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동장고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월계동장고분|월계동 장고분(月溪洞長鼓墳)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2기의 무덤을 말한며 앞은 사다리꼴...) |
(→Web Resource)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 | |- | ||
|해설||한국민족문화대백과||월계동 장고분[月溪洞 長鼓墳]||||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 | |해설||한국민족문화대백과||월계동 장고분[月溪洞 長鼓墳]||||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 | ||
+ | |- | ||
+ | |해설||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 고고학사전||원통형토기(圓筒形土器)||||https://portal.nrich.go.kr/kor/archeologyUsrView.do?menuIdx=567&idx=4713&st_char=&sk= | ||
|- | |- | ||
|참고||광주드림||백제 시대 유물, 월계동 장고분 (2021-08-13, 서일환)||no.50||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9525 | |참고||광주드림||백제 시대 유물, 월계동 장고분 (2021-08-13, 서일환)||no.50||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9525 | ||
|- | |- | ||
|참고||무등일보||박해현의 다시 쓰는 전라도 고대사Ⅱ <1>영산강 유역 재지(在地) 세력과 '장고분(長鼓墳)'上 (2017-08-18, 박해현 교수)||||http://www.mdilbo.com/detail/Vfu5B9/520283 | |참고||무등일보||박해현의 다시 쓰는 전라도 고대사Ⅱ <1>영산강 유역 재지(在地) 세력과 '장고분(長鼓墳)'上 (2017-08-18, 박해현 교수)||||http://www.mdilbo.com/detail/Vfu5B9/520283 | ||
+ | |- | ||
+ | |참고||경향신문||30년전 '쉬쉬'하며 감췄던 일본식 고분…이제는 말할 수 있다 (2021-08-24, 이기환 기자)||||https://m.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108240500001 | ||
|- | |- | ||
|참고||동아일보||[한국의 인디아나존스들]열쇠구멍 닮은 ‘장고분’… 고대 韓日교류 비밀의 문 열까 (2016-12-14 , 박해현 교수)||||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61214/81825779/1 | |참고||동아일보||[한국의 인디아나존스들]열쇠구멍 닮은 ‘장고분’… 고대 韓日교류 비밀의 문 열까 (2016-12-14 , 박해현 교수)||||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61214/81825779/1 | ||
57번째 줄: | 61번째 줄: | ||
|- | |- | ||
|} | |} | ||
+ | |||
==Bibliography==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2022년 11월 8일 (화) 08:26 판
Definition
- [[월계동장고분|월계동 장고분(月溪洞長鼓墳)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2기의 무덤을 말한며 앞은 사다리꼴의 네모형, 뒷부분은 원형으로 장고의 형상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영산강 상류에 위치한 장구촌마을 북쪽 변두리, 서쪽에서 내려오는 구릉 말단 부에 있으며 주위에는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다. 장구모양의 언덕 때문에 장구촌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길 정도로 이곳에서 장고분의 존재는 알려져 있었으나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제시대부터 도굴이 진행되어 많은 부분이 유실되었으나 1994년 2월 18일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장고분은 현재 공식적으로 전방후원분으로 분류된다. 일본에서 많이 발견되는 형태이며 한반도에서의 발굴 조사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1980년대에는 장고분이 전방후원분과 동일한 것인가 하는 논쟁도 있었다. 전남 대학교박물관에 의해 1993년부터 세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고 도굴로 인해 유실된 유물이 많긴 하지만 원통형 토기와 나팔형 토기, 금귀고리 ·쇠화살촉 등이 수습되었다. 특히 바닥이 뚫린 원통형토기는 월계동 장고분에서만 발견되며 일본 전방후원분에서 출토된 하니와(埴輪·봉분 주변을 장식하는 토기)를 재현한 것으로 보이는 유물이다. 일본과의 교류를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이 유물들로 보아 원계동장고분을 비롯한 한반도 전방후원분의 매장자가 일본에서 온 인물들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월계동장고분 | Heritage | 시도문화재 | 광주광역시기념물 | 월계동장고분(月溪洞長鼓墳) | 월계동장고분 | 月溪洞長鼓墳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월계동장고분 | ~을 관리하다 | |
원통형토기 | 월계동장고분 | ~에서 발굴되다 | |
월계동장고분 | 전방후원분 | ~으로 분류된다 | |
월계동장고분_1호분 | 월계동장고분 | ~의 일부이다 | |
월계동장고분_2호분 | 월계동장고분 | ~의 일부이다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월계동장고분 | 35.2135664 | 126.842572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2동 월계로 1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