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은유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Definition ==
 
== Definition ==
 
* 조선 중기 광주 고룡리 출신의 유학자이자 의병 [[기의헌]](奇義獻, 1587~1653)의 시문집.
 
* 조선 중기 광주 고룡리 출신의 유학자이자 의병 [[기의헌]](奇義獻, 1587~1653)의 시문집.
* [[기은유고]]』의 서문은 [[최익현]]과 방손(傍孫) [[기우만]]이 썼다.
+
* [[기의헌]]의 후손 [[기관현]], [[기학현]], [[기경섭]]이 가보로 간직해오다 수습해 편찬했다.
 +
* 서문과 발문의 간기(刊記,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와 장소, 간행자에 대한 기록)로 보아 1905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최익현]]과 방손(傍孫) [[기우만]]이 서문을 썼다.
 
* 권1에는 시(詩) 9제 14수가 실려 있다.
 
* 권1에는 시(詩) 9제 14수가 실려 있다.
 
* 권2에는 서(書) 1편이 실려 있다.
 
* 권2에는 서(書) 1편이 실려 있다.
 
* 권3에는 설(說) 2편 · 서(序) 1편 · 발(跋) 1편 · 제문(祭文) 2편 · 도(圖) 1편이 실려 있다.
 
* 권3에는 설(說) 2편 · 서(序) 1편 · 발(跋) 1편 · 제문(祭文) 2편 · 도(圖) 1편이 실려 있다.
 
* 권4 부록에는 가장 · 행장 · 비음기(碑陰記) · 묘표 · 서술(敍述) · 묘갈명이 각 1편씩 실려 있다.
 
* 권4 부록에는 가장 · 행장 · 비음기(碑陰記) · 묘표 · 서술(敍述) · 묘갈명이 각 1편씩 실려 있다.
* 권말(卷末)에는 후손 [[기관현]], [[기학현]], [[기경섭]] 등이 지은 발문이 실려 있다.
+
* 권말(卷末)에는 엮고 펴낸 [[기관현]], [[기학현]], [[기경섭]] 등이 지은 발문이 실려 있다.
 
*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지은 창의 격문은 유실되어 부록 목록에서 제목으로만 볼 수 있다.
 
*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지은 창의 격문은 유실되어 부록 목록에서 제목으로만 볼 수 있다.
 
* 문집에 실린 시 「[[제육오당삼언]](題六吾堂三言)」과 「[[육오당속제]](六吾堂續題)」는 [[기의헌]]이 서재 당호를 [[육오당]]으로 삼은 내력을 읊는다.
 
* 문집에 실린 시 「[[제육오당삼언]](題六吾堂三言)」과 「[[육오당속제]](六吾堂續題)」는 [[기의헌]]이 서재 당호를 [[육오당]]으로 삼은 내력을 읊는다.
*「[[제태극도]](題太極圖)」나 「[[제이기설후]](題理氣說後)」 등의 시(詩)는 이(理)와 기(氣)에 대한 [[기의헌]]의 철학적 사유를 나타낸다.  
+
*「[[제태극도]](題太極圖)」나 「[[제이기설후]](題理氣說後)」 등의 시(詩)는 '이(理)''기(氣)'에 대한 [[기의헌]]의 철학적 사유를 나타낸다.  
* 서(書)에 수록된 「[[답안우산별지]](答安牛山別紙)」는 선대 유학자들에 대한 우산(牛山) [[안방준]]의 견해를 비판하는 글로서, 특히 안방준이 문제 삼은 길재(吉再)의 처세와 절의를 적극적으로 옹호한다.
+
* 서(書)에 수록된 「[[답안우산별지]](答安牛山別紙)」는 선대 유학자들에 대한 우산(牛山) [[안방준]]의 견해를 비판하는 글로서, 특히 [[안방준]]이 문제 삼은 길재(吉再)의 처세와 절의를 적극적으로 옹호한다.
* 이 밖에 「[[기은설]](棄隱說)」에서는 자호(自號)인 '기은'의 의미를 풀어 설명하며, 마찬가지로 설(說) 작품인 「[[면학설시자질]](勉學說示子姪)」에서는 자식과 조카 등 후손들에게 학문을 권면한다. <ref> [http://aks.ai/GC60004683 『기은유고』, 디지털광주문화대전] </ref>
+
* 이 밖에 「[[기은설]](棄隱說)」에서는 자호(自號)인 '기은'의 의미를 설명하며, 마찬가지로 설(說) 작품인 「[[면학설시자질]](勉學說示子姪)」에서는 자식과 조카 등 후손들에게 학문을 권면한다. <ref> [http://aks.ai/GC60004683 『기은유고』, 디지털광주문화대전] </ref>
  
