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플랫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br/> | <br/>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inmun-story.com/index.html'">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inmun-story.com/index.html'"> | ||
− | <img src="https://work-note.net/img/20230218160621_e9705f9c5f30fc9f80a720f26e3d2819.jpg" class=" | + | <img src="https://work-note.net/img/20230218160621_e9705f9c5f30fc9f80a720f26e3d2819.jpg" class="col-md-6"> |
<style> | <style> | ||
.asd | .asd |
2024년 3월 14일 (목) 01:51 판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플랫폼이란
- 광주광역시에 산재한 문화예술자료와 근현대문화유적(1940년 이후, 역사의 격변기를 살아온 광주 시민들의 생활과 문화의 흔적을 담고 있는 문화재와 미래유산)을 발굴 및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아카이브
- 정보 객체의 개별적인 속성 정보뿐 아나라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를 데이터로 기록함으로써 대상 정보의 의미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시맨틱(의미 기반) 데이터베이스
- 글과 데이터로 표현되는 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2D, 3D 어셋을 제공하고, 이를 자유롭게 활용토록 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의 창작을 촉진하는 디지털 어셋 공유 플랫폼
- 가치와 의미를 지닌 데이터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유발하여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도록 하여, 주체적으로 지식 체계를 설계하는 미래세대(디지털 원어민)와 소통 가능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플랫폼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플랫폼 구축 사업
문화예술인문 자원 발굴 및 데이터화
-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자원 발굴 및 기초 자료 조사 및 연구, 자문위원 구성
- 디지털 백과사전식 아카이브를 위한 광주 스토리 자원 기초 현황조사, 자료 수집, 목록화 및 분류
- 핵심 항목의 배경과 맥락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관련 문맥 항목(인물, 장소/건물, 사건/행사, 물품/음식/복식, 작품, 문헌/음반/영상, 개념/용어, 참고문헌, 웹 자원) 등 조사
- 기초 조사자료 검수(관련 자료 대조, 신뢰도 검사 등) 및 분류
- 백과사전적으로 기술된 데이터를 데이터 상호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데이터 네트워크 형태로 시각화한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
데이터 기반 스토리텔링 콘텐츠화
- 일반 시민의 자료 접근성 및 활용도 확보를 위한 조사 및 수집 자료의 스토리텔링 정보화
- 이를 토대로 개별 대상 문화자원들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과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데이터 큐레이션에 의한 지역학 교육용 스토리, 해외 한국학 교육용 스토리 콘텐츠 제작
멀티미디어 개발 및 플랫폼 운영
-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데이터 아카이브에 축적할 다양한 디지털 어셋(2D 멀티미디어, 3D 지도, 3D 모델 등) 및 3D 메타버스 씬 개발
- 사용자들이 메타버스 플랫폼 안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어셋을 활용해 자기 주도적으로 다양한 3D 공간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 구현
광주형 실감 콘텐츠 체험관 운영
- 매년 1개의 스토리를 선정하여 메타버스 이벤트 체험관 운영
- 체험, 교육, 전시, 공연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화 체험관을 온라인으로 구축
시민 참여형 콘텐츠 활용 프로그램 운영
- 광주 문화예술 인문스토리 플랫폼 기반 조성 및 활성화 방안 시민 참여 컨퍼런스
- 스토리 자원을 연계한 문화예술 분야 창작 공모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