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심사오백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증심사오백전(證心寺五百殿)은 오백나한(五百羅漢)과 십대제자(十代弟子)를 모시고 있는 불전으로 1989년 광주광역시...) |
(→Contextual Relations)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 |- | ||
| [[증심사오백전]] || [[증심사]] || || || 증심사오백전은 증심사에 있다. | | [[증심사오백전]] || [[증심사]] || || || 증심사오백전은 증심사에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증심사오백전]] || [[무등산]] || || || 무등산에서 가장 오래된 불전은 증심사오백전이다. | | [[증심사오백전]] || [[무등산]] || || || 무등산에서 가장 오래된 불전은 증심사오백전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년 1월 3일 (수) 16:10 판
Definition
- 증심사오백전(證心寺五百殿)은 오백나한(五百羅漢)과 십대제자(十代弟子)를 모시고 있는 불전으로 1989년 광주광역시 지정유산로 지정되었다. 오백전 내부에 계단식 불단을 설치하여 오백나한을 봉안하였다.
- 1609년 석경, 수장, 도광 선사가 증심사를 중건하면서 오백전도 건립되었다. 조선시대에 호남 지역에 세워진 오백전은 증심사오백전이 유일하다.
- 증심사오백전은 대웅전의 뒤에 있는 불전으로 한국전쟁 당시 유일하게 증심사에서 소실되지 않은 건물이다. 현재 무등산에 남아 있는 사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불전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증심사오백전 | Architecture | 증심사오백전 | 증심사오백전 | 證心寺五百殿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증심사오백전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증심사오백전.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증심사오백전 | 증심사 | 증심사오백전은 증심사에 있다. | ||
증심사오백전 | 무등산 | 무등산에서 가장 오래된 불전은 증심사오백전이다.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증심사오백전 | 35.1287374 | 126.9699579 |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증심사오백전 | http://aks.ai/GC60001063 | |
해설 | 국가문화유산포털 | 증심사오백전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sngl=Y&ccbaCpno=2112400130000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최원종, 「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현황과 활용방안」, 전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21. | Riss | https://www.riss.kr/link?id=T15793146 |
단행본 | 박선홍, 『무등산』, 광주문화재단, 2013. | Riss | https://www.riss.kr/link?id=T15793146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