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첨성대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첨성대
Cheomseongdae Observatory, Gyeongju
경주 첨성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첨성대
영문명칭 Cheomseongdae Observatory, Gyeongju
한자 慶州 瞻星臺
주소 경북 경주시 인왕동 839-1번지
지정(등록) 종목 국보 제31호
지정(등록)일 1962년 12월 20일
분류 유물/과학기술/천문지리기구/천문
시대 신라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경주 첨성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동양에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천문 관측대이다. 『삼국유사』의 ‘지기삼사(知幾三事)*'를 참고하면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632~647) 재위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사회에서 하늘의 움직임을 살피는 천문관측은 국가의 길흉을 반영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큰 관심사였다.

첨성대는 받침부 위에 다듬은 돌로 아래쪽이 부른 술통 모양의 몸통을 27단으로 쌓아 올리고 그 위에 긴 돌을 맞물려 우물정자(井) 모양을 얹었다. 안쪽은 12단까지 자갈과 흙으로 채우고 위로는 트였는데, 13단과 15단 사이에 정남향으로 창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사람이 가운데로 오르내리면서 천문을 관측했다’는 기사가 있어 첨성대의 기능을 알 수 있다.

멀리서 보면 정(井)자형의 우물이 하늘을 향해 솟은 모습이어서 의례 상징물 혹은 기념비적 건축물로 보는 견해도 있다.


  • 지기삼사(知幾三事): 『삼국유사』에는 선덕여왕이 즉위 당시 예측한 세 가지 신비로운 일이 기록되어 있다. 첫째, 당나라 태종이 선물로 보낸 모란꽃 족자에 나비가 없는 것을 보고 모란에 향기가 없음을 알아낸 것. 둘째, 영묘사의 연못에서 겨울에 많은 개구리가 운다는 얘기를 듣고 여근곡(女根谷)에 백제군이 매복했음을 알아 낸 것. 셋째, 자신이 죽을 날을 미리 예측한 것이다. 이 기록 말미에 첨성대를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영문

Cheomseongdae Observatory, Gyeongju

This stone structure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r. 632-647), the 27th ruler of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Its name Cheomseongdae means “Platform of Gazing at the Stars,” and it is widely acknowledged to be the oldest surviving astronomical observatory in Asia. In ancient societies, tracking the movement of celestial bodies was of great political importance because astronomical observations served as a guideline for farming as well as a means to foresee the country’s fortune.

The structure consists of a square base, a main section, and a top. The main section is made of square-cut stones stacked in 27 tiers which form a curved cylindrical column. On top of this, eight long rectangular stones are stacked in two tiers to create a square frame that resembles the top of a well. Inside, the column is filled with gravel and soil up until the 12th tier of stones, above which is hollow. There is a square hole on the south side between the 13th and 15th tiers. It is presumed that this hole served as an entrance and was accessed with a ladder, and that once inside, another ladder was used to reach the top where the observations were made.

Other theories suggest that this structure might have been used as an altar, a religious symbol, or a commemorative monument.

영문 해설 내용

이 석조 구조물은 신라의 제27대 왕인 선덕여왕(632-647) 재위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첨성대라는 이름은 “별을 관찰하는 대”라는 뜻으로, 이 구조물은 아시아에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천문 관측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고대 사회에서는 천문 관측을 통해 농사 시기를 결정하고 국가의 길흉을 점쳤기 때문에, 하늘의 움직임을 살피는 것이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첨성대는 사각형의 기단, 몸통부, 정상부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는 사각형으로 다듬은 돌을 27단으로 쌓아 올려 원통형을 이뤘고, 그 위에 8개의 긴 돌을 2단으로 쌓아 우물정자(井) 모양을 얹었다. 내부에는 12단 높이까지 자갈과 흙으로 채웠고, 위쪽은 비어있다. 13단과 15단 사이에 정남향으로 창이 나 있는데, 바깥쪽에 사다리를 놓고 이 창을 통해 안으로 들어간 후 사다리를 이용해 꼭대기까지 올라가 하늘을 관찰했던 것으로 보인다.

제단이나 종교적 상징물 또는 기념비적 건축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