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 5월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Contextual Relations)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 Definition == | == Definition == | ||
− | * [[ | + | * [[동인_5월시|동인 5월시]]는 1980년 6월 시인 [[이영진]], [[김진경]], [[박주관]]의 발의와 추진으로 결성되었다. |
− | + | * 이들은 시의 중심을 역사에 둠으로써 민족/민중이 역사의 주체임을 확언하며 시는 고통의 언어여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장식적 수사나 이념적 시를 배제하고 현실을 보다 더 적합하게 알리기 위해 실험을 감행했다. | |
− | * [[ | + | * 초반에는 자유시형을 주로 보였지만, 3집 이후에는 산문화의 경향이 강해지고 4, 5집에서는 본격적인 장시화(長詩化)로 귀결된다. |
− | * | + | * [[동인지_5월시|《5월시》]] 동인 중 충청도 출신인 [[김진경]], [[윤재철]]을 제외한 일곱 명([[곽재구]], [[나종영]], [[나해철]], [[박몽구]], [[박주관]], [[이영진]], [[최두석]])은 고교 시절부터 광주 학생 문단에서 친분을 쌓은 사이였다. [[고광헌]]은 제5집 《[[무크지_5월|5월]]》 때 합류했다. |
− | * [[ | + | * [[동인_5월시|동인 5월시]]는 동인지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1호의 서문을 작성하지 못했다. [[5.18민주화운동|1980년 5월 광주]]가 겪은 엄청난 충격으로 인해 어떠한 논리적 직조도 불가능함을 실감했기 때문이다. |
+ | * 1983년 [[이영진]] 시인이 출판사 [[출판사_청사|청사]]의 편집장이 되면서 본격적인 동인 활동이 펼쳐졌다. 문학의 대중화를 위한 방편으로 시와 판화의 만남을 유치했다. [[김경주]], [[조전호]] 화가와 결합하여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시판화전을 개최했고, 9월에는 판화집 『가슴마다 꽃으로 피어 있어라』(한마당출판사, 1983)를 출간했다. | ||
+ | * [[동인_5월시|동인 5월시]]는 출판사 [[출판사_청사|청사]]에서 무크지 《[[민중시]]》를 창간했다. 이후 ‘[[청사민중시선]]’을 기획해 시집을 발간했다. 출판사 [[출판사_청사|청사]]는 1984년 [[김남주]]의 첫 시집인 『[[진혼가]]』를 출간하고 이후 [[문병란]], [[김준태]], [[양성우]], [[장효문]] 등의 시집도 출간했다. | ||
+ | * [[동인_5월시|동인 5월시]]의 교사 문인들은 교육 무크지 《[[민중교육]]》을 발간했다. 문교부(오늘날의 교육부)는 반미를 선동하고 계급의식을 고취하는 불온, 용공 출판물로 판단하고, 안기부는 《[[민중교육]]》의 [[김진경]], [[윤재철]] 등 주요 필자를 체포했다. ([[민중교육지_사건|민중교육지 사건]]) | ||
+ | * 1987년 [[6.10민주항쟁]]과 [[김영삼]], [[김대중]] 정부를 거치며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의가 공인되자 “이제 5월을 문학적 원점으로 삼는 것은 더이상 어렵다”고 판단하여 1994년 이후 ‘자발적 순명(殉名)’의 길을 택했다. <ref> 이승철,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 문학들, 2019. </ref> | ||
== Semantic Data == | == Semantic Data == | ||
12번째 줄: | 16번째 줄: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동인_5월시 || Actor || 단체-문화예술 || | + | | 동인_5월시 || Actor || 단체-문화예술 || 문학 || 동인) 5월시/오월시(5月詩) || 동인_5월시 || 5月詩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동인_5월시 || |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 |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동인_5월시.jpg |
|} | |} | ||
20번째 줄: | 24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동인_5월시]] || [[ | + | | [[동인_5월시]] || [[5.18민주화운동]] || || || 5월시는 5.18민주화운동과 관련이 있다 |
|- | |- | ||
− | | [[동인_5월시]] || [[ | + | | [[동인_5월시]] || [[오월문학]] || || || 5월시는 오월문학과 관련이 있다 |
|- | |- | ||
− | | [[ | + | | [[김진경]] || [[동인_5월시]] || || || 김진경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 |- | ||
− | | [[ | + | | [[박주관]] || [[동인_5월시]] || || || 박주관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 |- | ||
− | | [[ | + | | [[윤재철]] || [[동인_5월시]] || || || 윤재철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 |- | ||
− | | [[동인_5월시]] || [[ | + | | [[곽재구]] || [[동인_5월시]] || || || 곽재구는 5월시의 멤버이다 |
+ | |- | ||
+ | | [[나종영]] || [[동인_5월시]] || || || 나종영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 | |- | ||
+ | | [[나해철]] || [[동인_5월시]] || || || 나해철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 | |- | ||
+ | | [[박몽구]] || [[동인_5월시]] || || || 박몽구는 5월시의 멤버이다 | ||
+ | |- | ||