 
== Semantic Data ==
 
== Semantic Data ==
19번째 줄: 21번째 줄: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기은유고 || Work || 작품 || || 기은유고(棄隱遺稿, 1905) || 기은유고 || 棄隱遺稿 ||  Gieunyugo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기은유고 ||  
+
| 기은유고 || Record || 문헌 || 시문집 || 기은유고(棄隱遺稿) || 기은유고 || 棄隱遺稿 ||  Gieunyugo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기은유고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기은유고.jpg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기은유고.jpg
 
|}
 
|}
33번째 줄: 35번째 줄:
 
| [[기은유고]] || [[최익현]] ||  || 서문 || 『기은유고』는 최익현과 관련이 있다
 
| [[기은유고]] || [[최익현]] ||  || 서문 || 『기은유고』는 최익현과 관련이 있다
 
|-
 
|-
| [[기은유고]] || [[기관현]] ||  || 발문 및 편찬 || 『기은유고』는 기관현과 관련이 있다
+
| [[기은유고]] || [[기관현]] ||  || 편찬 및 발문 || 『기은유고』는 기관현과 관련이 있다
 
|-
 
|-
| [[기은유고]] || [[기학현]] ||  || 발문 및 편찬 || 『기은유고』는 기학현과 관련이 있다
+
| [[기은유고]] || [[기학현]] ||  || 편찬 및 발문 || 『기은유고』는 기학현과 관련이 있다
 
|-
 
|-
| [[기은유고]] || [[기경섭]] ||  || 발문 및 편찬 || 『기은유고』는 기경섭과 관련이 있다
+
| [[기은유고]] || [[기경섭]] ||  || 편찬 및 발문 || 『기은유고』는 기경섭과 관련이 있다
|-
 
| [[제육오당삼언]] || [[기은유고]] ||  ||  || 「제육오당삼언」은 『기은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
 
| [[육오당속제]] || [[기은유고]] ||  ||  || 「육오당속제」는 『기은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
 
| [[제태극도]] || [[기은유고]] ||  ||  || 「제태극도」는 『기은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
 
| [[제이기설후]] || [[기은유고]] ||  ||  || 「제이기설후」는 『기은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
 
| [[답안우산별지]] || [[기은유고]] ||  ||  || 「답안우산별지」는 『기은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
 
|-
 
| [[기은설]] || [[기은유고]] ||  ||  || 「기은설」은 『기은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 [[기은설]] || [[기은유고]] ||  ||  || 「기은설」은 『기은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
 
| [[면학설시자질]] || [[기은유고]] ||  ||  || 「면학설시자질」는 『기은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
 
|-
 
|}
 
|}
60번째 줄: 50번째 줄:
 
|-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기은유고』 || http://aks.ai/GC60004683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기은유고』 || http://aks.ai/GC60004683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기은유고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기은유고/기은유고.jpg
 
|-
 
|-
 
|}
 
|}
77번째 줄: 69번째 줄:
 
{{SemanticGraph | key=기은유고}}
 
{{SemanticGraph | key=기은유고}}
  
[[분류:Work]] [[분류:Work/2023]] [[분류:이하루]] [[분류:문학/2023]]
+
[[분류:Record]] [[분류:Record/2023]] [[분류:이하루]] [[분류:문학/2023]]

2024년 4월 29일 (월) 16:5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조선 중기 광주 고룡리 출신의 유학자이자 의병 기의헌(奇義獻, 1587~1653)의 시문집.
  • 기의헌의 후손 기관현, 기학현, 기경섭이 가보로 간직해오다 수습해 편찬했다.
  • 서문과 발문의 간기(刊記,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와 장소, 간행자에 대한 기록)로 보아 1905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최익현과 방손(傍孫) 기우만이 서문을 썼다.
  • 권1에는 시(詩) 9제 14수가 실려 있다.
  • 권2에는 서(書) 1편이 실려 있다.
  • 권3에는 설(說) 2편 · 서(序) 1편 · 발(跋) 1편 · 제문(祭文) 2편 · 도(圖) 1편이 실려 있다.
  • 권4 부록에는 가장 · 행장 · 비음기(碑陰記) · 묘표 · 서술(敍述) · 묘갈명이 각 1편씩 실려 있다.
  • 권말(卷末)에는 엮고 펴낸 기관현, 기학현, 기경섭 등이 지은 발문이 실려 있다.
  • 정묘호란병자호란 때 지은 창의 격문은 유실되어 부록 목록에서 제목으로만 볼 수 있다.
  • 문집에 실린 시 「제육오당삼언(題六吾堂三言)」과 「육오당속제(六吾堂續題)」는 기의헌이 서재 당호를 육오당으로 삼은 내력을 읊는다.
  • 제태극도(題太極圖)」나 「제이기설후(題理氣說後)」 등의 시(詩)는 '이(理)'와 '기(氣)'에 대한 기의헌의 철학적 사유를 나타낸다.
  • 서(書)에 수록된 「답안우산별지(答安牛山別紙)」는 선대 유학자들에 대한 우산(牛山) 안방준의 견해를 비판하는 글로서, 특히 안방준이 문제 삼은 길재(吉再)의 처세와 절의를 적극적으로 옹호한다.
  • 이 밖에 「기은설(棄隱說)」에서는 자호(自號)인 '기은'의 의미를 설명하며, 마찬가지로 설(說) 작품인 「면학설시자질(勉學說示子姪)」에서는 자식과 조카 등 후손들에게 학문을 권면한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기은유고 Record 문헌 시문집 기은유고(棄隱遺稿) 기은유고 棄隱遺稿 Gieunyugo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기은유고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기은유고.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기은유고 기의헌 『기은유고』는 기의헌이 창작했다
기은유고 기우만 서문 『기은유고』는 기우만과 관련이 있다
기은유고 최익현 서문 『기은유고』는 최익현과 관련이 있다
기은유고 기관현 편찬 및 발문 『기은유고』는 기관현과 관련이 있다
기은유고 기학현 편찬 및 발문 『기은유고』는 기학현과 관련이 있다
기은유고 기경섭 편찬 및 발문 『기은유고』는 기경섭과 관련이 있다
기은설 기은유고 「기은설」은 『기은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기은유고』 http://aks.ai/GC60004683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기은유고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기은유고/기은유고.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