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주상절리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국가문화재" 문자열을 "국가문화유산" 문자열로)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 무등산에는 대략 9,000만년 전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영안산암으로 이루어진 국내에서 가장 두꺼운 주상절리가 발달해 있다. 주상절리는 용암이 분출되어 낮은 곳으로 흐르면서 급히 냉각되고 수축되면서 생성되는데, '柱狀'이라는 단어가 말해주듯이 기둥 모양 혹은 병풍 모양을 하고 있어 매우 아름다운 경관을 이룬다. 2005년에 천연기념물로 등록되었고 주상절리의 일부인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은 2018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무등산의 옛이름 '서석산(遊瑞山)'은 주상절리대의 일부인 '서석대(瑞石臺)'에서 비롯되었다. 고경명은 그의 저서 『[[유서석록|유서석록(遊瑞石錄)]]에서 [[무등산_주상절리대|주상절리대]]의 대표적인 명소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 중  [[입석대]]에 대한 묘사는 주상절리의 전형적인 모습에 대해 잘 보여주고 있는데 "네 모퉁이가 깎여 끊어진 것이 옥을 갈아 놓은 것 같고, 층층으로 포개진 것이 얼마나 정확한지 마치 석수장이가 먹줄을 튕겨서  쌓은 것만 같았다."라고 말하고 있다.
+
*무등산에는 대략 9,000만년 전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영안산암으로 이루어진 국내에서 가장 두꺼운 주상절리가 발달해 있다. 주상절리는 용암이 분출되어 낮은 곳으로 흐르면서 급히 냉각되고 수축되면서 생성되는데, '柱狀'이라는 단어가 말해주듯이 기둥 모양 혹은 병풍 모양을 하고 있어 매우 아름다운 경관을 이룬다. 2005년에 천연기념물로 등록되었고 주상절리의 일부인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은 2018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무등산의 옛이름 '서석산(遊瑞山)'은 주상절리대의 일부인 '서석대(瑞石臺)'에서 비롯되었다. 고경명은 그의 글  [[유서석록|「유서석록(遊瑞石錄)]]에서 [[무등산_주상절리대|주상절리대]]의 대표적인 명소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 중  [[무등산_입석대]]에 대한 묘사는 주상절리의 전형적인 모습에 대해 잘 보여주고 있는데 "네 모퉁이가 깎여 끊어진 것이 옥을 갈아 놓은 것 같고, 층층으로 포개진 것이 얼마나 정확한지 마치 석수장이가 먹줄을 튕겨서  쌓은 것만 같았다."라고 말하고 있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7번째 줄: 8번째 줄: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무등산_주상절리대 ]]|| Place||자연지명||||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 柱狀節理臺)||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 柱狀節理臺||||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_주상절리대||<html><img width = "80" src=""/></html>
+
|[[무등산_주상절리대 ]]|| Place||자연||||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 柱狀節理臺)||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 柱狀節理臺||||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_주상절리대||http://encykorea.aks.ac.kr/Contents/GetImage?t=origin&id=2257ba71-d8c6-4588-8cfb-60218c3db16e&w=878&h=582
 
|}
 
|}
  
※ 참고: [[Ontology:EKC_광주:Class]]
 
 
===Contextual Relations===
 
===Contextual Relation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24번째 줄: 24번째 줄: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규봉]]||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규봉]]||hasPart||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hasPart||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서석대]]||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서석대]]||hasPart||
32번째 줄: 30번째 줄: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지공너덜]]||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지공너덜]]||hasPart||
 +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isPartOf||
 
|-
 
|-
 
|}
 
|}
※ 참고: [[Ontology:EKC_광주:Relation]]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target||relation
 +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광석대]]||hasPart
 +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규봉]]||hasPart
 +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hasPart
 +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서석대]]||hasPart
 +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입석대]]||hasPart
 +
|-
 +
|[[무등산_주상절리대]]||[[무등산_지공너덜]]||hasPart
 +
|-
 +
|[[무등산]]||[[무등산_주상절리대]]||hasPart
 +
|-
 +
|[[국가문화유산]]||[[국가지정문화유산]]||includes
 +
|-
 +
|[[국가지정문화유산]]||[[국가지정문화유산_명승]]||includes
 +
|-
 +
|[[국가지정문화유산_명승]]||[[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includes
 +
|-
 +
|[[규봉암]]||[[무등산_규봉]]||isLocatedIn
 +
|-
 +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무등산_규봉]]||hasPart
 +
|-
 +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무등산_지공너덜]]||hasPart
 +
|-
 +
|}
 +
 
 
== Spatial Data ==
 
== Spatial Data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id||위도||경도||고도||주소
+
!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무등산_주상절리대||35.1196409||126.9988335  ||927.73 m||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산354-1
+
|무등산_주상절리대||35.1196409||126.9988335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산354-1
 
|-
 
|-
|}{{구글지도 | 위도=35.1196409|경도= 126.9988335  |줌=16}}  
+
|}{{구글지도 | 위도=35.1196409|경도= 126.9988335  |줌=16}}
 +
 