+ | | [[최두석]] || [[동인_5월시]] || || || 최두석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 | |- | ||
+ | | [[이영진]] || [[동인_5월시]] || || || 이영진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 | |- | ||
+ | | [[동인_5월시]] || [[동인지_5월시]] || || || 5월시는 동인지 《5월시》의 창작자이다 | ||
+ | |- | ||
+ | | [[동인_5월시]] || [[민중시]] || || || 5월시는 무크지 《민중시》의 창작자이다 | ||
+ | |- | ||
+ | | [[동인_5월시]] || [[민중교육]] || || 소속 교사 문인 || 5월시는 무크지 《민중교육》의 창작자이다 | ||
+ | |- | ||
+ | | [[동인_5월시]] || [[광주시립미술관]] || || || 5월시는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시판화전을 개최했다 | ||
|- | |- | ||
|} | |} | ||
40번째 줄: | 62번째 줄: |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5월시 || || http://aks.ai/GC60004812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5월시 || || http://aks.ai/GC60004812 | ||
|- | |- | ||
− | | 해설 || | + | | 해설 || 한국민족대백과 || 오월시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125 |
+ | |- | ||
+ | | 참고 || 문화일보 || (9)광주항쟁에 침묵하던 문인들 학살고발-투쟁선동 詩 발표 (2003-10-22)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0048192?sid=103 | ||
|- | |-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동인 5월시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동인_5월시/동인_5월시.jpg |
|- | |- | ||
|} | |} | ||
50번째 줄: | 74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단행본 || 강형철, 고광헌, 곽재구, 김진경, 나종영, 나해철, 박몽구, 박주관, 윤재철, 이영진,최두석, 『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 그림씨, 2020. || || https://www.google.co.kr/search?q=9791189231286 | + | | 단행본 || 강형철, 고광헌, 곽재구, 김진경, 나종영, 나해철, 박몽구, 박주관, 윤재철, 이영진, 최두석, 『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 그림씨, 2020. || || https://www.google.co.kr/search?q=9791189231286 |
|- | |- | ||
− | | 논문 || 임시현, 「1980년대 광주 지역 동인지와 무크지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RISS || https://www.riss.kr/ | + | | 단행본 || 이승철,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 문학들, 2019. || || https://www.google.co.kr/search?q=%099791186530665 |
+ | |- | ||
+ | | 논문 || 임시현, 「1980년대 광주 지역 동인지와 무크지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RISS || https://www.riss.kr/link?id=T14573185 | ||
+ | |- | ||
+ | | 논문 || 김미미, 「‘운동으로서 문학’의 미적 범주 연구 — 오월시 동인의 미적 전략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No.81,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 KISS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790700 | ||
|- | |- | ||
| 논문 || 김청우, 「오월시의 사건 재현 방식과 정치-시학의 가능성」, 『인문학연구』 No.62,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 KISS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901611 | | 논문 || 김청우, 「오월시의 사건 재현 방식과 정치-시학의 가능성」, 『인문학연구』 No.62,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 KISS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901611 | ||
− | |||
− | |||
|- | |- | ||
|} | |} | ||
62번째 줄: | 88번째 줄: | ||
== Notes == | == Notes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SemanticGraph | key=동인_5월시}} | ||
[[분류:Actor]] [[분류:Actor/2023]] [[분류:이하루]] [[분류:문학/2023]] | [[분류:Actor]] [[분류:Actor/2023]] [[분류:이하루]] [[분류:문학/2023]] |
2024년 4월 27일 (토) 17:19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동인 5월시는 1980년 6월 시인 이영진, 김진경, 박주관의 발의와 추진으로 결성되었다.
- 이들은 시의 중심을 역사에 둠으로써 민족/민중이 역사의 주체임을 확언하며 시는 고통의 언어여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장식적 수사나 이념적 시를 배제하고 현실을 보다 더 적합하게 알리기 위해 실험을 감행했다.
- 초반에는 자유시형을 주로 보였지만, 3집 이후에는 산문화의 경향이 강해지고 4, 5집에서는 본격적인 장시화(長詩化)로 귀결된다.
