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3번째 줄: 13번째 줄: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무등산가 || Work || 음악 ||  || 무등산가(無等山歌, 연도미상) || 무등산가 || 無等山歌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가 ||  
+
| 무등산가 || Work || 음악 ||  || 음악) 무등산가 || 무등산가 || 無等山歌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가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무등산가.jpg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무등산가.jpg
 
|}
 
|}

2024년 4월 29일 (월) 17:26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무등산에 성을 쌓고 백성들이 안전하게 지내게 된 것을 기뻐하며 부른 가요.
  • 백제시대 때부터 고려시대까지 궁중에서 불렸다.
  • 작자와 가사는 전해지지 않는다.
  • 현존하는 무등산 관련 문학 작품의 문헌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 「무등산곡(無等山曲)」이라고도 하며, 「방등산가」, 「정읍」, 「선운산곡」, 「지리산가」 등과 함께 『고려사』 「악지(樂誌)」 「삼국속악(三國俗樂)」에 실려 있다. 「악지]」에 따르면 “무등산은 광주의 진산(鎭山)이다. 광주는 전라도의 큰 읍인데, 무등산에 성을 쌓으니 백성들이 의지하여 안전하게 지내게 된 것을 즐거워하며 노래를 불렀다(무등산(無等山), 광주지진(光州之鎭). 주재전라(州在全羅), 위거읍(爲巨邑), 성차산(城此山), 민뢰이안(民賴以安), 악이가지(樂而歌之))”고 한다.
  • 고려사』 「악지」에 수록된 백제시대 노래의 배경 설화를 보면 대체로 부부를 비롯한 남녀 간의 정에 관한 내용인 것에 반해 「무등산가」는 외적의 침략에 대비하고 태평성대를 축복하는 백성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무등산가 Work 음악 음악) 무등산가 무등산가 無等山歌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가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무등산가.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무등산가 백제 무등산가는 백제와 관련이 있다
무등산가 고려사 무등산가는 『고려사』에 수록되어 있다
무등산가 무등산 무등산가는 무등산과 관련이 있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무등산가」 http://aks.ai/GC60004854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