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산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Definition)
잔글 (Definition)
 
2번째 줄: 2번째 줄:
 
* [[발산교|발산교(鉢山橋)]]: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과 서구 양동을 연결하는 교량.
 
* [[발산교|발산교(鉢山橋)]]: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과 서구 양동을 연결하는 교량.
 
* 발산(鉢山)은 절에서 승려들이 쓰는 밥그릇인 ‘바리때’의 한자인 ‘발(鉢)’과 마을 뒤편 산의 뫼 ‘산(山)’을 따서 ‘발산(鉢山)’이라 불렀다.
 
* 발산(鉢山)은 절에서 승려들이 쓰는 밥그릇인 ‘바리때’의 한자인 ‘발(鉢)’과 마을 뒤편 산의 뫼 ‘산(山)’을 따서 ‘발산(鉢山)’이라 불렀다.
* 현재의 [[발산교]]가 건립되기 전, PSP강판(유공강판)으로 만든 교량 중 하나가 [[발산교]]였는데, 이를 ‘[[뽕뽕다리]]’로 불렀다.
+
* 현재의 [[발산교]]가 건립되기 전 PSP강판(유공강판)으로 만든 교량 중 하나가 [[발산교]]였는데 이를 ‘[[뽕뽕다리]]’로 불렀다.
 
* 1970년대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 [[전남방직]], [[일신방직]]이 건립되자 [[발산마을]]에 방직회사 여직원들이 다수 거주하였고 이 [[뽕뽕다리]]를 주로 이용하였다.
 
* 1970년대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 [[전남방직]], [[일신방직]]이 건립되자 [[발산마을]]에 방직회사 여직원들이 다수 거주하였고 이 [[뽕뽕다리]]를 주로 이용하였다.
* 현재의 [[발산교]]는 1974년 준공되었고, 왕복 2차선의 교량으로 총 길이는 84m, 교량의 총 폭은 15m, 상부구조 형식은 RC슬래브교, 하부구조 형식은 구주식이며, 설계하중은 DB-18이 적용된 2등교이다.<ref>[http://aks.ai/GC60000507 한국학중앙연구원, 발산교, 디지털광주문화대전]</ref>
+
* 현재의 [[발산교]]는 1974년 준공되었고 왕복 2차선의 교량으로 총 길이는 84m, 교량의 총 폭은 15m, 상부구조 형식은 RC슬래브교, 하부구조 형식은 구주식이며 설계하중은 DB-18이 적용된 2등교이다.<ref>[http://aks.ai/GC60000507 한국학중앙연구원, 발산교, 디지털광주문화대전]</ref>
 
* 참조: http://aks.ai/GC60005089
 
* 참조: http://aks.ai/GC60005089
 
----
 
----

2024년 3월 4일 (월) 11:0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발산교(鉢山橋):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과 서구 양동을 연결하는 교량.
  • 발산(鉢山)은 절에서 승려들이 쓰는 밥그릇인 ‘바리때’의 한자인 ‘발(鉢)’과 마을 뒤편 산의 뫼 ‘산(山)’을 따서 ‘발산(鉢山)’이라 불렀다.
  • 현재의 발산교가 건립되기 전 PSP강판(유공강판)으로 만든 교량 중 하나가 발산교였는데 이를 ‘뽕뽕다리’로 불렀다.
  • 1970년대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에 전남방직, 일신방직이 건립되자 발산마을에 방직회사 여직원들이 다수 거주하였고 이 뽕뽕다리를 주로 이용하였다.
  • 현재의 발산교는 1974년 준공되었고 왕복 2차선의 교량으로 총 길이는 84m, 교량의 총 폭은 15m, 상부구조 형식은 RC슬래브교, 하부구조 형식은 구주식이며 설계하중은 DB-18이 적용된 2등교이다.[1]
  • 참조: http://aks.ai/GC60005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