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트라우마센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Bibliography)
(Definition)
6번째 줄: 6번째 줄:
 
*[[광주트라우마센터]]가 우리나라 최초로 광주광역시에 설립된 것은 [[5.18민주화운동]] 관련자와 그 가족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5.18기념재단]]이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자살실태를 자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5·18민주화운동이 있었던 1980년에는 25명이 자살하였고 1990년대는 3명이, 그리고 2000년에서 2012년까지는 18명이 자살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상이 후 자살률이 10.4%로 일반인의 500배에 이른다.<ref>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9456 남도일보</ref>
 
*[[광주트라우마센터]]가 우리나라 최초로 광주광역시에 설립된 것은 [[5.18민주화운동]] 관련자와 그 가족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5.18기념재단]]이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자살실태를 자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5·18민주화운동이 있었던 1980년에는 25명이 자살하였고 1990년대는 3명이, 그리고 2000년에서 2012년까지는 18명이 자살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상이 후 자살률이 10.4%로 일반인의 500배에 이른다.<ref>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9456 남도일보</ref>
 
*[[광주트라우마센터]]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뿐 아니라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사건의 경험자와 그 가족을 비롯해 [[여수순천10.19사건]], 조작 간첩사건, [[부마항쟁]], [[아람회사건]], [[삼청교육대]], [[사북사태]], [[형제복지원]], [[선감학원]], 민족민주열사, 민주화운동 관련 등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과 그 유가족의 트라우마를 치유했다. 2023년 11월 현재 등록 회원 수는 1,133명에 달했다.
 
*[[광주트라우마센터]]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뿐 아니라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사건의 경험자와 그 가족을 비롯해 [[여수순천10.19사건]], 조작 간첩사건, [[부마항쟁]], [[아람회사건]], [[삼청교육대]], [[사북사태]], [[형제복지원]], [[선감학원]], 민족민주열사, 민주화운동 관련 등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과 그 유가족의 트라우마를 치유했다. 2023년 11월 현재 등록 회원 수는 1,133명에 달했다.
*[[광주트라우마센터]]는 2024년부터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해 새롭게 출발하였다. 본원을 광주광역시에 두고 제주도에 분원을 설치했다. 광주 본원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 179번길 63 옛 광주국군통합병원 터에 새 사옥을 건립했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2024년부터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해 새롭게 출발하였다. 본원을 광주광역시에 두고 제주특별자치도에 분원을 설치했다. 광주광역시 본원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 179번길 63 옛 광주국군통합병원 터에 새 사옥을 건립했다.
  
 
== Semantic Data ==
 
== Semantic Data ==

2024년 1월 23일 (화) 22:04 판

Definition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기관으로 5.18민주화운동 등 국가폭력 피해자와 그 가족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2012년 광주광역시에 문을 열었다.
  • 2015년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에 가입기관으로 승인되었다. 2020년까지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에 가입된 기관은 세계적으로 75개국, 150개 단체에 이르며 아시아에는 인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필리핀, 네팔 등 10개국에 19개 센터가 있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국가폭력 피해자와 그 가족들을 치유하고 이들이 일상으로 돌아가 회복될 수 있도록 피해자 심리치유, 공동체 치유, 국가폭력 예방 사업 및 교육, 고문방지 및 인권 옹호 활동 등을 진행했다. 고문, 가혹행위 등 국가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은 신체적 손상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심한 고통을 겪게 되며 피해 당사자만이 아니라 그 가족들도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비롯한 후유증을 겪고 있다.
  • 광주트라우마센터가 우리나라 최초로 광주광역시에 설립된 것은 5.18민주화운동 관련자와 그 가족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5.18기념재단이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자살실태를 자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5·18민주화운동이 있었던 1980년에는 25명이 자살하였고 1990년대는 3명이, 그리고 2000년에서 2012년까지는 18명이 자살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상이 후 자살률이 10.4%로 일반인의 500배에 이른다.[1]
  • 광주트라우마센터5.18민주화운동 관련자뿐 아니라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사건의 경험자와 그 가족을 비롯해 여수순천10.19사건, 조작 간첩사건, 부마항쟁, 아람회사건, 삼청교육대, 사북사태, 형제복지원, 선감학원, 민족민주열사, 민주화운동 관련 등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과 그 유가족의 트라우마를 치유했다. 2023년 11월 현재 등록 회원 수는 1,133명에 달했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2024년부터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해 새롭게 출발하였다. 본원을 광주광역시에 두고 제주특별자치도에 분원을 설치했다. 광주광역시 본원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로 179번길 63 옛 광주국군통합병원 터에 새 사옥을 건립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광주트라우마센터 Place 광주트라우마센터 광주트라우마센터 光州-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id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id.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광주트라우마센터 5.18민주화운동 광주트라우마센터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와 가족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광주트라우마센터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세계고문생존자재활협회(IRCT) 가입기관이다.
광주트라우마센터 여수순천10.19사건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여수순천10.19사건 관련자와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광주트라우마센터 부마항쟁 광주트라우마센터는 부마항쟁 관련자와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광주트라우마센터 삼청교육대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삼청교육대 관련자와 가족들을 치유하였다.
5.18기념재단 5.18민주화운동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의 자살실태를 조사하였다.
광주트라우마센터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광주트라우마센터는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로 확대 개편되었다.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id 위도 경도 주소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광주트라우마센터 공식 홈페이지 광주트라우마센터 소개, 사업 소개 https://tnt.gwangju.go.kr/index.do?S=S01
참고 남도일보 광주트라우마센터의 내년 국립 전환에 대한 소원( 2023.11.29, 김명권 광주트라우마센터장) 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9456
참고 무등일보 광주트라우마센터 '고문 생존자 지원의 날' 기념행사 성료( 2023.06.29, 김혜진 기자) http://www.mdilbo.com/detail/SexeuZ/697918
참고 전남일보 광주트라우마센터, 여순사건 유족 트라우마 치유(2022. 11.29, 도선인 기자) https://www.jnilbo.com/69116677067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고혜경·광주트라우마센터, 『꿈에게 길을 묻다 : 트라우마를 넘어선 인간 내면의 가능성을 찾아서』, 광주트라우마센터. 나무연필. 2016.
단행본 진중권 외,『치유의 인문학-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 10인의 광주트라우마센터 강의』, 위즈덤하우스. 2016.
논문 박영주·정혜경,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광주 트라우마센터의 심리적 및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와정책연구 33권 33호, 2017. 국회전자도서관
논문 진영은·김명희, 「5․18 트라우마와 사회적 치유 - 광주트라우마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시민과세계 37호. 참여연대, 2020. 국회전자도서관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