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취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잔글 (→Contextual Relations) |
|||
71번째 줄: | 71번째 줄: | ||
{{SemanticGraph | key=읍취정}} | {{SemanticGraph | key=읍취정}} | ||
− | [[분류: Place]] [[분류: Place/2023]] [[분류:이하루]] [[분류:문학/2023]] | + | [[분류:Place]] [[분류:Place/2023]] [[분류:이하루]] [[분류:문학/2023]] |
2024년 3월 7일 (목) 00:15 판
Definition
-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읍취 이방필(李邦弼)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 오치동 구릉 위에 반송(盤松)이 있어 ‘읍취'라 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록은 조선의 마지막 유학자 노사 기정진의 『읍취정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서 김인후가 정명(亭銘)을 지었고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이방필을 기리며 1691년에 이 지역에서 세거하던 후손에 의해 중창되었다. 오치향약의 소유이다”라는 내용이다.
- 구한말 1898년, 남강 이재정이 창계한 오치동 강의계(梧峙洞 講誼契)의 강회 장소로 1968년 계장 김형주가 죽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 정자 안에는 구한말 의병장 송사 기우만을 비롯해 이장헌, 이재순, 김택수, 송병제, 황연수 등의 시문이 적힌 현판이 걸려 있었다.
- 읍취정은 중종 말기에서 명종 때 건립된 작은 정자였다. 임진왜란 이후에 중창되었고 1898년부터는 지역 강의계의 강회 장소로 사용되었다. 1996년에 철거되어, 1997년 같은 자리에 모방 건물이 세워졌다.
- 읍취정은 북구 우치로 238번길로 들어가면 광주농협 오치지점 옆 건물의 지하 주차장 입구 옥상에 위치한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읍취정 | Place | 누정 | 정자 | 읍취정(挹翠亭) | 읍취정 | 挹翠亭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읍취정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읍취정 | 이방필 | 읍취정은 이방필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 | ||
읍취정 | 읍취정기 | 읍취정이 언급되어 있는 자료는 『읍취정기』이다 | ||
읍취정기 | 기정진 | 『읍취정기』의 창작자는 기정진이다 | ||
읍취정 | 김인후 | 읍취정이라는 정명은 김인후가 지었다 | ||
읍취정 | 오치향약 | 읍취정은 오치향약의 소유였다 | ||
읍취정 | 임진왜란 | 읍취정은 임진왜란 때 중창되었다 | ||
읍취정 | 오치동_강의계 | 읍취정은 오치동 강의계의 강회 장소로 사용되었다 | ||
오치동_강의계 | 이재정 | 오치동 강의계의 창계자는 이재정이다 | ||
오치동_강의계 | 김형주 | 오치동 강의계는 계장 김형주 사망 전까지 읍취정에서 강회했다 | ||
읍취정 | 기우만 | 읍취정 내부에는 기우만의 시문 현판이 있다 | ||
읍취정 | 이장헌 | 읍취정 내부에는 이장헌의 시문 현판이 있다 | ||
읍취정 | 이재순 | 읍취정 내부에는 이재순의 시문 현판이 있다 | ||
읍취정 | 송병제 | 읍취정 내부에는 송병제의 시문 현판이 있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읍취정 | http://aks.ai/GC60001246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