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 내오리 지석묘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거창 내오리 지석묘
Dolmens in Naeo-ri, Geochang
거창 내오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거창 내오리 지석묘
영문명칭 Dolmens in Naeo-ri, Geochang
한자 居昌 內吾里 支石墓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내오리 산 153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65호
지정일 1983년 8월 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거창 내오리 지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무덤 가운데 하나로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현재 이 주변에는 3기의 지석묘가 남아 있다. 남쪽에 있는 지석묘는 덮개돌의 크기가 2.8m, 너비 2.5m로 탁자식* 형태이다. 북쪽 약 5m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은 덮개돌만 땅 위에 드러나 있는데, 원래는 탁자식 고인돌 형태를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덮개돌 크기는 2.7m, 너비 2.4m이다. 나머지 1기는 이미 오래전에 파괴되어 그 흔적만 남아 있다.

이 지석묘는 남부지방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탁자식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무덤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 탁자식[北方式] :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上石)을 올려놓은 무덤 형태

영문

Dolmens in Naeo-ri, Geochang"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dolmens in the world.

There are three dolmens in Naeo-ri Village. The southernmost of the three is a table-type dolmen, consisting of a wide, flat capstone placed atop upright stone slabs to create an above-ground burial chamber. Its capstone measures 2.8 m in length and 2.5 m in width. Located about 5 m to the north of this dolmen is a capstone, measuring 2.7 m in length and 2.4 m in width,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part of another table-type dolmen. The third dolmen was destroyed a long time ago.

It is quite rare to find table-type dolmens in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makes this site particularly valuable in research on dolmen types and their distribution across the peninsula.

영문 해설 내용

지석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구조물이다. 지석묘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는데, 한반도는 세계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이다.

내오리에는 3기의 지석묘가 남아 있다. 남쪽에 있는 지석묘는 받침돌을 세워 지상에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넓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 형태이고, 덮개돌의 크기가 길이 2.8m, 너비 2.5m이다. 이 지석묘에서 북쪽으로 약 5m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은 덮개돌만 땅 위에 드러나 있는데, 원래는 탁자식 지석묘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덮개돌 크기는 길이 2.7m, 너비 2.4m이다. 나머지 1기는 이미 오래전에 파괴되었다.

탁자식 지석묘는 한반도 남부 지방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는 양식이다. 따라서 이 지석묘들은 지석묘의 양식과 그 분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