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취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 Definition ==
 
== Definition ==
*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이방필|읍취 이방필(挹翠 李邦弼)]]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
*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읍취 [[이방필]](李邦弼)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 오치동 구릉 위에 반송(盤松)이 있어 ‘읍취'라 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록은 조선의 마지막 유학자 [[기정진|노사 기정진]]의 『[[읍취정기]](挹翠亭記)』에서 찾아볼 수 있다. [[김인후|하서 김인후]]가 정명(亭銘)을 지었고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이방필|읍취 이방필]]을 기리며 1691년에 이 지역에서 세거하던 후손에 의해 중창되었다. 오치향약의 소유이다”라는 내용이다.
+
* 오치동 구릉 위에 반송(盤松)이 있어 ‘읍취'라 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록은 조선의 마지막 유학자 노사 [[기정진]]의 『[[읍취정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서 [[김인후]]가 정명(亭銘)을 지었고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이방필]]을 기리며 1691년에 이 지역에서 세거하던 후손에 의해 중창되었다. [[오치향약]]의 소유이다”라는 내용이다.
* 구한말 1898년, [[이재정|남강 이재정]]이 창계한 [[오치동_강의계|오치동 강의계(梧峙洞 講誼契)]]의 강회 장소로 1968년 계장 [[김형주]]가 죽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정자 안에는 구한말 의병장 [[기우만|송사 기우만]]을 비롯해 이장헌, 이재순, 김택수, 송병제, 황연수 등의 시문이 적힌 현판이 걸려 있었다.
+
* 구한말 1898년, 남강 [[이재정]]이 창계한 [[오치동_강의계|오치동 강의계]](梧峙洞 講誼契)의 강회 장소로 1968년 계장 [[김형주]]가 죽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
정자 안에는 구한말 의병장 송사 [[기우만]]을 비롯해 이장헌, 이재순, 김택수, 송병제, 황연수 등의 시문이 적힌 현판이 걸려 있었다.
 
* [[읍취정]]은 중종 말기에서 명종 때 건립된 작은 정자였다. [[임진왜란]] 이후에 중창되었고 1898년부터는 지역 강의계의 강회 장소로 사용되었다. 1996년에 철거되어, 1997년 같은 자리에 모방 건물이 세워졌다.
 
* [[읍취정]]은 중종 말기에서 명종 때 건립된 작은 정자였다. [[임진왜란]] 이후에 중창되었고 1898년부터는 지역 강의계의 강회 장소로 사용되었다. 1996년에 철거되어, 1997년 같은 자리에 모방 건물이 세워졌다.
 
* [[읍취정]]은 북구 우치로 238번길로 들어가면 광주농협 오치지점 옆 건물의 지하 주차장 입구 옥상에 위치한다. <ref> [[http://gwangju.grandculture.net/gwangju/search/GC60001246?keyword=%EC%9D%8D%EC%B7%A8%EC%A0%95&page=1 「읍취정」, 디지털광주문화대전]] </ref>
 
* [[읍취정]]은 북구 우치로 238번길로 들어가면 광주농협 오치지점 옆 건물의 지하 주차장 입구 옥상에 위치한다. <ref> [[http://gwangju.grandculture.net/gwangju/search/GC60001246?keyword=%EC%9D%8D%EC%B7%A8%EC%A0%95&page=1 「읍취정」, 디지털광주문화대전]] </ref>

2024년 2월 26일 (월) 16:00 판

Definition

  •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읍취 이방필(李邦弼)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 오치동 구릉 위에 반송(盤松)이 있어 ‘읍취'라 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록은 조선의 마지막 유학자 노사 기정진의 『읍취정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서 김인후가 정명(亭銘)을 지었고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이방필을 기리며 1691년에 이 지역에서 세거하던 후손에 의해 중창되었다. 오치향약의 소유이다”라는 내용이다.
  • 구한말 1898년, 남강 이재정이 창계한 오치동 강의계(梧峙洞 講誼契)의 강회 장소로 1968년 계장 김형주가 죽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정자 안에는 구한말 의병장 송사 기우만을 비롯해 이장헌, 이재순, 김택수, 송병제, 황연수 등의 시문이 적힌 현판이 걸려 있었다.

  • 읍취정은 중종 말기에서 명종 때 건립된 작은 정자였다. 임진왜란 이후에 중창되었고 1898년부터는 지역 강의계의 강회 장소로 사용되었다. 1996년에 철거되어, 1997년 같은 자리에 모방 건물이 세워졌다.
  • 읍취정은 북구 우치로 238번길로 들어가면 광주농협 오치지점 옆 건물의 지하 주차장 입구 옥상에 위치한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읍취정 Place 누정 정자 읍취정(挹翠亭) 읍취정 挹翠亭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읍취정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읍취정.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읍취정 이방필 읍취정은 이방필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
읍취정 오치동 읍취정은 광주 북구 오치동에 위치해 있다
읍취정 읍취정기 읍취정이 언급되어 있는 자료는 『읍취정기』이다
읍취정기 기정진 『읍취정기』의 창작자는 기정진이다
읍취정 김인후 읍취정이라는 정명은 김인후가 지었다
읍취정 오치향약 읍취정은 오치향약의 소유였다
읍취정 임진왜란 읍취정은 임진왜란 때 중창되었다
읍취정 오치동_강의계 읍취정은 오치동 강의계의 강회 장소로 사용되었다
오치동_강의계 이재정 오치동 강의계의 창계자는 이재정이다
오치동_강의계 김형주 오치동 강의계는 계장 김형주 사망 전까지 읍취정에서 강회했다
읍취정 기우만 읍취정 내부에는 기우만의 시문 현판이 있다
읍취정 이장헌 읍취정 내부에는 이장헌의 시문 현판이 있다
읍취정 이재순 읍취정 내부에는 이재순의 시문 현판이 있다
읍취정 송병제 읍취정 내부에는 송병제의 시문 현판이 있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읍취정 http://aks.ai/GC60001246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