- 《5월시》 동인 중 충청도 출신인 김진경, 윤재철을 제외한 일곱 명(곽재구, 나종영, 나해철, 박몽구, 박주관, 이영진, 최두석)은 고교 시절부터 광주 학생 문단에서 친분을 쌓은 사이였다. 고광헌은 제5집 《5월》 때 합류했다.
- 동인 5월시는 동인지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1호의 서문을 작성하지 못했다. 1980년 5월 광주가 겪은 엄청난 충격으로 인해 어떠한 논리적 직조도 불가능함을 실감했기 때문이다.
- 1983년 이영진 시인이 출판사 청사의 편집장이 되면서 본격적인 동인 활동이 펼쳐졌다. 문학의 대중화를 위한 방편으로 시와 판화의 만남을 유치했다. 김경주, 조전호 화가와 결합하여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시판화전을 개최했고, 9월에는 판화집 『가슴마다 꽃으로 피어 있어라』(한마당출판사, 1983)를 출간했다.
- 동인 5월시는 출판사 청사에서 무크지 《민중시》를 창간했다. 이후 ‘청사민중시선’을 기획해 시집을 발간했다. 출판사 청사는 1984년 김남주의 첫 시집인 『진혼가』를 출간하고 이후 문병란, 김준태, 양성우, 장효문 등의 시집도 출간했다.
- 동인 5월시의 교사 문인들은 교육 무크지 《민중교육》을 발간했다. 문교부(오늘날의 교육부)는 반미를 선동하고 계급의식을 고취하는 불온, 용공 출판물로 판단하고, 안기부는 《민중교육》의 김진경, 윤재철 등 주요 필자를 체포했다. (민중교육지 사건)
- 1987년 6.10민주항쟁과 김영삼, 김대중 정부를 거치며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의가 공인되자 “이제 5월을 문학적 원점으로 삼는 것은 더이상 어렵다”고 판단하여 1994년 이후 ‘자발적 순명(殉名)’의 길을 택했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동인_5월시 | Actor | 단체-문화예술 | 문학 | 동인) 5월시/오월시(5月詩) | 동인_5월시 | 5月詩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동인_5월시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동인_5월시.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동인_5월시 | 5.18민주화운동 | 5월시는 5.18민주화운동과 관련이 있다 | ||
동인_5월시 | 오월문학 | 5월시는 오월문학과 관련이 있다 | ||
김진경 | 동인_5월시 | 김진경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박주관 | 동인_5월시 | 박주관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윤재철 | 동인_5월시 | 윤재철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곽재구 | 동인_5월시 | 곽재구는 5월시의 멤버이다 | ||
나종영 | 동인_5월시 | 나종영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나해철 | 동인_5월시 | 나해철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박몽구 | 동인_5월시 | 박몽구는 5월시의 멤버이다 | ||
최두석 | 동인_5월시 | 최두석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이영진 | 동인_5월시 | 이영진은 5월시의 멤버이다 | ||
동인_5월시 | 동인지_5월시 | 5월시는 동인지 《5월시》의 창작자이다 | ||
동인_5월시 | 민중시 | 5월시는 무크지 《민중시》의 창작자이다 | ||
동인_5월시 | 민중교육 | 소속 교사 문인 | 5월시는 무크지 《민중교육》의 창작자이다 | |
동인_5월시 | 광주시립미술관 | 5월시는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시판화전을 개최했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5월시 | http://aks.ai/GC60004812 | |
해설 | 한국민족대백과 | 오월시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125 | |
참고 | 문화일보 | (9)광주항쟁에 침묵하던 문인들 학살고발-투쟁선동 詩 발표 (2003-10-22)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0048192?sid=103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동인 5월시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동인_5월시/동인_5월시.jpg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강형철, 고광헌, 곽재구, 김진경, 나종영, 나해철, 박몽구, 박주관, 윤재철, 이영진, 최두석, 『5월시 동인시집 세트 – 전9권』, 그림씨, 2020. | https://www.google.co.kr/search?q=9791189231286 | |
단행본 | 이승철,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 문학들, 2019. | https://www.google.co.kr/search?q=%099791186530665 | |
논문 | 임시현, 「1980년대 광주 지역 동인지와 무크지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 RISS | https://www.riss.kr/link?id=T14573185 |
논문 | 김미미, 「‘운동으로서 문학’의 미적 범주 연구 — 오월시 동인의 미적 전략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No.81,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 KISS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790700 |
논문 | 김청우, 「오월시의 사건 재현 방식과 정치-시학의 가능성」, 『인문학연구』 No.62,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 KISS |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901611 |
Notes
- 이동 ↑ 이승철,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 문학들, 2019.
Semantic Network Graph