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영정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Definition
- 풍영정(風詠亭)은 조선시대 승문원판교를 지낸 김언거(1503∼1584)가 벼슬을 물러난 뒤 고향에 돌아와 지은 정자로 1948년에 후손들이 지붕을 수리하였다. 김언거는 중종 20년(1525)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명종 15년(1560) 승문원판교를 끝으로 고향에 내려왔다. 풍영정에서 지내면서 김인후·이황 등의 이름 높은 유학자들과 교우하였다.
- 풍영정은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정자 안쪽에는 이황·김인후 등이 지은 현판들과 한석봉이 쓴 ‘제일호산’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1]
- 풍영정을 비롯한 12개의 정자가 있었는데 임진왜란을 지나면 11개의 정자는 불에 타 없어졌고 풍영정만 남아 있다. 풍영정의 현판을 보면 ‘풍’이라는 글자가 다른 두 글자의 서체와 다르다. 그래서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임진왜란 당시 풍영정을 불을 태우니 ‘풍’의 글자에서 오리가 날아올라 왜장이 불을 끄게 했고 불을 끄자 오리가 다시 날아와 ‘풍’자에 앉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 한가지는 명종이 김언거에게 무주 구천동의 ‘갈처사’를 소개했고 어렵게 글씨를 받아 돌아오는 도중 열어보지 말라는 말을 어기고 봉투를 펼치는 순간 ‘풍’자가 날아가버렸다는 이야기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풍영정 | Heritage | 시도문화재 | 풍영정(風詠亭) | 풍영정 | 風詠亭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풍영정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풍영정 | 김언거 | founder | 설립자 |
김언거 | 김인후 | isFellowOf | |
김언거 | 이황 | isFellowOf | |
풍영정 | 현판_제일호산 | hasPart | |
한석봉 | 현판_제일호산 | calligrapher | |
풍영정 | 팔작지붕 | 형태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풍영정 | 35.1792816 | 126.8385296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풍영정길 21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 풍영정 | http://www.gjsgcc.or.kr/ko/26/view?SEQ=2684 | |
해설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 풍영정 |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111 | |
해설 | 문화재청 | 풍영정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S3CQzOmbm51ufPGKacLtTSeY4IslgaDTRyFcQxBVjGM09PaT7HiqBolXlytM4Lhc.cpawas_servlet_engine1?pageNo=1_1_2_0&ccbaCpno=3412400040000 |
Notes
- ↑ 문화재청,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2400040000&pageNo=1_1_1_1.
Semantic Network Graph
- sampl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