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채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Web Resource)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서 태어나, 뒤에 광주 서구 효덕동 구암촌인 광주의 속골로 이사해서 살았다. |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서 태어나, 뒤에 광주 서구 효덕동 구암촌인 광주의 속골로 이사해서 살았다. | ||
* [[김채만]]은 [[이날치]]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나, 본래 목이 좋지 못하였으나 끈질긴 노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명창이 되었다. | * [[김채만]]은 [[이날치]]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나, 본래 목이 좋지 못하였으나 끈질긴 노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명창이 되었다. | ||
− | * 1902년 [[김창환]]의 권유로 상경하여 한동안 [[ | + | * 1902년 [[김창환]]의 권유로 상경하여 한동안 [[광주_원각사]]에 참여하였고 1907년에는 [[창극단_협률사|창극단 협률사]](協律社)에서 창극에 참여하기도 했다. |
* 1910년 8월 한일합방의 비보를 접하고 협률사가 해산되자 고향에 돌아와 후학을 양성에 힘썼다, 그의 문하에서 [[박화섭]](朴化燮), [[한성태]](韓成泰), [[신용주]](申用株), [[박종원]](朴宗元), [[김정문]](金正文), [[공창식]](孔昌植), [[박동실]](朴東實) 등의 명창이 배출되었다. [[김채만]]의 장기는 「[[심청가]]」로 당대의 독보적인 소리였다. | * 1910년 8월 한일합방의 비보를 접하고 협률사가 해산되자 고향에 돌아와 후학을 양성에 힘썼다, 그의 문하에서 [[박화섭]](朴化燮), [[한성태]](韓成泰), [[신용주]](申用株), [[박종원]](朴宗元), [[김정문]](金正文), [[공창식]](孔昌植), [[박동실]](朴東實) 등의 명창이 배출되었다. [[김채만]]의 장기는 「[[심청가]]」로 당대의 독보적인 소리였다.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김채만]] || [[ | + | | [[김채만]] || [[판소리_명창]] || || || 김채만은 판소리명창이다. |
|- | |- | ||
| [[김채만]] || [[이날치]] || || || 김채만은 이날치에게 배웠다. | | [[김채만]] || [[이날치]] || || || 김채만은 이날치에게 배웠다. | ||
|- | |- | ||
− | | [[김채만]] || [[ | + | | [[김채만]] || [[광주_원각사]] || || || 김채만은 원각사에서 활동하였다. |
|- | |- | ||
| [[김채만]] || [[창극단_협률사]] || || || 김채만은 창극단_협률사에서 활동하였다. | | [[김채만]] || [[창극단_협률사]] || || || 김채만은 창극단_협률사에서 활동하였다.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 [[김채만]] || [[김창환]] || || || 김채만은 김창환과 함께 활동하였다. | | [[김채만]] || [[김창환]] || || || 김채만은 김창환과 함께 활동하였다. | ||
|- | |- | ||
− | | [[김채만]] || [[ | + | | [[김채만]] || [[광주_속골]] || || || 김채만은 광주 속골에서 살았다. |
|- | |- | ||
| [[김채만]] || [[박화섭]] || || || 박화섭은 김채만의 제자이다. | | [[김채만]] || [[박화섭]] || || || 박화섭은 김채만의 제자이다. |
2024년 3월 7일 (목) 23:3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김채만은 대한제국기에 창극단과 협률사에 참여한 판소리의 명창이다.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서 태어나, 뒤에 광주 서구 효덕동 구암촌인 광주의 속골로 이사해서 살았다.
- 김채만은 이날치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나, 본래 목이 좋지 못하였으나 끈질긴 노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명창이 되었다.
- 1902년 김창환의 권유로 상경하여 한동안 광주_원각사에 참여하였고 1907년에는 창극단 협률사(協律社)에서 창극에 참여하기도 했다.
- 1910년 8월 한일합방의 비보를 접하고 협률사가 해산되자 고향에 돌아와 후학을 양성에 힘썼다, 그의 문하에서 박화섭(朴化燮), 한성태(韓成泰), 신용주(申用株), 박종원(朴宗元), 김정문(金正文), 공창식(孔昌植), 박동실(朴東實) 등의 명창이 배출되었다. 김채만의 장기는 「심청가」로 당대의 독보적인 소리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김채만 | Actor | 인물-문화예술 | 판소리 | 김채만(金采萬, 1865~1911) | 김채만 | 金采萬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김채만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김채만.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김채만 | 판소리_명창 | 김채만은 판소리명창이다. | ||
김채만 | 이날치 | 김채만은 이날치에게 배웠다. | ||
김채만 | 광주_원각사 | 김채만은 원각사에서 활동하였다. | ||
김채만 | 창극단_협률사 | 김채만은 창극단_협률사에서 활동하였다. | ||
김채만 | 김창환 | 김채만은 김창환과 함께 활동하였다. | ||
김채만 | 광주_속골 | 김채만은 광주 속골에서 살았다. | ||
김채만 | 박화섭 | 박화섭은 김채만의 제자이다. | ||
김채만 | 공창식 | 공창식은 김채만의 제자이다. | ||
김채만 | 박동실 | 박동실은 김채만의 제자이다. | ||
김채만 | 심청가 | 김채만은 심청가를 잘불렀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김채만 | http://aks.ai/GC05601241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채만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0729 | |
참고 | 광주관광공사 | <인물따라 광주 여행> 김채만 : 조격을 갖춘 소리꾼 | 광주관광공사 공식블로그 | https://blog.naver.com/gwangju611/222218956328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정대하, 「세습무계의 통혼과 판소리 전승의 상관성-광주소리를 중심으로-」」『구비문학연구』23집, 한국구비문학회, 2006. | Riss | https://www.riss.kr/link?id=A104862518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