 
==Web Resource==
 
==Web Resource==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53번째 줄: 85번째 줄:
 
|-
 
|-
 
|}
 
|}
 +
 
==Bibliography==
 
==Bibliography==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59번째 줄: 92번째 줄:
 
|논문||손희하, 「고지도에 나타난 ‘무등산’ 연구 - 산 이름 표기의 정리와 해독을 중심으로 -」, 『지명학』 vol.23, 통권 23호, 한국지명학회, 2015.||||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63838
 
|논문||손희하, 「고지도에 나타난 ‘무등산’ 연구 - 산 이름 표기의 정리와 해독을 중심으로 -」, 『지명학』 vol.23, 통권 23호, 한국지명학회, 2015.||||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63838
 
|-
 
|-
|논문||오종주, 「무등산 평활사면(cryoplanation surface)의 형성시기와 분포특성」,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1, 한국지형학회, 2012.||||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49442
+
|논문||오종주‧박승필‧성영배,「무등산 평활사면(cryoplanation surface)의 형성시기와 분포특성」,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1, 한국지형학회, 2012.||||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49442
 
|-
 
|-
 
|논문||정형은 ‧ 안건상 ‧ 손정모, 「전라남도 여수·순천·구례지역 안산암 주상절리의 형태」, 『한국도서연구』 vol.31, no.2, 통권 67호, 한국도서(섬)학회, 2019.||||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1319
 
|논문||정형은 ‧ 안건상 ‧ 손정모, 「전라남도 여수·순천·구례지역 안산암 주상절리의 형태」, 『한국도서연구』 vol.31, no.2, 통권 67호, 한국도서(섬)학회, 2019.||||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1319
 
|-
 
|-
|단행본||유몽인 ‧최익현 외 지음, 전송열 ‧허경진 엮고 옮김 , 『조선 선비의 산수기행』, 돌배개, 2016.||||
+
|단행본||유몽인 ‧최익현 외 지음, 전송열 ‧허경진 엮고 옮김 , 『조선 선비의 산수기행』, 돌배개, 2016.||||https://www.google.com/search?q=9788971997307
 
|-
 
|-
 
|}
 
|}
 +
 
== Notes ==
 
== Notes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Place]][[분류: 이재열]]
+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무등산_주상절리대"></iframe>
 +
<br/>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무등산_주상절리대'">
 +
</html>
 +
 
 +
[[분류:Place]][[분류: 이재열]][[분류:가]]

2024년 3월 8일 (금) 10:4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무등산에는 대략 9,000만년 전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영안산암으로 이루어진 국내에서 가장 두꺼운 주상절리가 발달해 있다. 주상절리는 용암이 분출되어 낮은 곳으로 흐르면서 급히 냉각되고 수축되면서 생성되는데, '柱狀'이라는 단어가 말해주듯이 기둥 모양 혹은 병풍 모양을 하고 있어 매우 아름다운 경관을 이룬다. 2005년에 천연기념물로 등록되었고 주상절리의 일부인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은 2018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무등산의 옛이름 '서석산(遊瑞山)'은 주상절리대의 일부인 '서석대(瑞石臺)'에서 비롯되었다. 고경명은 그의 글 「유서석록(遊瑞石錄)」에서 주상절리대의 대표적인 명소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 중 무등산_입석대에 대한 묘사는 주상절리의 전형적인 모습에 대해 잘 보여주고 있는데 "네 모퉁이가 깎여 끊어진 것이 옥을 갈아 놓은 것 같고, 층층으로 포개진 것이 얼마나 정확한지 마치 석수장이가 먹줄을 튕겨서 쌓은 것만 같았다."라고 말하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무등산_주상절리대 Place 자연 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 柱狀節理臺) 무등산 주상절리대 無等山 柱狀節理臺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무등산_주상절리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GetImage?t=origin&id=2257ba71-d8c6-4588-8cfb-60218c3db16e&w=878&h=582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규봉암 무등산_규봉 isLocatedIn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 무등산_규봉 hasPart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 무등산_지공너덜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광석대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규봉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서석대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입석대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지공너덜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 isPartOf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target relation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광석대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규봉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서석대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입석대 hasPart
무등산_주상절리대 무등산_지공너덜 hasPart
무등산 무등산_주상절리대 hasPart
국가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 includes
국가지정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유산_명승 includes
국가지정문화유산_명승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 includes
규봉암 무등산_규봉 isLocatedIn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 무등산_규봉 hasPart
무등산_규봉_주상절리와_지공너덜 무등산_지공너덜 hasPart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무등산_주상절리대 35.1196409 126.9988335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산354-1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柱狀節理帶)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4981
해설 두산백과 무등산 주상절리대[Columnar Joint in Mudeungsan Mountain,無等山 柱狀節理臺]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51275
해설 국가문화유산포털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無等山 圭峯 柱狀節理와 指空너덜)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5,01140000,36&pageNo=1_1_1_0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논문 손희하, 「고지도에 나타난 ‘무등산’ 연구 - 산 이름 표기의 정리와 해독을 중심으로 -」, 『지명학』 vol.23, 통권 23호, 한국지명학회, 201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63838
논문 오종주‧박승필‧성영배,「무등산 평활사면(cryoplanation surface)의 형성시기와 분포특성」,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1, 한국지형학회, 201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49442
논문 정형은 ‧ 안건상 ‧ 손정모, 「전라남도 여수·순천·구례지역 안산암 주상절리의 형태」, 『한국도서연구』 vol.31, no.2, 통권 67호, 한국도서(섬)학회, 201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1319
단행본 유몽인 ‧최익현 외 지음, 전송열 ‧허경진 엮고 옮김 , 『조선 선비의 산수기행』, 돌배개, 2016.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71997307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