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태봉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 원래 읍성 은 지방의 주요 지역에 설치하는데, 주민들을 보호하고 행정 및 군사적인 기능을 담당하였다. 광주읍...) |
잔글 (→Node Description)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 |- | ||
− | |[[ | + | |[[광주_태봉산 ]]|| Place ||자연|| 산 || 광주_태봉산(光州 )||광주_태봉산|||光州||Gwangju_Taebong Mt.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읍성유허 || |
|- | |- | ||
|} | |} |
2022년 8월 19일 (금) 13:26 판
Definition
- 원래 읍성 은 지방의 주요 지역에 설치하는데, 주민들을 보호하고 행정 및 군사적인 기능을 담당하였다. 광주읍성유허 는 광주시 동구 광산동 12-2에 있는 광주읍성의 옛터이다. 왜구 가 극성을 부리던 고려말에 방어를 목적으로 처음 만들어졌고, 조선시대에 더 크고 튼튼하게 돌로 수차례 개축하였다.
- 위치는 현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과 충장로 주변으로 생각되며, 오각형 모양에 둘레 약 2.2~2.4Km, 높이 약 2.8~4.2m 규모(낙안읍성의 약 2배)이고 동,서,남,북에 4개의 성문이 있었다.
- 성 둘레에는 도랑을 만들어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였고, 성 안에는 100개의 우물이 있었다고 한다. 1904년 경 광주읍성의 인구는 약 1만명 내외로 추정된다.
- 1992년 옛 전남도청 주차장 부지를 정리하다가 유적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1994년에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 26호로 지정되었다.
- 고려말부터 약 500여 년간 광주 백성들의 삶을 지켜온 광주읍성은 1908~1918년 일제 통감부에 의해서 모조리 철거되었다. 점점 격해지는 한국인들의 의병 항쟁을 탄압하기 위해서 일본은 남한폭도대토벌작전을 실시, 한국인의 민족 정기를 말살하여 하였다. 읍성철거령(1910)도 그런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 읍성이 철거된 자리에는 일본인들을 위한 시가지가 형성되었고, 현재 충장로 2,3가가 여기에 해당된다.
- 광주광역시에서는 100여 년전 흔적도 없이 사라진 광주읍성을 복원하기 위해 2011년부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주_태봉산 | Place | 자연 | 산 | 광주_태봉산(光州 ) | 광주_태봉산 | 光州 | Gwangju_Taebong Mt.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읍성유허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광주읍성유허 | 우왕 | 고려말 우왕시기에 처음 건축 | |
광주읍성유허 | 왜구 | 방어 위해 고려말에 축성 | |
광주읍성유허 | 광산동 | 위치 | |
광주읍성유허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 제 26호 | |
광주읍성유허 | 광주읍지 | 광주읍성에 대한 기록이 있는 책(1897) | |
광주읍성유허 | 세종실록지리지 | 광주읍성에 대한 최초의 기록(1454) | |
광주읍성유허 | 동국여지지 | 광주읍성 기록된 지리지(1656) | |
광주읍성유허 | 신증동국여지승람 | 광주읍성 기록된 지리지(1481~1530) | |
광주읍성유허 | 서원문 | 광주읍성의 동문 | |
광주읍성유허 | 광리문 | 광주읍성의 서문 | |
광주읍성유허 | 진남문 | 광주읍성의 남문 | |
광주읍성유허 | 공북문 | 광주읍성의 북문 | |
광주읍성유허 | 남한폭도대토벌작전 | 일제 통감부가 의병 항쟁을 근절하려고 실시 | |
광주읍성유허 | 읍성철거령 | 일제가 1910년 추진 | |
광주읍성유허 | 해동지도 | 광주읍성을 보여주는 지도(18세기 중엽) | |
광주읍성유허 | 지방도(1871) | 광주읍성을 보여주는 지도 | |
광주읍성유허 | 광주읍성탐방가이드북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발간(2016) | |
광주읍성유허 | 절양루 | 광주읍성에 있던 누각(충장로5가 위치) | |
광주읍성유허 | 성벽처리위원회 | 통감부가 읍성 철거 위해 만듬(1907) | |
광주읍성유허 | 옛_전남도청 | 광주읍성 관아 자리 | |
광주읍성유허 | 희경루 | 광주읍성에 있던 누각(현 충장로우체국 위치). 2022년 중건 완성 예정 |
Spatial Data
id | 위도 | 경도 | 고도 | 주소 |
---|---|---|---|---|
광주읍성유허 | 35.146927 | 126.921208 |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 12-2 |
Web Resource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황영산, 「광주읍성을 중심으로한 역사적 공간의 재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교육대학원, 2015. | Riss | http://www.riss.kr/link?id=T137368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