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음사시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Definition)
 
13번째 줄: 13번째 줄: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광주음사시고|| Record|| || || 광주음사시고|| 광주음사시고|| 光州吟社詩稿||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음사시고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음사시고.jpg
+
| 광주음사시고|| Record|| 문헌 || 시집 || 광주음사시고(光州吟社詩稿) || 광주음사시고|| 光州吟社詩稿||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음사시고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음사시고.jpg
 
|}
 
|}
  

2024년 4월 29일 (월) 16:5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광주음사시고(光州吟社詩稿)』는 광주에서 결성된 광주음사(光州吟社)에서 지은 시를 모은 시집 이름이다.
  • 광주음사는 광주 시사(詩社) 모임 이름이다.
  • 『광주음사시고』는 1953년부터 1962년까지 약 10년 동안 창작된 시 702수가 수록되어 있다.
  • 『광주음사시고』는 1962년 김영만이 시사의 활동에 부지런히 임하여 그의 자산을 덜어 시고의 편찬을 도왔다고 기록되어 있다.이 책에는 서문, 702수 시, 발문, 광주음사원명록, 광주음사임원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 서문은 1962년 이기영, 윤재갑이 썼다. 발문은 배완기, 김영만이 썼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광주음사시고 Record 문헌 시집 광주음사시고(光州吟社詩稿) 광주음사시고 光州吟社詩稿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음사시고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음사시고.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광주음사 광주_시사 광주음사는 광주 시사 단체 모임이다.
광주음사 광주음사시고 1962년 광주음사는 광주음사시고를 간행하였다.
광주음사시고 김영만 광주음사시고는 김영만이 주도하여 편찬하였다. 발문을 썼다.
광주음사시고 이기영 이기영이 광주음사시고의 서문을 썼다.
광주음사시고 윤재갑 윤재갑이 광주음사시고의 서문을 썼다.
광주음사시고 배완기 배완기가 광주음사시고의 발문을 썼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광주음사시고』 http://aks.ai/GC60005532
참고 호남기록문화유산 광주음사시고(光州吟社詩稿) http://memoryhonam.jnu.ac.kr/sub03/sub04_detail.php?seq=1110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