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efinition== * 이매방(李梅芳, 1926~2015):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전통무용가이며 인간문화재. *‘매방’이란 이...)
 
(Definition)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이매방|이매방(李梅芳, 1926~2015)]]: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전통무용가이며 인간문화재.  
+
* [[한성태|한성태(韓聖泰, 1890~1931)]]: 일제강점기 가야금 명인이자 판소리의 명창.  
*‘매방’이란 이름은, 대련에서 소학교에 다닐때 다녔던 무용학원에서 스승이었던 중국의 경극 배우 매란방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
* [[한성태]]는 [[광주협률사]]에서 활동했다.
* 목포의 권번에서 예기(藝妓) [[함국향]]을 통해 춤과 가락을 접하고 이후 [[이대조]], [[박영구]], [[이창조]] 등 당대의 예인들로부터 승무, 검무, 살풀이춤 등 전통 무용을 사사받았다. 
+
* 전남 담양군 대덕면 운산리 국악인 집안에서 태어나 부친 [[한덕만]]에게 가야금을 배워서 이름을 떨쳤으나 대우가 판소리 명창에 미치지 못한 데 불만을 품고 판소리를 배웠다고 전한다. 
* 1987년 국가중요 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199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보유자로 지정됐다.
+
* 17세부터 [[김채만]]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며, 1912년부터 광주의 [[광주협률사|협률사]]에 출연하여 소년명창으로 이름을 떨쳤다.
* 삼현승무·보현승무, 살풀이, 검무, 산조 등 다양한 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냈다.<ref>[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vvm_seq=5879 이매방, 문화포털]</ref>
+
* 한성태의 2남 [[한갑득]](韓甲得, 1920∼1986)은 중요무형문화재 거문고산조 보유자로, 3남 [[한갑주]](韓甲珠, 1924∼2010,예명:韓承鎬)는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로 활동을 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2525 한성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참조: https://www.culture.go.kr/knowledge/encyclopediaView.do?vvm_seq=5879
+
* 참조: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2525
 
----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선현정]] [[분류:예술/2023]]
 
[[분류:문맥항목/2023]] [[분류:선현정]] [[분류:예술/2023]]

2024년 2월 27일 (화) 23:55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한성태(韓聖泰, 1890~1931): 일제강점기 가야금 명인이자 판소리의 명창.
  • 한성태광주협률사에서 활동했다.
  • 전남 담양군 대덕면 운산리 국악인 집안에서 태어나 부친 한덕만에게 가야금을 배워서 이름을 떨쳤으나 대우가 판소리 명창에 미치지 못한 데 불만을 품고 판소리를 배웠다고 전한다.
  • 17세부터 김채만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며, 1912년부터 광주의 협률사에 출연하여 소년명창으로 이름을 떨쳤다.
  • 한성태의 2남 한갑득(韓甲得, 1920∼1986)은 중요무형문화재 거문고산조 보유자로, 3남 한갑주(韓甲珠, 1924∼2010,예명:韓承鎬)는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로 활동을 하였다.[1]
  • 참조: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2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