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봄날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하루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월 31일 (수) 16:16 판 (Node Description)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소설가 임철우5.18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쓴 장편 소설.
  • 5권 86장으로 이루어진 『봄날』은 오월문학으로도 불린다. 1980년 5월 16일부터 5월 27일까지 5.18민주화운동의 전 기간을 시간 순서대로 전개하고 있다. 각 장의 앞머리에 5.18민주화운동과 관련된 시편 일부분을 제사로 삼고, '5월 21일 16:00, 도청 앞 광장'처럼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소제목을 굵은 글씨체로 적시하고 있다. 상황이 발생한 장소를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작품집 앞에 '80년 5.18 당시 광주시 요도'를 삽입하였으며, 제5권의 말미에는 '5.18일지'와 '12.12 및 5.18사건 피고인 확정 형량'을 수록하였다.
  • 봄날』은 임철우의 전작인 『붉은 산, 흰 새』의 주인공 한원구의 세 아들이 광주민중항쟁의 현장을 몸으로 직접 경험하는 이야기다. 이 외에 5.18민주화운동의 핵심 인물인 윤상현들불야학 학생들, 정베드로 신부, K일보 광주 주재 기자인 김상섭처럼 실존 인물이 다수 등장하며, 계엄군이나 시민들의 다양한 시점이 교차된다. 5.18민주화운동 기간에 발생한 공수부대의 무자비한 살육과 시민들의 절망, 공포, 저항 등 사건의 전모를 기술하고 있다. 계엄군에 관해서는 공수부대의 진압 훈련, 진압 작전 투입, 몽둥이와 대검을 사용한 초기 진압, 발포와 마지막 도청 진압 등을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시민들에 관해서는 그들이 초기의 공포, 분노, 절망에서 벗어나 지휘 조직을 구성하고 무장 항쟁으로 발전하며 마침내 죽음까지 불사함으로써 역사의 승리자로 나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 봄날』의 가장 큰 특징은 세부 묘사와 반복이다. 임철우5.18민주화운동의 발생부터 광주 시가지 풍경, 건물의 위치, 도로과 골목, 시민들의 분위기 등에 이르기까지 가급적 사실 그대로 재현하고자 했다. 광천시민아파트, 옛 전남도청, 금남로, 광주MBC, 광주세무서, 광주역, 아시아자동차, 들불야학, 윤상원, 전옥주, 차명심이 그 예다. 이는 당시 상황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 또한 『봄날』에는 시민들의 공포와 절망감, 분노와 항쟁 의지, 진압군의 광기와 죄의식, 군중 행렬의 장엄하고 비장한 아름다움, 민중의 자생력과 지식인의 자기 반성, 증언 의지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해 임철우5.18민주화운동의 실상, 폭력의 배후에 숨은 권력의 본질, 광주 시민의 저항 정신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소설_봄날 Work 소설 소설) 봄날(1998) 봄날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소설_봄날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소설_봄날.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소설_봄날 임철우 『봄날』의 창작자는 임철우이다
소설_봄날 문학과지성사 『봄날』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소설_봄날 5.18민주화운동 『봄날』은 5.18민주화운동과 관련이 있다
소설_봄날 오월문학 『봄날』은 오월문학과 관련이 있다
소설_봄날 광천시민아파트 『봄날』은 광천시민아파트를 배경으로 한다
소설_봄날 옛_전남도청 『봄날』은 옛 전남도청을 배경으로 한다
소설_봄날 금남로 『봄날』은 금남로를 배경으로 한다
소설_봄날 광주MBC 『봄날』은 광주MBC를 배경으로 한다
소설_봄날 광주세무서 『봄날』은 광주세무서를 배경으로 한다
소설_봄날 아시아자동차 『봄날』은 아시아자동차를 소재로 한다
소설_봄날 들불야학 『봄날』은 들불야학을 소재로 한다
소설_봄날 윤상원 『봄날』에는 실존인물 윤상원이 등장한다
소설_봄날 전옥주 『봄날』에는 실존인물 전옥주가 등장한다
소설_봄날 차명심 『봄날』에는 실존인물 차명심이 등장한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봄날』[장편 소설] http://aks.ai/GC60005203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신문학』 http://aks.ai/GC60004948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초점시 동인회 http://aks.ai/GC60004810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임철우, 『봄날』, 문학과지성사, 1998.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32009636
단행본 양진오, 『임철우의 『봄날』을 읽는다』, 열림원, 2003.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70633565
논문 김주선, 「임철우의 『봄날』에 나타난 5・18 항쟁공동체의 형성/분열 원리 연구: 감정과 정동을 중심으로」, 『감성연구』 No.26,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KISS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4004482
논문 김은경, 「임철우의 『봄날』연구:5·18민주화운동 증언양상과 증언을 위한 서사전략, 『한국현대문학연구』 No.66, 한국현대문학회, 2022.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073227
논문 최영자, 「광주민중항쟁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로서의 문제의식과 대안 모색 연구 -임철우 『봄날』과 최윤의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Vol.10 No.2, 인문사회21. 2019. KISS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671205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