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23-004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 #Links S2023-004b 김방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경양방죽 hasContextualElement S2023-004b 증심사...) |
(→Story)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Story== | ==Story== | ||
− | * | + | * '''[[광산읍지|『광산읍지(光山邑誌)』]]'''에는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경양방죽|경양방죽(경양지)]]이라는 저수지를 [[김방]]이 만들었다고 적혀있다. 그런데, 이 [[김방]]의 [[경양방죽]] 축조와 관련하여 재미있는 동물보은담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가 있다. 해마다 가뭄이 들어 흉년이 계속되자 김방은 무등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끌어모아 광주를 비옥한 토양으로 만들고자 [[경양방죽]]을 파게 되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가뭄으로 일꾼들의 식량도 부족하게 되어 김방의 걱정이 깊었던 어느날, 김방은 경양방죽 공사 중 무너진 [[무등산|무등산 장원봉]]에 개미집을 옮겨 주었다. 그러자 개미 떼들이 그에 보답하려고 쌀을 물어다 주고, 김방은 공사에 필요한 식량을 얻어 제방 축조를 완성했다는 이야기이다. |
+ | * 또한 6.25전쟁 당시 [[증심사]]의 다른 전각은 불에 탔으나 [[김방]] 조성한 [[증심사오백전]]만은 불에 타지 않은 영험한 곳인데, 이 [[증심사]] 중수와 얽힌 [[증심사오백전_연기설화|증심사오백전 연기설화]]가 있다. 이 설화에서는 '''[[김방]]이 [[경양방죽]]을 지었지만, 3년 동안 극심한 가뭄이 지속되어 굶주리는 사람들이 생기자 [[김방]]은 비가 오기를 하늘에 기도를 했다. 기도가 통한걸까, [[김방]]은 [[증심사]]에 오백나한을 모시라는 현몽을 얻게 되어''' [[증심사오백전]]을 짓고 오백나한(五百羅漢)과 10대 제자상(十大弟子像)을 봉안한 것이라고 한다. | ||
+ | * 광주 도심과 [[증심사|무등산 증심사]]를 이어주는 다리인 [[광주_배고픈다리|배고픈 다리]]는 이름에 대한 여러가지 유래가 있는데, 그 중 한 이야기가 [[김방]]과 관련된 것이다. [[김방]]은 [[증심사오백전]]을 지을 당시, 부정을 탈까 두려워서 육식을 금하고 손수 현장에서 일꾼들과 함께 일했다고 한다. 그렇게 반년정도 지나자 [[김방]]은 피골이 상접해졌고 감동한 마을 사람들이 매일같이 닭을 잡아 올렸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어느 날 왕의 꿈에 많은 닭이 찾아와 [[김방]]이 역적모의를 하니 처형해달라고 간청하였고 왕은 잡아들여 처형하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자 그날 밤에는 다시 왕의 꿈에 개미들이 나타나 [[김방]]의 억울함을 이야기하였고, 왕은 어명을 거둬들였다. 다행히 [[김방]]을 잡으려는 금부도사 일행의 말이 [[광주_배고픈다리|배고픈 다리]]에 다다르자 꼼짝하지 않고 처형을 거두는 명을 받은 군졸들이 오기를 기다렸다고 한다. 기다리는 며칠간 군졸들이 배고픔에 허덕였기 때문에 [[광주_배고픈다리|배고픈 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2023년 11월 11일 (토) 19:30 판
다양한 설화 속 광주목사 김방을 통해 보는 현재의 광주 》 다양한 설화를 남긴 김방
- 수정중
Story
- 『광산읍지(光山邑誌)』에는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경양방죽(경양지)이라는 저수지를 김방이 만들었다고 적혀있다. 그런데, 이 김방의 경양방죽 축조와 관련하여 재미있는 동물보은담 「김방_할아버지와_개미_떼」가 있다. 해마다 가뭄이 들어 흉년이 계속되자 김방은 무등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끌어모아 광주를 비옥한 토양으로 만들고자 경양방죽을 파게 되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가뭄으로 일꾼들의 식량도 부족하게 되어 김방의 걱정이 깊었던 어느날, 김방은 경양방죽 공사 중 무너진 무등산 장원봉에 개미집을 옮겨 주었다. 그러자 개미 떼들이 그에 보답하려고 쌀을 물어다 주고, 김방은 공사에 필요한 식량을 얻어 제방 축조를 완성했다는 이야기이다.
- 또한 6.25전쟁 당시 증심사의 다른 전각은 불에 탔으나 김방 조성한 증심사오백전만은 불에 타지 않은 영험한 곳인데, 이 증심사 중수와 얽힌 증심사오백전 연기설화가 있다. 이 설화에서는 김방이 경양방죽을 지었지만, 3년 동안 극심한 가뭄이 지속되어 굶주리는 사람들이 생기자 김방은 비가 오기를 하늘에 기도를 했다. 기도가 통한걸까, 김방은 증심사에 오백나한을 모시라는 현몽을 얻게 되어 증심사오백전을 짓고 오백나한(五百羅漢)과 10대 제자상(十大弟子像)을 봉안한 것이라고 한다.
- 광주 도심과 무등산 증심사를 이어주는 다리인 배고픈 다리는 이름에 대한 여러가지 유래가 있는데, 그 중 한 이야기가 김방과 관련된 것이다. 김방은 증심사오백전을 지을 당시, 부정을 탈까 두려워서 육식을 금하고 손수 현장에서 일꾼들과 함께 일했다고 한다. 그렇게 반년정도 지나자 김방은 피골이 상접해졌고 감동한 마을 사람들이 매일같이 닭을 잡아 올렸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어느 날 왕의 꿈에 많은 닭이 찾아와 김방이 역적모의를 하니 처형해달라고 간청하였고 왕은 잡아들여 처형하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자 그날 밤에는 다시 왕의 꿈에 개미들이 나타나 김방의 억울함을 이야기하였고, 왕은 어명을 거둬들였다. 다행히 김방을 잡으려는 금부도사 일행의 말이 배고픈 다리에 다다르자 꼼짝하지 않고 처형을 거두는 명을 받은 군졸들이 오기를 기다렸다고 한다. 기다리는 며칠간 군졸들이 배고픔에 허덕였기 때문에 배고픈 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2023-004b | Story | Episode | 다양한 설화를 남긴 김방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S2023-004b | http://dh.aks.ac.kr/~gwangju/icon/episode.pn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