로 『주자문록(朱子文錄)』 4책은 기대승이 중국 송대의 성리학자 주희(朱熹, 1130~1200)의 문집인 『주자대전(朱子大全)』의 주요 부분을 뽑아 엮은 책이다.
영문
Printing Woodblocks of Gobong munjip (Collected Works of Gi Dae-seung)
These printing woodblocks were made in the 17th century to print the collected works of Gi Dae-seung (1527-1572, pen name: Gobong), a scholar and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collection consists of 15 volumes printed on 474 woodblocks made of birch (Betula schmidtii Regel) that were engraved on both sides.
The letters exchanged between Gi Dae-seung and his teacher, the prominent scholar Yi Hwang (1501-1570), are well known. In particular, the correspondences that took place between 1559 and 1566, in which they discussed the natur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Beginnings (四端) and the Seven Emotions (七情) as they relate to principle (理) and material force (氣), left a lasting mark on Korean neo-Confucianism by sparking a debate among Korean thinkers that continued for centuries.
The collection includes works written by Gi Dae-seung (5 volumes), an appendix to his works with pieces written by his colleagues (1 volume), a record of his lectures at the royal court that was compiled upon the order of King Seonjo (r. 1567-1608) (1 volume), his correspondences with Yi Hwang (3 volumes), the Four-Seven debate section of the correspondences (1 volume), and Gi Dae-seung’s compilation of the essential parts of the works of the Chinese scholar Zhu Xi (1300-1200) (4 volumes).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 학자이자 문신인 기대승(1527-1572, 호: 고봉)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17세기에 만든 목판이다. 기대승의 문집은 15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판은 총 474매의 박달나무 판 양면에 글자를 새겼다.
기대승은 스승이자 당대의 대학자였던 이황(1501-1570)과 편지를 주고받은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1559년부터 1566년까지 성리학의 기본 개념인 ‘이기(理氣)’와 ‘사단칠정(四端七情)’에 관해 논쟁한 것은 한국 사상사의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조선시대 성리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고봉문집은 기대승이 남긴 글들을 모은 5책, 동료들의 시문을 정리한 부록 1책, 경연 자리에서 강론한 내용을 정리하여 선조(재위 1567-1608)의 명으로 편찬한 1책, 이황과 주고받은 편지를 모은 3책, ‘이기’와 ‘사단칠정’에 관한 부분만을 따로 모은 1책, 기대승이 주희(1130-1200)의 문집인 『주자대전』의 주요 부분을 뽑아 엮은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자료
- 고봉문집목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603
- 고봉문집목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2400190000
- 기대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148
- 고봉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