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다리붓"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Definition)
잔글 (Definition)
2번째 줄: 2번째 줄:
  
 
*[[진다리붓|진다리붓]]은 광주를 대표하는 무형문화재(제4호)중 하나이다. 1930년대 이후 현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지역에 안재환씨가 정착하여 붓을 만들고, 이후 다른 제작자들이 모여들게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까지 이어지면서 약 20 여 가구가 붓을 제작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수요 감소로 점차 줄어들었다. 현재는 [[필장]] 안씨 가문과 필장 문상호씨만 제작을 계속하고 있다. 광주 진다리붓은 [[의재 허백련]] 등 유명 서예가와 문인화가들에게 최고의 붓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약 30 여 종의 붓이 연간 6천 여 개 제작되는데 주로 서울 지역에 보급되고 있다.
 
*[[진다리붓|진다리붓]]은 광주를 대표하는 무형문화재(제4호)중 하나이다. 1930년대 이후 현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지역에 안재환씨가 정착하여 붓을 만들고, 이후 다른 제작자들이 모여들게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까지 이어지면서 약 20 여 가구가 붓을 제작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수요 감소로 점차 줄어들었다. 현재는 [[필장]] 안씨 가문과 필장 문상호씨만 제작을 계속하고 있다. 광주 진다리붓은 [[의재 허백련]] 등 유명 서예가와 문인화가들에게 최고의 붓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약 30 여 종의 붓이 연간 6천 여 개 제작되는데 주로 서울 지역에 보급되고 있다.
*'진다리’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백운동의 옛 지명이라는 말도 있으나, 4대째 진다리붓 가업을 계승하고 있는 안명환 필장의 설명에 의하면 '진다리'는 1985년에 자신이 등록한 특허 상표명이라고 한다. 안 필장의 부친 때부터 [[진교필방]]에서 붓을 팔았는데, 붓 자체나 붓을 만든 사람이 아니라 판매처인 [[진교필방]]만 유명해졌단다. 그래서 진교의 교(橋)를 우리말인 다리로 바꾸고 '진다리붓'이라는 이름을 만들어 특허 등록을 한 것이다. 그래서 [[진다리붓]]의 좁은 의미로는 안명환 필장의 가문에서 만든 붓을 칭하고, 넓은 의미로는 백운동 지역에서 만들어진 붓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
*'진다리’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백운동의 옛 지명이라는 말도 있으나, 4대째 진다리붓 가업을 계승하고 있는 안명환 필장의 설명에 의하면 '진다리'는 1985년에 자신이 등록한 특허 상표명이라고 한다. 1980년대에 안 필장의 친척이 열었던 [[진교필방]]에서 붓을 팔았는데, 붓 자체나 붓을 만든 사람이 아니라 판매처인 [[진교필방]]만 유명해졌단다. 그래서 안 필장이 직접 진교의 교(橋)를 우리말인 다리로 바꾸고 '진다리붓'이라는 이름을 만들어 특허 등록을 한 것이다. 그래서 [[진다리붓]]의 좁은 의미로는 안명환 필장의 가문에서 만든 붓을 칭하고, 넓은 의미로는 백운동 지역에서 만들어진 붓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022년 7월 22일 (금) 10:18 판

Definition

  • 진다리붓은 광주를 대표하는 무형문화재(제4호)중 하나이다. 1930년대 이후 현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동 지역에 안재환씨가 정착하여 붓을 만들고, 이후 다른 제작자들이 모여들게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까지 이어지면서 약 20 여 가구가 붓을 제작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수요 감소로 점차 줄어들었다. 현재는 필장 안씨 가문과 필장 문상호씨만 제작을 계속하고 있다. 광주 진다리붓은 의재 허백련 등 유명 서예가와 문인화가들에게 최고의 붓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약 30 여 종의 붓이 연간 6천 여 개 제작되는데 주로 서울 지역에 보급되고 있다.
  • '진다리’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백운동의 옛 지명이라는 말도 있으나, 4대째 진다리붓 가업을 계승하고 있는 안명환 필장의 설명에 의하면 '진다리'는 1985년에 자신이 등록한 특허 상표명이라고 한다. 1980년대에 안 필장의 친척이 열었던 진교필방에서 붓을 팔았는데, 붓 자체나 붓을 만든 사람이 아니라 판매처인 진교필방만 유명해졌단다. 그래서 안 필장이 직접 진교의 교(橋)를 우리말인 다리로 바꾸고 '진다리붓'이라는 이름을 만들어 특허 등록을 한 것이다. 그래서 진다리붓의 좁은 의미로는 안명환 필장의 가문에서 만든 붓을 칭하고, 넓은 의미로는 백운동 지역에서 만들어진 붓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진다리붓 Object 광주무형문화재 서예 도구 진다리붓 진다리붓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진다리붓

※ 참고: Ontology:EKC_광주:Class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진다리붓 진교필방 붓 판매처
진다리붓 필장 붓 만드는 사람

※ 참고: Ontology:EKC_광주:Relation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ltitude address
진다리붓 35.137056 126.904359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남구 진다리로(백운동)

※ 참고: 지리 좌표 검색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진다리붓 http://encykorea.aks.ac.kr/Search/List
해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ndex.php?search=%EB%B6%93&title=%ED%8A%B9%EC%88%98:%EA%B2%80%EC%83%89&profile=advanced&fulltext=1&ns0=1
해설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진다리붓 http://gjstory.or.kr/sub.html?pid=48&searchType=total&keyword=%EC%A7%84%EB%8B%A4%EB%A6%AC%EB%B6%93
참고 시민의 소리 한국의 명물 진다리붓, 광주의 자랑(2014-10-30,신문식 기자)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78003
참고 투데이광주전남 진다리붓(2021-12-5,정성환 기자) 예향 광주의 문화 역사가 살아 숨쉬는 광주전통문화관을 찾아서 http://www.todaygwangju.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337
  • type: 해설, 참고, 원문,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박창선, 「한국 전통 붓의 종류와 제작 기법」,『무형유산 』,국립무형유산원, 2020. RISS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7f23e7e3bd8caa3cb36097776a77e665&keyword=%EC%A7%84%EB%8B%A4%EB%A6%AC%EB%B6%93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 참고: RISS 논문 검색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 sampl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