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Definition)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무등산가 || Work || 음악 || || 무등산가 | + | | 무등산가 || Work || 음악 || || 음악) 무등산가 || 무등산가 || 無等山歌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가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무등산가.jpg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무등산가.jpg | ||
|} | |} |
2024년 4월 29일 (월) 17:26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무등산에 성을 쌓고 백성들이 안전하게 지내게 된 것을 기뻐하며 부른 가요.
- 백제시대 때부터 고려시대까지 궁중에서 불렸다.
- 작자와 가사는 전해지지 않는다.
- 현존하는 무등산 관련 문학 작품의 문헌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 「무등산곡(無等山曲)」이라고도 하며, 「방등산가」, 「정읍」, 「선운산곡」, 「지리산가」 등과 함께 『고려사』 「악지(樂誌)」 「삼국속악(三國俗樂)」에 실려 있다. 「악지]」에 따르면 “무등산은 광주의 진산(鎭山)이다. 광주는 전라도의 큰 읍인데, 무등산에 성을 쌓으니 백성들이 의지하여 안전하게 지내게 된 것을 즐거워하며 노래를 불렀다(무등산(無等山), 광주지진(光州之鎭). 주재전라(州在全羅), 위거읍(爲巨邑), 성차산(城此山), 민뢰이안(民賴以安), 악이가지(樂而歌之))”고 한다.
- 『고려사』 「악지」에 수록된 백제시대 노래의 배경 설화를 보면 대체로 부부를 비롯한 남녀 간의 정에 관한 내용인 것에 반해 「무등산가」는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고 태평성대를 축복하는 백성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무등산가 | Work | 음악 | 음악) 무등산가 | 무등산가 | 無等山歌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가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무등산가 | 백제 | 무등산가는 백제와 관련이 있다 | ||
무등산가 | 고려사 | 무등산가는 『고려사』에 수록되어 있다 | ||
무등산가 | 무등산 | 무등산가는 무등산과 관련이 있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무등산가」 | http://aks.ai/GC60004854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