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보문동 사지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보문동 사지
Temple Site in Bomun-dong, Gyeongju
경주 보문동 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보문동 사지
영문명칭 Temple Site in Bomun-dong, Gyeongju
한자 慶州 普門洞 寺址
주소 경북 경주시 보문동 848-6번지 외
지정(등록) 종목 사적 제390호
지정(등록)일 1994년 12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89,897㎡
웹사이트 경주 보문동 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보문(普門)' 이라고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절 이름이 보문사였음을 확인하였다.

건물터와 석조물들이 남아 있지만, 절터 대부분은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금당지는 흙으로 쌓은 축대 위에 건물 기단석과 초석이 배치되어 있다. 목탑 터는 금당 앞의 높은 단 위에 있는데, 서탑지 중앙의 대형 초석에는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절터 서쪽에 보물 제123호 당간지주가 있고, 보물 제64호 석조(石槽), 석등 지붕돌 등의 석조물들이 주변에 남아 있다.

황룡사 구층목탑의 찰주본기(刹柱本記)에 경문왕 11년(871)에 구층목탑을 중수할 때 도감전(都監典)*으로 보문사의 상좌 승 은전(隱田)이 참여했다는 기록이 있고 883년의 중화삼년명사리기(中和三年名舍利器)에 보문사 현여대덕(玄如大德)이 소탑(小塔) 77구를 만들고 진언(眞言) 77본을 써서 대탑에 봉안하였다는 등의 단편적인 기록들이 전하고 있다.


  • 도감전(道監典): 신라 하대 불사(佛事)의 조영을 위해 승관(僧官)들로 구성된 공사감독기관.

영문

Temple Site in Bomun-dong, Gyeongju

This is the site of Bomunsa, a Buddhist templ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It is presumed to have been founded before 871. The name of the temple was discove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roof tiles inscrib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for "Bomun" were excavated at the site.

Building sites and stone artifacts remain, but most of the temple site has been cultivated into paddy fields. The large earthen platform with pillar-base stones scattered on it is presumed to be where the temple's main worship hall was located. In front of this are two elevated earthen platforms which are thought to be the sites of a pair of wooden pagodas. In the center of the west pagoda site is a large base stone engraved with lotus designs. In the temple's vicinity are various remaining stone structures, such as a stone basin (Treasure No. 64) and flagpole supports (Treasure No. 123).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인 보문사의 옛 터이다. 871년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20세기 초 절터에서 '보문'이라고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절 이름이 확인되었다.

건물터와 석조물들이 남아 있지만, 절터 대부분은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흙으로 쌓은 축대 위에 건물 초석이 배치되어 있는 곳이 금당 자리로 추정되는 곳이다. 금당터 앞에 조성된 두 개의 단은 목탑이 세워졌던 자리로 보인다. 이중 서탑지 중앙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대형 초석이 남아있다. 절터 주변에는 석조(보물 제64호)와 당간지주(보물 제123호) 등 여러 석물들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